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brand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35초

지방자치단체의 통합브랜드에 대한 분석 (The Analysis on Integrated brand of Local government)

  • 김종성;김준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109-118
    • /
    • 2015
  • 지역브랜드의 효과적 개발과 활용을 위해서는 브랜드의 통합화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통합적 브랜드의 적절한 구축과 사용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지방자치단체들의 통합적 브랜드 수준이 실제로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8개도와 인구 100만 이상 도시 10개를 선정하여 브랜드의 통합화연구가 이뤄졌다. 연구결과 1개도를 제외하고는 지역 브랜드에 대한 관리가 전반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내용을 함축할 수 있는 통합적 브랜드로서의 지역브랜드라는 측면에서 볼 때에는 더욱 미흡한 상태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여러 브랜드 이미지(요소)들의 균형적인 개발이 필요하며 거주지, 투자지, 관광지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통합적브랜드 관리전략을 도입하여 매뉴얼을 만들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여야 한다.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Local Brand Fashion: A Perspective from Vietnamese Youth.

  • Cuong NGUYEN;Tien HUYNH;Khanh HA
    • 융합경영연구
    • /
    • 제12권2호
    • /
    • pp.19-26
    • /
    • 2024
  • In recent years, entrepreneurship has become a significant movement in Vietnam. Vietnamese youth has paid more attention on entrepreneurship. Local brand fashion is currently booming in Vietnam. Many young Vietnamese choose to start up in local brand fashion. Vietnamese government has show strong commitment to support entrepreneurial movement among young people. Purpose: The research focused on assessing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local brands fashion in Vietna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ample size consist of 293 young Vietnamese who are passionate on starting up their business in fashion. The research method emplo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SPSS software is used to analysze the collected data. Data collection involved a mixed-methods approach, combining surveys and case studies.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confirm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local brand fashions are Attitude towards behavior, Subjective norms, Cognitive behavioral control,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apital. Conclusion: The study not only delved into the influencing elements for starting a business but also examined the current landscape of the youth-oriented local fashion brand market. Managerial implications are provided to promote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young Vietnamese in fashion industry.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are also discussed to provide recommended research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Local Brand Love Based On Product, Price, Promotion, Online Distribution

  • YASA, Ni Nyoman Kerti;SANTIKA, I Wayan;GIANTARI, I Gusti Ayu Ketut;TELAGAWATHI, Ni Luh Wayan Sayang;MUNA, Nilna;RAHANATHA, Gede Bayu;WIDAGDA, I Gusti Ngurah Jaya Agung;RAHMAYANTI, Putu Laksmita Dewi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5호
    • /
    • pp.35-47
    • /
    • 2022
  • Purpose: To explain the effect of product quality, price perception, online distribution, and social media promotion on attitudes, customer satisfaction, and local brand lov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are Indonesians who have purchased local Indonesian brand products. The size of the sample used was 240 people with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analytical technique used is Path Analysis using SEM-PLS. Results: product quality, price perception, online distribu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but social media promotion has a positive and in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attitudes; product quality, price perception, online distribution, and social media promotion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attitudes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ocal brand love; and custom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ve for local brands. Conclus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local brand product businesses to pay attention to product quality, price perception, online distribution, and social media promotion in order to be able to build positive attitudes, customer satisfaction and ultimately have an impact on local brand love. In online distribution, with online distribution, it is easy for marketers to deliver multimedia content through online methods.

공무원 인플루언서의 특성, 라이브커머스의 방송 특성이 지역 농산물의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인터넷 라이브커머스 방송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r of Public Officials and Internet Live Broadcasting in China o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Brand Image,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 마가상;이은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645-665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r of public officia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live broadcasting in China on the brand imag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Chinese consumers who had purchased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fter watching live broadcasts on the internet by influencers of government officials. A total of 31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8.0. The ke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r of public officials, reliability, attractiveness, and expertis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imag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live broadcasting, interaction and inform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imag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but entertainment did not. Third, the brand imag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local agricultural brand image was evident in the reliability, attractiveness, and expertis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r of public officials and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local agricultural brand image was evident in the interaction and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internet live broadcasting and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중소기업의 현지브랜드 개발과 브랜드 컨설팅 프레임워크: 정부지원프로그램을 중심으로 (Local brands development and brand consulting framework for SMEs: Governmental supporting programs)

  • 김귀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845-1855
    • /
    • 2010
  • 해외진출기업의 브랜드 개발을 위한 브랜드 컨설팅은 현지의 시장 및 소비자 분석, 그리고 기업의 역량 및 자원에 대한 진단을 포함한 내외부의 환경 분석에서부터, 브랜드 전략의 수립, 브랜드 컨셉의 개발, 그리고 디자인 개발에 이르기 까지 제품의 해외 런칭 이전에 선행되는 많은 단계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해외진출 브랜드 컨설팅은 브랜드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국제마케팅, 디자인, 그리고 국내외 상표권 전문가들의 공동노력이 이루어질 때만이 성공적인 수행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외진출기업의 브랜드 개발, 특히 기업역량이 대기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적은 것으로 평가되는 중소기업의 비영어권 국가 진출 시 현지브랜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브랜드 컨설팅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현지브랜드에 대한 수요조사 결과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년간에 걸친 시행착오를 거쳐 현장에서 이루어진 브랜드 컨설팅 프레임워크는 현지브랜드 컨설팅을 수행하는 브랜드 전문가뿐만 아니라 해외진출 브랜드 컨설팅을 의뢰하는 중소기업들에게도 상당히 의미 있는 지침이 되리라고 기대한다.

