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af bread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1초

쌀가루 첨가 식빵의 제빵 특성 (Substitution of Rice Flour on Bread-Making Properties)

  • 최인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67-673
    • /
    • 2010
  • 특수미 품종인 고아미2호는 취반용 쌀로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가공용 기능성 곡류소재로서의 활용성을 알아보고자 제빵 시 강력분의 일부를 쌀가루로 대체하였으며 일반 쌀 품종인 추청벼 쌀가루와의 제빵특성을 비교하였다. 쌀가루의 호화특성은 고아미2호는 전분 호화 시 호화개시온도가 높고 전분 팽윤 현상이 억제되어 호화 점도가 매우 낮았다. 강력분에 쌀가루를 10~30% 대체한 혼합분의 mixograph특성은 고아미2호 복합분은 쌀가루 함량이 증가 할수록 가수량이 증가하였으나 추청벼 복합분은 쌀가루함량 증가 시 반죽 안정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복합분을 활용한 식빵에서 고아미2호 쌀빵은 쌀가루 증가와 함께 부피 감소와 함께 빵 내부의 경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추청벼 쌀빵은 최대 30%까지 대체 시 빵의 부피 및 경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강력분의 일부를 대체한 쌀빵 가공을 위해서는 난소화성 다당류 함량이 높은 고아미2호보다는 일반 쌀 품종인 추청벼가 적합하였다.

쌀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Hydrocolloids의 영향 (Effects of Hydrocolloid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Rice Flour)

  • 김양훈;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24-1332
    • /
    • 2016
  • 강력분 80%와 쌀가루 20%에 baker's%로 검류로 HPMC, xanthan gum, guar gum, glucomannan 등을 각각 1% 첨가한 혼합분으로 만든 식빵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빵의 부피 및 비용적, 굽기 및 냉각 손실률, 수분 함량, 수분활성도, crumb 조직감, crumb 색도, 관능검사 등을 분석하였다. 식빵의 부피는 HPMC와 glucomannan 첨가구가 유의적 차이 없이 가장 컸고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작았으며, 비용적은 부피의 결과와 반대였다. 냉각 손실률은 guar gum 첨가구가 9.25%로 가장 높았고, glucomannan 첨가구가 7.78%로 가장 낮았다. 수분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glucomannan 첨가구가 가장 많았고 대조구가 가장 적었다. Crumb 조직감 특성에서 경도는 glucomannan 첨가구가 낮고 탄력성은 높아 부드러웠으며, xanthan gum 첨가구는 경도 값이 높아 부드럽지 못하였다. 응집성, 씹힘성, 검성은 glucomannan과 HPMC 첨가구가 가장 낮았고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Crumb 색도 측정에서 L 값은 HPMC 첨가구가 높았고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a 값은 모두 유사하였으나, b 값은 HPMC 첨가구가 가장 낮아 밝았고 xanthan gum 첨가구는 가장 높아 어두웠다. 관능검사의 종합점수에서 HPMC와 glucomannan 첨가구가 유의적 차이 없이 높은 점수를, xanthan gum 첨가구가 낮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실험으로 강력분과 쌀가루 8:2의 혼합분에 hydrocolloids를 첨가하여 식빵 제조 시 HPMC와 glucomannan의 첨가가 부피, 부드러움, 맛과 향, 노화 지연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슬기로 제조한 칼슘 락테이트가 반죽의 발효와 빵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Lactate Prepared from Black Snail on Dough Fermentation, Quality and Shelf-life of Bread)

