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quid holding capacity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7초

Dietary supplementation of Eucommia leaf extract to growing-finishing pigs alters muscle metabolism and improves meat quality

  • Zhenglei Shen;Chuxin Liu;Chuangye Deng;Qiuping Guo;Fengna Li;Qingwu W. Shen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4호
    • /
    • pp.697-708
    • /
    • 2024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Eucommia ulmoides leaf extract (ELE) on muscle metabolism and meat quality of pigs with and without pre-slaughter transportation. Methods: In a 43-day feeding experiment, a total of 160 pigs with an initial body weight 60.00±2.00 kg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our group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10 replicates. Pigs in groups A and C were fed a basal diet and pigs in groups B and D were fed a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5% ELE. Pigs were slaughtered with (group B and D) or without (group A and C) pre-slaughter transport. Muscle chemical composition, postmortem glycolysis, meat quality and muscle metabolome were analyzed. Results: Dietary ELE supplementation had no effect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porcine muscle, but increased free phenylalanine, proline, citruline, norvaline, and the total free amino acids in muscle. In addition, dietary ELE increased decano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 but decreased heptadecanoic acid, oleic acid, trans-oleic acid,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in muscle. Meat quality measurement demonstrated that ELE improved meat water holding capacity and eliminated the negative effects of pre-slaughter transport on meat cooking yield and tenderness. Dietary ELE reduced muscle glycolytic potential, inhibited glycolysis and muscle pH decline in the postmortem conversion of muscle to meat and increased the activity of citrate synthase in muscle. Metabolomics analysis by liquid chromatographic tandem mass spectrometric showed that ELE enhanced muscle energy level, regulate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signaling, modulated glycogenolysis/glycolysis, and altered the metabolism of carbohydrate, fatty acids, ketone bodies, amino acids, purine, and pyrimidine. Conclusion: Dietary ELE improved meat quality and alleviated the negative effect of pre-slaughter transport on meat quality by enhancing muscle oxidative metabolism capacity and inhibiting glycolysis in postmortem muscle, which is probably involved its regulation of AMPK.

동물성 지방 대체재로 첨가된 액상 재료에 따른 식물성 고기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검사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Meat Analog Mixed With Different Liquid Materials as an Animal Fat Substitute)

  • 김홍균;배준환;위기현;김효태;조영재;최미정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1호
    • /
    • pp.62-68
    • /
    • 2019
  • 현재 본 연구에서 기름, 물 그리고 기름과 물의 혼합형태로 식물성 고기에 혼합하였을 때의 식물성 고기의 물성 및 관능 특성을 비교하고 각각의 결과값과 시료와의 관련성을 비교하였다. 식물성 고기의 단면은 물을 혼합한 물만 넣은 시료와 물과 polysorbate 80가 첨가된 시료보다 기름을 혼합한 MCT oil만 넣은 시료와 MCT oil과 lecithin이 첨가된 시료의 밀도가 높아 보였다. 가열감량은 기름을 넣은 시료가 낮게 물을 넣은 시료가 높게 확인되었으며, LHC는 반대로 물을 넣은 시료가 높게 기름을 넣은 시료가 낮은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물성검사는 부착성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MCT oil만을 넣은 시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ecithin이 혼합될 경우 경도,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 값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에 대한 PCA 분석에서 시료의 다즙성과 부드러움이 증가할수록 전반적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며, 유화액을 첨가한 시료가 다른 시료들에 비해 다즙성, 부드러움, 전반적 기호도 모두에서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와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시료 간의 관련성을 본 PLSR 분석에서 실험에 사용한 시료들은 가열감량이 증가할수록 다즙성과 부드러움이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부착성를 제외한 경도, 응집성 탄력성, 점착성, 씹힘성와 LHC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시료의 다즙성과 부드러움과는 반대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적인 결과값을 확인하였을 때 유화액을 첨가한 시료가 가장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균질화 과정에서 생성된 어떠한 요인 때문에 MCT oil과 물에 lecithin과 polysorbate 80을 첨가한 시료와 유화액을 첨가한 시료의 결과가 차이를 보이는 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순환골재를 이용한 보투수성 알칼리 결합재 블록의 성능평가 (Evaluation of Absorbent-Pervious Alkali-Activated Block Using Recycled Aggregate)

