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quefied natural gas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34초

Evalu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Liquefied Natural Gas as a Fuel of Liquid Rocket Engine

  • Namkoung, Hyuck-joon;Han, Poong-Gyoo;Kim, Kyoung-Ho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4년도 제22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48-154
    • /
    • 2004
  • As a rocket propellent of hydrocarbon fuels, the characteristics of liquefied natural gas was evaluated with the viewpoint of the constituents and content, the cooling performance as a coolant, and characteristic velocity and specific impulse as parameters of the engine performance. Content of methane was a principal factor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s a rocket propellant and more than 90 % of it was needed as a fuel and coolant in the regenerative cooled liquid rocket engine. Some constituents of the liquefied natural gas can be frozen by the pre-cooling of the pipe lines, therefore they can be a factor disturbing the normal working of engine. In case the content of methane is around 90% in the liquefied natural gas, a normalized stoichiometric O/F mixture ratio of 0.75 is suggested for a nominal operation condition to get the maximum specific impulse and characteristic velocity.

  • PDF

The use of liquefied petroleum gas (lpg) and natural gas in gas turbine jet engines

  • Koc, Ibrahim
    • Advances in Energy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31-43
    • /
    • 2015
  • This paper compares the performance of JP-8(Jet Propellant) fuel and liquefied petroleum gas (LPG) and natural gas in the F110 GE100 jet engine. The cost of natural gas usage in gas turbine engines is lower than JP-8 and LPG. LPG cost is more than JP-8. LPG volume is bigger than JP-8 in the same flight conditions. Fuel tank should be cryogenic for using natural gas in the aircraft. Cost and weight of the cryogenic tanks are bigger. Cryogenic tanks decrease the move capability of the aircraft. The use of jet propellant (JP) is the best in available application for F110 GE 100 jet engine.

Electrical system design in FLNG offshore unit

  • Kim, Jong-Su;Kim, Deok-Ki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10호
    • /
    • pp.1037-1043
    • /
    • 2015
  • In recent years,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FLNG) Unit have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Generally, liquefied natural gas (LNG) units are produced in onshore liquefaction terminals from gas supplied from onshore gas fields or large-scale offshore gas fields near the coast.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se gas fields has approached saturation. Large-scale offshore gas fields far from the coast, as well as undeveloped medium- and small-scale offshore gas fields, have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mong several proposed concepts, the floating LNG plant in the form of the FLNG system was chosen for further evaluation and development, considering worldwide receiving infrastructure. The design of a 2.5 million tonne per annum FLNG unit has been completed with a capacity corresponding to that of modern onshore liquefaction plants. Various simulation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ical power plant, focusing on the efficiency of the electrical system to secure the aspects of plant safety. This design study analyzes the electrical system for the FLNG unit to improve the safety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in the field.

The Determinants and their Time-Varying Spillovers on Liquefied Natural Gas Import Prices in China Based on TVP-FAVAR Model

  • Ying Huang;Yusheng Jia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20권1호
    • /
    • pp.93-104
    • /
    • 2024
  • China is playing more predominant role in the liquefied natural gas (LNG) market worldwide and LNG import price is subject to various factors both at home and abroad. Nevertheless, previous studies rarely heed a multiple of factors. A time-varying parameter factor augmented vector auto-regression (TVP-FAVAR) model is adopted to discover the determinants of China's LNG import price and their dynamic impacts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21. According to the findings, market fundamentals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import price of natural gas in China than overall economic demand, financial considerations, and world oil prices. The primary determinants include domestic gas consumption, consumer confidence and other demand-side information. Then, there are diverse and time-varying spillover effects of the four common determinants on the volatility of China's LNG import price at different intervals and time nodes. The price volatility is more sensitive and long-lasting to domestic natural gas pricing reform than other negative shocks such as the Sino-US trade war and the COVID-19 pandemic. The results in this study further proves the importance of domestic natural gas market liberalization. China ought to do more to support the further marketization of natural gas prices while working harder to guarantee natural gas supplies.

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시험용 액체로켓엔진의 성능해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Liquid Rocket Engine using Liquefied Natural Gas as a Fuel)

  • 한풍규;이성웅;김경호;윤영빈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4년도 제22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98-204
    • /
    • 2004
  • 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물 냉각 및 천연가스와 액화천연가스 재생냉각 연소시험을 수행하였다. 연소시험과 CEC86을 이용한 연소해석 결과를 액체로켓엔진 성능인자로서, 특성속도와 비추력 관점에서, 추진제 혼합비와 연료의 연소실 유입온도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엔진성능이 추진제 혼합비와 연료의 연소실 유입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엔진 성능으로서 특성속도는 추진제 혼합비가 0.72∼0.75일 때, 이론적 비추력은 추진제 혼합비가 0.75일 때 최대 값을 보여주었으며, 연료의 연소실 유입온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엔진 성능이 향상되는 경향에서 재생냉각이 엔진 성능을 증대시키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 PDF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C)의 발전 추세 (A Developing Tendency of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s)