  • 이예경;이명예;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6-144
    • /
    • 2003
  • 다슬기분말(PBS)과 그 회분(ABS)으로 제조한 칼슘락테이트(CaL-A및 CaL-P를 0.5%되게 첨가한 반죽의 발효와 빵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칼슘락테이트를 첨가하여 1차발효시킨 후 반죽의 pH는 5.98~5.86으로 대조군의 5.50보다 높았다. 반죽의 부피와 빵의 loaf volume index는 CaL-A 첨가군이 대조군 보다 현저하게 낮았으나 pH를 5.5로 조정한 후의 반죽부피와 빵의 loaf volume은 대조군과 비슷하였다. 처리군의 칼슘함량은 39.36~49.70 mg/100 g으로 대조군(13.43 mg/100 g)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처리군 빵의 색상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빵의 경도와 점착성은 CaL-A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고, 탄력성과 응집성은 낮았으나 pH를 5.5로 조정한 경우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처리군 빵의 현미경 관찰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기공이 작고 air cell이 크며 표면이 거칠었다. 맛, 색상, 냄새 및 종합적인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대조군>CaL-A>CaL-P 순으로 첨가군의 관능적 품질이 낮았다. 그러나 pH를 5.5로 조정하여 제조한 빵에서는 종합적인 기호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칼슘락테이트를 첨가한 빵은 곰팡이 발생이 지연되었으며 곰팡이의 발생정도로 평가한 2$0^{\circ}C$에성의 저장수명은 대조군이 1, CaL-A 첨가군 3일, CaL-P 첨가군은 5일이었다.

  • PDF

김치식빵의 제조와 품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paration and Quality of Kimchi-Bread)

  • 박인경;김미경;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9-238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mogenized kimchi product (HKP) on dough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bread. Fermented homogenized Chinese cabbage kimchi product was added 0.10, 20 and 30% to wheat flour. The pH of dough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s of HKP, which showed at PH 4.9 for the dough added 30% HKP. Fermentation time of the dough was reduced as much as 9~23 minute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products. Loaf volume index of the bread prepared by adding 10 ~30% HKP increased also by 12.7 ~ 19.0%.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gumminess of the bread added with 30% HK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The gas forming cell of the bread added with 30% HKP were good and regular. Crust and internal color of the bread with more HKP had tendency to redness. Sensory quality of the kimchi-bread estimated by shape, flavor and overall quality was better than that of control product, especially the kimchi-bread qualify at addition of 30% HKP was best.

  • PDF

숯가루 첨가가 빵반죽의 발효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arcoal Powder on the dough Fermentation and Quality of Bread)

  • 임영래;이예경;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541-547
    • /
    • 2000
  • The effects of charcoal powder on fermentation of dough and quality of bread were investigated. Charcoal powder was added to wheat flour at concentrations of 0, 0.05, 0.10 and 0.20% The fermentation time of dough with charcoal was reduced by 4 ~12 min compared with that of dough without charcoal. The loaf volume index of bread with 0.05% charcoal powder slightly increased. Bread with charcoal powder showed higher textural properties ( strength, hardness, spring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except for cohesiveness than bread without charcoal powder. Color $L^{\ast}$ and $b^{\ast}$ values and hue angle of the top crust decreased while $a^{\ast}$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charcoal concentrations. $L^{\ast}$ and $a^{\ast}$ values of the inside of bread decreased while hue angle increased with increasing charcoal concentration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easant taste between bread with and without charcoal powder was observed. However, bread with 0.1% charcoal powder showed the highest scores for pleasant odor, color, and overall acceptability.

  • PDF

백미와 현미 쌀빵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s Relevant to Rice Bread Processing between Brown and Milled Rice)

  • 강미영;최영희;최해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4-69
    • /
    • 1997
  • 벼 8품종의 현미와 백미로 쌀빵을 제조하여 쌀빵가공성에 대한 벼 품종간 및 현 백미간 비교를 실시하고 관련특성간 상관관계를 살펴 보았다. 벼 품종간에는 제빵성의 차이가 있으나 현미와 백미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품종에 따라서는 현미와 백미간에 쌀빵특성의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찰벼 품종인 한강찰벼는 백미로는 쌀빵의 제조가 불가능하였으나 현미로는 다른 어떤 품종 보다도 제빵성이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메벼 품종들 중에서는 AC 27, IR 44, 수원조가 백미의 제빵성이 우수하였고, 이 세 품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백미보다 현미로 쌀빵을 만들 경우 가공특성이 좋은 경향이 있었다. 쌀의 일반성분 및 쌀빵의 제 특성 간의 상관성을 현미와 백미에 대해 별도로 살펴보면, 현미의 경우에는 부피 증가율이 큰 쌀빵 반죽일수록 푹신한 감이 있는 쌀빵 제조가 가능하였고, 촉촉한 쌀빵일수록 부드럽고 응집성이 높은 경향이었다. 백미의 경우에는 단백질 함량이 낮을수록 촉촉한 느낌의 쌀빵이 되는 경향이었으며, 지질함량이 높을수록 기공의 크기가 작고 균일하며 탄력성이 적은 쌀빵이 제조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쌀빵 성형이 양호할수록 경도 및 씹힘성이 낮은 부드러운 빵이되는 경향이었으며, 기공의 크기가 균일할수록 기공의 크기가 작으면서 푹신한 감이나 탄력성이 낮은 빵이 되는 경향이었다.

