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opolysaccharide %28LPS%29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 of Polysaccharide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on Intestinal Mucosal Barrier of Escherichia coli Lipopolysaccharide Challenged Mice

  • Han, Jie;Xu, Yunhe;Yang, Di;Yu, Ning;Bai, Zishan;Bian, Lianqu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134-141
    • /
    • 2016
  • To investigate the role of polysaccharide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ASPS) in preventing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testinal injury, 18 mice (at 5 wk of age)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with 6 replicates of one mouse each. Mice were administrated by oral gavage with or without ASPS (300 mg/kg body weight) for 14 days and were injected with saline or LPS at 15 days. Intestinal samples were collected at 4 h post-challenge. The results showed that ASPS ameliorated LPS-induced deterioration of digestive ability of LPS-challenged mice, indicated by an increase in intestinal lactase activity (45%, p<0.05), and the intestinal morphology, as proved by improved villus height (20.84%, p<0.05) and villus height:crypt depth ratio (42%, p<0.05), and lower crypt depth in jejunum (15.55%, p<0.05), as well as enhanced intestinal tight junction proteins expression involving occludin-1 (71.43%, p<0.05). ASPS also prevented intestinal inflammation response, supported by decrease in intestinal inflammatory mediator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 ${\alpha}$ (22.28%, p<0.05) and heat shock protein (HSP70) (77.42%, p<0.05). In addition, intestinal mucus layers were also improved by ASPS, as indicated by the increase in number of goblet cells (24.89%, p<0.05) and intestinal trefoil peptide (17.75%, p<0.05). Finally, ASPS facilitated mRNA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100%, p<0.05) and its receptor (200%, p<0.05) ge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SPS can prevent intestinal mucosal barrier injury under inflammatory conditions,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up-regulating gene mRNA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and its receptor.

내독소인 LPS로 처치된 흰쥐에 대한 막걸리 항산화 활성효과 (The Effects of the Makgeolri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in the Endotoxin LPS-treated Rats)

  • 권륜희;채가연;하배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6-170
    • /
    • 2011
  • pH와 DO(dissolved oxygen)의 변화는 발효 진행상황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효모의 알코올 발효는 술덧 (mash)이 산성 또는 미산성인 경우에 알코올 생성 능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성막걸리의 1차 담금시 pH는 3.20에서 시작하여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4.22로 증가하였다. 보통 1차 담금 후 2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pH는 3.2정도가 되면 정상발효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2시간 후 2차 담금 시에는 pH가 3.88에서 3.67사이로 확인 하였다. 일반 막걸리의 발효 pH는 4.0~4.6범위인데 본 연구에서는 다소 낮은 pH를 나타내었다. 또 숙성단계에서는 3.72 에서 4.11로 증가하여 산성의 pH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DO의 경우 l차 담금 시 10에서 시작하여 0.8정도로 감소하다가 2차 담금과 숙성 시에는 4.0을 유지하였다. SOD는 superoxide anion을 $H_2O_2$$O_2$로 전환시키고 $H_2O_2$는 다시 GPx와 catalase(CAT)에 의해 $H_2O$로 전환됨으로써 SOD, CAT 및 GPx는 활성산소의 독성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 SOD 활성도는 LPS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1.64배 감소하였으며 SM+LPS군의 SOD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23.29% 증가하여 간 염증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LPS로 간 염증을 유발하지 않은 SM군에서는 정상군보다 1.28배 SOD활성이 증가하였다. CAT 활성도에서는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l.35배 CAT의 활성도를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SM+LPS 군의 CAT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40.26%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SM군은 정상군에 비해 1.03배 CAT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GPx활성도는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3.78배 감소하였으며 SM+LPS군의 GPx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11.91%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SM군은 GPx활성이 정상군에 비해 0.97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LPS투여로 감소되었으나 SM을 투여한 경우에는 증가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항산화 효소의 활성의 증가는 간 손상에 관한 간조직의 병리조직학적 관찰을 통하여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산성막걸리 추출물이 항산화 작용에서 효과가 있는 물질로 판단된다.

농가소득 창출을 위한 식용식물의 항산화, 항염, 항혈전 및 항비만 효과 탐색 (Evaluation of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thrombotic, and Antiobesity Activities in Cultured Edible Plants to Increase Farm Income)

  • 이선혜;김남석;최봉겸;박연희;김정봉;장환희;황유진;최정숙;이성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9-43
    • /
    • 2017
  • We studied the antioxidant, the anti-inflammatory, antithrombotic,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seven different kinds of edible plant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determined as a measur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NO production inhibition by th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was carried out to assess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mbin inhibitory activity was measured for its antithrombotic function and inhibition of 3T3-L1 cell differentiation was evaluated as a measurement of antiobesity activity. Total phenolic component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to determine functional materials in medicinal plants. Common sage, Japanese lady bell, and hairy agrimony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IC_{50}$) of less than $100{\mu}g/mL$. All samples used in this study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y. Common sage, hairy agrimony, and hooker chives showed antithrombotic effects. Hairy agrimony showed the highest antithrombotic effect (98.1%). Common sage, Japanese lady belly, hairy agrimony, and hooker chives showed reduced 3T3-L1 cell differentiation and hooker chives strong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the cells compared to other medicinal plants. Common sage and hairy agrimony contained more than 1 mg GAE/g of phenolic compounds and more than 1 mg CE/g of flavonoids. Functional activities were different by plant part and extraction method from each samp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mon sage, Japanese lady belly, hairy agrimony, and hooker chives may be used as healthy food sources with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thrombotic, and antiobesity activities, and appropriate extracting methods from each plant need to be developed.

모링가 잎 추출물의 항당뇨, 알코올 대사 및 간 보호 활성 (Anti-Diabetic, Alcohol-Metabolizing,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Moringa (Moringa oleifera Lam.) Leaf Extracts)

  • 최영주;정경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19-82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과 단백질이 풍부하여 높은 영양가를 가지고 있으며, 콜레스테롤 제거 및 간 손상 방지와 염증, 심장병 등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모링가 잎 추출물의 새로운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항염증 및 알코올분해능을 탐색하였다. 모링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45.49와 63.06 mg TAE/g으로 나타났다.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은 1 mg/mL 농도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60.81%와 71.29%로 에탄올 추출물의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모링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5 mg/mL 농도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2.82%와 7.40%로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링가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 효과는 5 mg/mL 농도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45.19%와 88.14%로 에탄올 추출물의 저해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숙취 해소능을 알아보기 위해 alcohol dehydrogenase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두 효소 모두 모링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Lipopolysaccharide(LPS)에 의하여 유도된 NO 합성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1 mg/mL 농도에서 28.50%와 7.90%로 LPS 처리군(41.96%)보다 각각 32.1%와 81.2%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모링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이 tacrine으로 유도된 Hep3B 간암 세포주에 대하여 유의적인 보호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모링가 잎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우수한 항당뇨, 항염증, 숙취 해소 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