프랜차이즈 햄버거전문점의 브랜드자산과 행동의도와의 관계에서 국내외 브랜드의 조절효과 검증 연구 (The Moderating Effects of Local & Global Br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and Behavioral Intention in Franchised Hamburger Restaurant)

  • 김연선;이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537-545
    • /
    • 2016
  •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햄버거전문점의 브랜드자산과 행동의도와의 관계에서 국내외 브랜드의 조절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두었다. 첫째, 햄버거전문점에서의 브랜드자산 요인을 분석한다. 둘째, 브랜드자산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셋째, 국내외 브랜드가 브랜드자산과 행동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확인한다. 본 연구를 위한 모집단은 '8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브랜드자산을 형성해온 롯데리아, 버거킹, KFC, 맥도널드를 이용해 본 충청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300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253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햄버거전문점의 브랜드자산 요인은 브랜드 인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의 3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브랜드 충성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인지의 순으로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브랜드자산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국내외 브랜드는 조절작용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대형 업체 4곳으로 국한된 표본의 한계점을 지녔기에, 다양한 업체를 연구 대상으로 확대할 경우 의미 있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 유형별 혁신 브랜드과제 분석과 시사점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Innovative Brand Tasks by Local Government Type)

  • 김대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28-137
    • /
    • 2019
  •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혁신정책을 브랜드과제를 통해 유형화하여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자치단체 브랜드과제 844개를 대상으로 지방자치단체 8개 유형별로 브랜드과제의 정책분야를 분류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전체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보았을 때 사회적경제/지역경제 분야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치단체 유형별로 중점을 두고 있는 정책분야가 상이하다. 셋째, 혁신정책의 선정에는 지역의 특수성이 반영되고 있다. 넷째, 브랜드과제의 유형별로 중점을 두는 자치단체가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한 지방자치단체 유형론의 이론적 적실성을 확인시켜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혁신정책의 필요, 지역특성에 맞는 혁신정책의 수립, 우수 혁신정책의 전파를 제시하였다.

지역문화축제 스토리텔링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지역문화 일치성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Storytelling of Local Cultural Festival on Brand Assets: Moderating Effect of Local Culture Unity)

  • 최건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13-2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지역문화일치성이 스토리텔링과 브랜드자산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여 지역문화축제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설문조사는 S시 읍성축제 프로그램에 참여한 431명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토리텔링과 지역문화일치성은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역문화일치성과 브랜드자산 간, 스토리텔링과 브랜드자산 간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지역문화일치성이 스토리텔링과 브랜드 자산을 조절하였다. 즉, 스토리텔링이 증가하면 브랜드 자산이 증가하는데 지역문화일치성이 높은 경우 낮은 경우보다 가파르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브랜드자산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지역 농산물브랜드의 특성과 소비자 구매의향간의 관계 연구: 안동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Brand and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the Case of Andong City)

  • 이용건;박석두;박재홍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2호
    • /
    • pp.331-339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brand and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and then to find some influencing factors for them. This study tested three hypotheses as follows: brand personality, consumer personality, and brand equity for Andong agricultural products would be influenced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rand power of Andong agricultural products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consumer personality would have a effect on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metropolitan area residents on Andong agricultural product brand, brand image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Raising consumer's trust and ability-orientation on Andong agricultural products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Also brand acknowledge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戰略)에 관(關)한 사례(事例) 연구(硏究) - 브릿지 라인 수입(輸入) 핸드백 브랜드를 중심(中心)으로 - (A Corroborate Study for Brand Positioning Strategy - Focusing on Bridge Line Imported Handbag Brands -)

  • 장지혜;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9권5호
    • /
    • pp.96-11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cutely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bridge line imported handbag brands in order to succeed in launch and establishment in local market. Based on the successful bridge line imported handbag brands status in local market, this selected the brands, "LeSprotsac", "Longchamp", "Sequoia" that execute brand strategy including positioning strategies such as basic concept, prices, materials, promotion, distributions in order to succeed in local launching. For corroborate analysis, three staffs in each brands, consecutive in-person interviews and continuous telephone interviews, mail survey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ifferentiate brand positioning strategy that has considered accurate analysis of niche market and domestic market environment when brand launch effects on brand value enhancement. Second, marketing mix activity based on positioning strategy effects on establishing brand image and spreading brand awareness. Third, marketing activity based on positioning strategy should be executed based on consistent brand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