  • PDF

김치숙성 관련 젖산균이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notated to Kimchi Fermentation on the Quality of Bread)

  • 이예경;박인경;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79-385
    • /
    • 2001
  • 김치숙성관련 젖산균이 반죽의 발효와 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젖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LP), Leuconostoc mesenteroides(LM)은 살균 무즙에 배양하여 각각 또는 혼합하여 밀가루량에 대하여 5% 및 10%씩 첨가하였으며 혼합처리구는 LP 5%와 LM 5%를 혼합하였다. 반죽의 pH는 LP+LM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LM 5% 첨가구는 발효시간이 가장 짧았으며, loaf volume은 LM 10%첨가구가 가장 컸다. 빵의 저장중 수분 손실율은 전반적으로 젖산균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LP+LM 혼합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빵의 경도는 젖산균 첨가군에서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LP 10% < LM 10% < LM 5% < LM+LP < LP 5% < 대조구 순서였다. 빵의 노화도는 젖산균 첨가군이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LM 10%와 LP 10%에서 가장 낮았다.

  • PDF

검정콩 분말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by the Addition of Black Soybean Powder)

  • 임정교;김영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4-342
    • /
    • 2003
  • 검정콩 분말 첨가가 식빵의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검정콩 분말을 5, 10, 15 및 20%첨가하여 반죽의 특성과 빵의 품질 특성을 파악하고 적당한 배합비율을 알아보았다. 반죽의 pH는 대조군이 pH 5.43인데 비해 검정콩 분말 첨가군은 pH 5.13~5.77로 나타났으며, 반죽부피는 5%가 107m1로 가장 컸고, 검정콩 분말을 첨가한 빵의 무게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빵의 무게도 증가하였으나 대조군과 5%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식빵의 부피는 5%가 2200m1로 가장 컸으며, Loaf volume index도 5%가 8.01로 가장 높았다. 내부의 색상은 대조군의 경우 L값이 76.62 이었고 검정콩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낮아졌으며 특히 20% 첨가 시는 49.94로 나타났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대조군이 -2.02였으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 -0.58, -0.21, +0.07, +0.58로 a값이 높게 나타났다. 빵 껍질의 L, a, b값은 대조군에 비해 첨가군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기계적 텍스쳐 측정 결과 견고성, 응집성, 탄력성 및 씹힘성은 대조군에 비해 첨가군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쫄깃거리는 맛이 있었고, 깨짐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노화도는 대조군이 첨가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대조군은 24시간이 경과했을 때 2.95, 48시간이 경과했을 때 6.00이었고, BS-5, BS-10, BS-15, BS-20% 첨가군은 24시간 경과 시에는 1.45~2.69, 48시간 경과 시는 2.60~4.07사이로 검정콩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노화가 지연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외관은 대조군이 3.51, 5~20% 검정콩 분말 첨가군은 각각 4.54, 4.03, 3.67, 2.93으로 5% 첨가군이 양호하였고, 빵 내부 색상에 대한 기호도는 대조군은 3.63, 첨가군은 각각 3.90, 4.49, 4.34, 3.05로 평가되었으며, 맛에 대한 평가는 대조군이 3.57, BS-5, BS-10, BS-15, BS-20% 첨가군은 각각 4.24, 3.89, 2.46, 2.03으로 5% 첨가군이 가장 양호하였다. 조직감은 10% 첨가군이 4.20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5% 첨가군, 10% 첨가군, 대조군, 15% 첨가군, 20% 첨가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RSM을 적용한 관능 특성에 따른 Rye Bread의 최적 Formulas에 대한 연구 (The Optimized Formulas of Rye Bread on the Sensory Properties using RSM)

