• 제목/요약/키워드: local cultural resources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8초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Linked Database for an Integrated Service Platform of Local Culture and Arts Resources

  • Younghee Noh;Woojeong Kwa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119-137
    • /
    • 2023
  •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explore a way to build a DB which links the resources and areas and regions already registered as cultural assets in connection with a project which is newly building local culture and arts resources. Towards this end,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type and scale of existing local culture and arts resources that could be linked. Following which, to link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collected cultural asse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ebsites such a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National Cultural Heritage Portal, municipal and provincial tangible cultural festivals, municipal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Gyeonggi Memory.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amount of information sources to be built and the current status of each information source to identify detailed information sources. Finally, the metadata of local culture and arts resources were presented by classifying them into material and publication data metadata, document metadata, audiovisual metadata, oral recording metadata, village information metadata, and personal information village information metadata.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도시 조성 방안 (A Study on Creating a Cultural City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 김용남;권기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88-98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ays to create a cultural city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To that end, the qualitative case study was applied. As the original city center had been declining due to the expansion and changes of city space caused by the changes of city function and social change, the old downtown of Andong city was selected as an example. For the result, research shows that the region's historical resources and culture have to blend and develop together with abundant cultural resources, such as contents development, city's symbolic space settings, differentiated cultural and artistic establishment, comfort in living, utilizat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and supporting facilities which are suitable for cultural diversity. In particular, we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new city image that leads local residents willing to participate and of forming a consensus among tourists. Therefore, for the implementation of a cultural city, policies, undertaking,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at meet to the city's conditions and environment are required, and a further study on that issue is needed.

지방자치단체의 지역문화자원 활용 효율성 분석 (An Efficiency Analysis of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Uti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 강보배
    • 지역과문화
    • /
    • 제6권2호
    • /
    • pp.77-104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 문화 생태계의 전제가 되는 지역문화자원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활용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포락분석(DEA)을 통해 전국 17개 광역시·도의 상대적인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지역문화자원 환경 관련 산출 변수를 포함하여 '전체 효율성'을 도출하고, 앞서 도출한 '활용 효율성'과 비교하여 지역문화자원 '환경 효율성'이 지자체의 효율성 순위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17개 광역시·도 중 5곳의 기초자치단체들이 효율적으로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비효율적인 광역시·도의 기초자치단체들은 순기술효율성 보다 규모의 비효율이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환경 효율성' 추정 결과, 17개 광역시·도의 '활용 효율성'과 '전체 효율성' 순위가 동일한 곳은 없었으며, '전체 효율성'의 순위 증감을 통해 '환경 효율성'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효율성 차이는 투입 변수에 전제된 인구밀도가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향후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역문화자원 활용의 주요 수요자인 지역주민 인구 추계에 따라 투입의 적정 수준을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현재 지방자치단체에서 개최하고 있는 지역축제, 마을축제의 점검을 통해 비효율적인 부분을 제거하여 산출량을 질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역문화자원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할 때, 환경적 산출 요인의 고려가 함께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요식업 유니폼 디자인 개발 -여수, 순천 지역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Restaurant Uniforms Designed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Focused on Yeosu & Suncheon-City)

  • 나현숙;배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2호
    • /
    • pp.119-13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design and develop restaurant uniforms for Yeosu and Suncheon-City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by investigating the present situation of restaurant uniform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actical research on uniform designs. The practical research included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recent uniform designs of 60 spots in both cities and the preferenc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finally suggesting eight restaurant uniform designs and four original samples. It was found that most workers in both cities wore shirts and pants or aprons as uniforms and also that the restaurant uniforms had many problems, such as poor designs, functionality, and the lack of lo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se results, a design concept called 'Colorful Night Sea' was built for Yeosu using a design motive of a Yeosu Expo symbol, a Big-O Show shape, and Dolsan Gat flowers. For Suncheon-city, a design concept called 'A Rural Landscape' was built using a design motive of Nagan Eupseong and a field of reeds in Suncheon Bay. The restaurant uniform items included a top (shirt or blouse), pants, apron, and headdress in both c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helped improve the local image and economic situation, by proposing distinct uniforms designed by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지역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대학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Using Local Cultural Contents)

  • 노영희;이석형;신영지;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69-18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구와 함께 대학도서관의 역할 및 기능이 지역 정보서비스의 거점이자 지역정보서비스센터로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대학도서관이 지역정보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지역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대학도서관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도서관에서는 지역을 대표하는 핵심 문화콘텐츠 또는 지역 출신 인물과 관련한 콘텐츠 등을 지역문화콘텐츠로 선정하여, 지역의 관련 기관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서비스하거나, 직접 자료를 제작하여 지역의 문화와 예술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둘째, 대학도서관은 지역문화콘텐츠 관련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지역 탐방과 학습, 독서, 체험 등이 결합된 형태로 진행하여야 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은 지역문화자원 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해 문화자원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보존과 광범위한 서비스 확대를 통해 문화자원 저장소와 문화자원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지역문화자원으로 본 안동중앙극장 인식 (Perception of Andong Joongang Cinema as a Local Cultural Resource)