  • 박광민;김형석;조영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60-16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알칼리 활성화 결합재 및 순환골재를 동시에 활용한 100% 순환자원 보투수성 알칼리 결합재 블록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공극률, 압축강도, 투수계수, 보수량, 흡수율 및 증발성 등의 특성 시험 방법을 정립하여 표준화의 기초단계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순환골재를 이용한 알칼리 활성화 결합재 블록은 액상 규산나트륨 및 초기고온양생을 통해 24MPa급의 보투수성 블록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순환골재를 적용한 경우 천연골재보다 보투수 블록의 보수량, 흡수율 및 상대흡수율에서 효과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알칼리 활성화 결합재를 기반으로 순환골재 및 액상폴리머를 사용할 경우 보수량, 흡수율 및 상대흡수율 증진이 가능하고 일반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과 비교해 약 10% 수준의 표면온도 저감효과를 가진 보투수성 블록의 제조를 기대할 수 있다.

사료 제조에서 발효 가능한 탄수화물 이용과 가금 사료에서 효소의 처리에 관한 연구 (Utilization of Fermentable Carbohydrates in Feed Manufacturing and in Enzyme of Poultry Feed)

  • 남기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9-248
    • /
    • 2006
  • 발효가 가능한 탄수화물을 이용하거나 효소 이용 및 사료가공 등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길은 닭의 분중 휘발성 유가물질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전분질의 소화는 가루사료를 (밀과 보리) 알곡으로 대치하게 하였다. 그러나 근위의 pH로 볼 때 사료의 종류나 형태는 연속성이 떨어진다. 펠렛으로 만든 사료는 사료 요구율이 $0\siml2%$ 증진된다. 전분질의 소화는 xylase를 첨가하였을 때 대사 에너지(ME) 가는 35% 증진 효과가 잇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전분질의 이용과 전분질이 아닌 다당류(NSP)의 이용은 전분질을 포함한 알갱이 사료의 존재 즉 비 영양소 물질(ANF)의 포함 여부에 달려 있다. 사료 생산 기술의 증가는 $33^{\circ}C$에서 만들어지는 펠렛 사료에 이용될 수 있는 건조된 상태의 효소나 액체상태의 효소 생산 기법에 달려 있다. 수용성 NSP나 arabinoxylans 또는 beta-glucan 등은 부분적으로 효소 가격이 크기로 나누어지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적은 크기는 수분 흡수력이 감소되어야 하는데 만약 수분 흡수력이 지나치면 소화물에 수분이 너무 많아지게 되어 분에 수분 함량이 많아지며 사료 곡물 중에 비스코시티 현상이 생겨서 계란 껍질이 지저분해진다.

표고 톱밥배지의 성숙도와 자실체형성 포텐셜 (Culture Maturity of Lentinula edodes on Sawdust-Based Substrate in Relation to Fruiting Potential)

  • 오가 쇼지;민두식;구창덕;최태호;안드레 레오노비치;조남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55-64
    • /
    • 2000
  • 본 연구는 표고의 톱밥재배시 재배배지의 숙도, 자실체 발생단계 및 버섯생산 수량을 정량화하고 예측하고자 실시하였다. 배지의 성숙도는 자실체 발생시기를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표로서, 균주, 영양생장기간, 여러 가지 효소의 활성이 관여하며, 배지내의 성분변화, pH 변화 및 수분포텐셜 등이 영향한다. 자실체발생 초기에 배지내의 glucosamine 의 함량이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자실체 발생후 신속히 감소하였다. lipid phosphate 및 ergosterol 함량도 버섯원기 형성 시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자실체 발생직전 최고값에 달하였다. 따라서 lipid phosphate 및 ergosterol 함량이 배지의 숙도 및 자실체형성을 예측하는 주요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질내의 pH는 종균접종전 6.3으로부터 자실체형성단계에서 4.0으로 변화하였으며, pH측정으로 자실체수량을 예측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pH를 bromphenol blue(BPB)의 스프레이로 간단히 측정할 수 있었다. 아울러 기질의 수분포텐셜과 관련하여, -0.5MPa 정도의 수분포텐셜감소가 생장 및 자실체형성에 크게 영향하였으며, 우수한 숙도외 버섯재배 기질이 가지는 수분포텐셜은 버섯발생 전후 각각 -0.7MPa, -4.0MPa 였다. 높은 수분포텐셜은 고밀도의 균체콜로니를 만들 수 있었으며 균주 및 배양기간중의 상호작용이 기질의 수분포텐셜에 현저히 영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