  • 권경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8-285
    • /
    • 2004
  • 본 논문은 rye bread 제조에 있어서, water, rye flour 그리고 vital gluten이 rye bread의 관능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관능검사 및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Response surface model은 rye bread의 최적 variation을 결정하고 관찰되어진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본 실험은 water 57, 62, 67%, rye flour 0, 10, 30, 50% 그리고 vital gluten 0, 1, 3, 5%의 12가지 조합을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water 67%, rye flour 10% 그리고 vital gluten 3%일 때 높은 specific volume의 rye bread가 생산되었으며, water 62%, rye flour 10%그리고 vital 히uten 5%일 때 전체적인 관능치가 높은 rye bread가 생산되었다. 또한 specific volume과 전체적인 기호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bread loaf volume과 소비자의 기호도가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rye bread의 생산에서 다양한 water, rye flour그리고 vital gluten의 배합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였으며, 표준화 최적화 방법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큰 의의를 두었다. 또한 이 결과는 water, rye flour 그리고 vital gluten이 rye bread의 생산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배합될 수 있으며, 제빵의 기능적 특성을 최적화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活用)한 복합분(複合粉) 및 제품개발(製品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2 보 복합분(複合粉)을 이용(利用)한 제빵시험(試驗) -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 II. Bread-making Test with Composite Flours -)

  • 김형수;김용휘;우창명;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24
    • /
    • 1973
  •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活用)한 복합분(複合粉)으로 빵을 만들고 그들의 품질(品質)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보리빵의 제조(製造)에 있어서, 표준 밀가루빵(speciffic loaf volume, SLV : 3.3)과 동일(同一)한 formula로 제조(製造) 할 때, 그 SLV 는 1.3(물 100%)으로 아주 낮았으나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을 10% 혼합(混合)하면 1.7(물 100%)로 증가하였다. 한편 분질개량(粉質改良)을 위한 여러 가지 첨가제중(添加劑中)에서 1.5% GMS + 0.5% CSL 의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다. (SLV : 2.0, 물 100%) 이에 다시 밀가루를 혼합(混合)하면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는 바, 보리가루의 25%를 밀가루로 대체하면 그 SLV 는 2.8(물 90%)로, 50%의 경우는 3.2(물 90%)로 증가하여 표준빵과 비슷하였으며, 빵색깔도 우수하였다. 2) 고구마빵은 baking이 끝나면 흑갈색으로 되는것이 특징(特徵)이고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 20%를 혼합(混合)하면 그 loaf volume이 증가하며 결착제(結着劑)로서 GMS + CSL의 첨가(添加)는 효과적(效果的)이었다. (SLV : 1.9, 물 100%) 고구마가루 복합분에 밀가루를 25%와 50%수준(水準)으로 혼합(混合)하면 그 SLV는 각각(各各) 2.3, 2.6(물 90%)으로 증가하고 빵색깔이 연해지며 빵조직(組織)이 개선되었다. 3) 감자가루를 주원료(主原料)로 한 제빵은 그 분질(粉質)이 고구마가루와는 다르고 GMS + CSL의 첨가(添加) 효과가 낮았다. 옥수수가루에 의한 제빵은 쌀보리가루와는 상이한 경향이었으며, 탈지(脫脂)쌀겨가루는 제빵 원료(原料)로서 부적당하였다. 4) 원료(原料) 공급(供給)면에서 전망(展望)이 보이는 쌀보리가루와 고구마가루를 주원료(主原料)로 한 5종(種)의 복합분(複合粉), 즉 (1)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45 : 10 : 45) (2)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67.5:10:22.5) (3)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 (90 : 10) (4) 고구마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40 : 20 : 40) (5) 고구마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60 : 20 : 20) 으로 첨가제를 넣고 제빵한 후, 밀가루빵을 표준(So)으로 하여 관능시험(官能試驗)한 결과(結果), 평균점(平均點)의 서열은 So>(1)>(2)>(3)>(5)>(4) 이었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의 결과 (1)의 빵, 즉 보리가루와 밀가루를 동량(同量)섞고 여기에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을 10% 혼합한 복합분(複合粉)을 주원료(主原料)로 한 빵은 그 색깔, 조직(組織), 및, 향기(香氣)등의 종합평가(綜合評價)에 있어서 밀가루빵과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