  • 김용남;정낙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9-7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 유일의 예술영화관인 안동중앙극장이 지역문화자원으로써 지역민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역문화자원 관련 선행연구 조사와 안동중앙극장 및 예술영화관 관련 자료를 토대로 지역문화자원과 안동중앙극장의 기능을 분석하고 상관성을 검토하여 지역문화자원으로써 안동중앙극장의 인식을 위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제안된 분석틀을 토대로 지역문화자원으로서 안동중앙극장에 대한 인식을 문화·예술향유로서의 인식, 역사성으로서의 인식, 관광지로서의 인식, 커뮤니티형성으로서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안동중앙극장은 지역문화자원의 세 가지 기능인 정체성, 전통성, 공동체성을 갖고 있다고 판단되며, 이에 따라 안동중앙극장은 지역의 문화자원으로써 기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역의 문화자원들은 단독으로 존재하기보다는 그 지역의 역사와 주변 환경의 흐름 속에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안동중앙극장 역시 지역문화자원으로써 지역의 역사성을 지키며 문화예술의 향유공간이자 관광지로서, 대중과 소통하는 문화 공간으로써 그 기능을 하고 있다. 추후 안동중앙극장이 지역문화자원으로서 지속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Bridge the Ga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ies: Key Factors in Generating Community Involvement in the Historic Preservation District in Japan

  • Yodsurang, Patiphol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103-120
    • /
    • 2015
  • Since 1795, 106 districts in Japan have been selected as Important Historic Preservation Districts (Juuyo dentouteki kenzoubutsugun hozon chiku [Juudenken]). The system for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enables the local government to name a "Preservation District" and allows for the development of a preservation plan based on local ordinances. Moreover, the well-organized, bottom-up networks, which are groups for community development activities on the basis of local particip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raising awareness and conducting several preservation projects in their own towns.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cultural resources management in the local community. The system, which possibly bridged the gap between the local authorities and the community, was revealed. Fifty non-profit groups and active citizens, who were engaged in an advanced stage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Juudenken, were selected to be interviewed. The results then were analyzed using STAT program. The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shown by mapping the associations related to the public process of community involvement. Each variable had its own significant meaning and contributed credible indirect association to community involvement. The network mapping indicated that balancing the local economy and technical conservation was important in generating community involvement, which provided a model on how local authorities and communities could articulate and maintain their own cultural resources.

지역 내 문화체육자원이 도시성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f Local Cultural and Sports Resources on Urban Growth)

  • 곽정현;서원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06-716
    • /
    • 2016
  • 최근 높아진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인식으로 여가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와 체육과 관련된 다양한 자원을 통해 해당 도시를 성장시키고자 하는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점에서 지역 내 문화체육자원이 도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통한 정책적 방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228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문화체육자원을 중심으로 사회 교통 공간성격의 범주에 포함되는 도시의 다양한 개별자원 지표를 이용해 지역의 인구, 산업, 재정측면의 성장에 있어서의 영향관계를 준로그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해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체육자원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 내 자원들은 해당 도시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구성장 측면에서는 공공체육시설 및 프로스포츠시설의 확충을, 산업성장 측면에서는 프로스포츠시설의 유치를 통한 지역 내 소비증가를, 재정건전성 측면에서는 연관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프로스포츠시설 유치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본 연구는 생활체육을 바탕으로 한 삶의 질 환경 조성 및 산업기반으로서의 문화스포츠 기반조성은 도시성장에 있어 중요하며, 이러한 자원을 활용한 도시성장 정책은 차세대 전략으로 지방정부가 관심을 가질만한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역 역사문화 아카이빙을 위한 김포 북변동 스토리텔링 사업 (Storytelling Project for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Archiving on Bukbyeon-dong, Gimpo-si)

  • (협)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75-281
    • /
    • 2019
  • 본 글은 2018년 김포문화재단에서 주관한 김포시 북변동 스토리텔링 사업을 소개한 글이다. 프로젝트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자원을 아카이빙 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세부 과업으로는 조사, 답사, 구술채록, 스토리 정리, 콘텐츠 활용방안 제시 등이었다. 이와 함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느낀 프로젝트의 한계와 의미, 지역 역사문화자원 발굴의 의미, 지역 아카이브의 필요성을 함께 보고한다.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전략 연구(제 2보) -지역문화자원 활용을 중심으로-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 for the Promotio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II)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Local Cultural Resources-)

  • 정경희;이미숙
    • 복식
    • /
    • 제60권2호
    • /
    • pp.51-6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 design with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to contribute to promoting cultural tourism festivals. To accomplish this study, first, a preliminary survey is carried out the investigation of cultural product stores and visitors' questionnaire survey. Next, based on these survey and prior study,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oncep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and to developed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Adobe Photoshop 6.0, and Adobe Illustrator CS Program were us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patterns, textile design and illu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ased on preliminary research results, the problems of the desig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products were derived. As one 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oncep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to develop fashion cultural products. The concept of the Andong Maskdance Festival was 'Tribal-Holic'; the Boryeong Mud Festival, 'Get away form it all'; the Gangjin Celadon Festival, 'Timeless Memories'; th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Lighting up the River'; the Chungju World Martial Arts Festival, 'Next Ergonomics Gym'; and the Muju Firefly Festival, 'Eco-Purity'. Second, based on the desired items of festival organizers and the survey of visitor's preference for cultural products, 4 items were selected by festival type. Then a total of 96 designs of 4 kinds each were developed using logos or characters, traditional patterns, special products, symbolizing region, or festival as a motif. Third, the strategy for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design for promotio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were 'Place identity design strategy', 'Market oriented design strategy', 'Buyer-Based pricing strategy', 'Regional brand strategy', and 'Distribution networks expansion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