  • 이동섭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9-274
    • /
    • 2009
  • LNGC(Liquefied Natural Gas Carrier)의 역사는 1959년 $5,000m^3$ 급 LNG선 "Methane Pioneer"호를 시작으로 1969년에는 $71,500m^3$ 급, 1973년에는 Moss Type의 최초 LNG운반선 "Norman Lady($87,600m^3$)호, 1980년대 $125,000m^3$ 급을 시작으로 1990년대를 거처 $135,000m^3$ 급, 2007년 $210,000m^3$급 그리고 2008년에는 $266,000m^3$ 급의 초대형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 출현하였다. 또한 2006년 11월에는 기존 내 외연 기관이 아닌 발전기 기동으로 Propeller를 움직이는 DFDE(Duel Fuel Diesel Electric)엔진, 육상의 Storage Tank를 생략한 기화설비를 갖춘 LNG-RV(Re-gasification Vessel)와 주 기관은 Slow Diesel을 택하고, 운항 중 발생하는 BOG(Boil Off Gas)를 재액화시키는 설비를 갖춘 DRL(Diesel Re-Liquefaction)선박 및 해상 LNG 생산 저장시설인 LNG-FPSO(Floating Production and Storage Offshore), 그리 고 해상 LNG 인수기지 역할을 하는 LNG-FSRU(Floating Store and Re-gasification Unit) 등이 개발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LNG Project, 전 세계 에너지 시장과 LNGC의 발전 추세에 대하여 다루었다.

  • PDF

LNG충전시설의 위험도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ntitative Risk Presentation of LNG Station)

  • 고재욱;유진환;김범수;이헌석;김민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1-67
    • /
    • 2009
  • 국내에는 가스를 사용하는 에너지 산업시설(저장시설, 고압가스 배관, 충전소, 탱크로리 등)이 전국에 산재해 있다. 이러한 대형 가스 시설에서는 화재, 폭발 및 유독물질 누출 등 중대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천연가스자동차의 보급으로 LNG(Liquefied Natural Gas), CNG(Compressed Natural Gas) 충전소의 보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부천에서 발생한 LPG(Liquefied Petroleum Gas) 충전소의 대형가스사고 이후 충전소의 설치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LCNG/LNG 복합충전소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기존의 정성적 위험성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정량적인 위험성 평가를 표현하고, HSE(Health and Safety Executive) 기준과 비교를 통한 위험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PDF

Deep learning neural networks to decide whether to operate the 174K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s Gas Combustion Unit

  • Sungrok Kim;Qianfeng Lin;Jooyoung Son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83-384
    • /
    • 2022
  • Gas Combustion Unit (GCU) onboard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s handles boil-off to stabilize tank pressure. There are many factors for LNG cargo operator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use GCU or not. Gas consumption of main engine and re-liquefied gas through the Partial Re-Liquefaction System (PRS) are good examples of these factors. Human gas operators have decided the operation so far. In this paper, some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models were developed to provide human gas operators with a decision support system. The models consider various factors specially into GCU operation. A deep learning model with Sigmoid activation functions in input layer and hidden layers made the best performance among eight different deep learning models.

  • PDF

혼합냉매를 이용한 천연가스 액화공정의 제어변수 분석 (Analysis of the Control Variables for Natural Gas Liquefied Process Using Mixed Refrigerant)

  • 이재용;김문현;박찬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1-57
    • /
    • 2013
  • 천연가스 액화 공정은 상온의 천연가스를 상압 $-160^{\circ}C$ 이하로 냉각해서 액화시키는 공정으로, 안정된 LNG 생산을 위해서는 최적의 제어 전략이 필요하다. 제어 전략을 수립할 때 가장 중요한 작업 중 하나가 공정의 분석인데, 조절 변수의 변화에 따른 제어 변수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C3MR(Propane Pre-cooled Mixed Refrigerant) 공정으로 BSU(Bench Scale Unit)를 제작하여 천연가스 액화 공정을 실험하였다. 각 조절변수의 조작에 따른 유량의 변화가 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냉매의 유량변화에 따른 냉매 온도 변화 및 천연가스의 온도 변화를 분석하였고, 천연가스 자체의 유량 변화에 따른 냉매의 온도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3개의 조절 변수와 공정의 제어변수들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각 제어변수들은 독립적인 요소들이 아닌 서로 연관되어 유기적인 움직임을 보였으나, 특정 조절 변수의 변화에 따라 큰 반응을 보이는 제어 변수를 확인 할 수 있었다.

LNG운반선의 화물 누출 시 함침된 고분자 폼의 기계적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impregnated polymer foam in cargo leakage of LNG carrier)

  • 박기범;김태욱;김슬기;이제명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345-35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운반선 화물창 손상으로 인한 극저온 LNG 누출 및 하중 작용 시 화물창의 초저온 보냉재를 구성하고 있는 고분자 폼(Polymer foam) 소재의 성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LNG와 맞닿아 있는 LNG 운반선 1차 방벽은 유체 충격하중이나 오랜 시간 동안의 LNG 적재/하역으로 인해 손상이 누적 되면 누출로 이어지게 된다. 극저온 유체의 누출은 다공성 밀폐 셀 구조인 고분자 폼 내부에 영향을 끼쳐 작용 하중에 대한 거동변화를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열재(Insulation)로 사용되는 고분자 소재인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Polyisocyanurate foam, PIF) 시험편의 기계적 성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험편에 극저온 액체를 함침시켜 압축실험을 진행함으로써 저온 취성(Cold brittleness)으로 인한 성능 변화와 함께 극저온 유체의 함침 영향에 대해 정량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