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oleie acid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식이 지방산이 혈소판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 혈장 Thromboxane B2의 농도 및 혈소판 응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atty Acids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telet Phospholipids, Thromboxane B2 Formation, and Platelet Aggregation in Men)

  • 오은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4호
    • /
    • pp.384-393
    • /
    • 1999
  • The degree of platelet aggregation, thromboxane B2(TXB2)form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telet phospholipids(PL) were investigated in 24 healthy male subjects who for five weeks consumed either corn oil(CO) rich in linoleic acid(LA), perilla oil (PO) rich in $\alpha$-linoleic acid($\alpha$-LAN), or canola oil(CNO) rich in oleic acid(OA) as a major fat source. Total fat intake was 30% of total calories and prescribed oil intake of each dietary group was 50% of the total fat intake. In the CO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ntent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PUFA), n-6 PUFA, n-3 PUFA and eicosapentanoic acid(EPA) were observed,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ontents of OA and saturated fatty acids(SFA) were observed in platelet PL after 3 weeks and 5 weeks of dietary treatment. In the PO group, contents of OA and docosahexanoic acid(DHA) were increased, and the ratio of n-6/n-3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platelet PL after dietary treatment. The CNO group showed significatnlty decreased contents of PUFA, P/S ratio, n-6 PUFA, LA,(EPA+DHA)/arachidonic acid(AA), and significantly increased SFA contents after 3 weeks of the oil-based diet. The dietary-induced effects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telet PL were observed mostly after 3 weeks of the oil-based diet. The dietary-induced effects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telet PL were observed mostly after 3 weeks. Plasma TXB2 levels were increased after 3 and 5 weeks of dietary treatment. However, only the CO and CN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TXB2 levles after 3 and 5 weeks of dietary treatment. However, only the CO and CN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TXB2 levels after 5 weeks of experimental diets, when compared with initial values. Degree of platelet aggregation increased only in the CO group after dietary treatment. As a result, at week 5 the degree of platelet aggregation of the CO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PO and CNO groups. Among the three oil-based diets, the PO-based diet seems to have beneficial effects on atherosclerosis by influencing plasma TXB2 levels and the degree of platelet aggregation, while the CO-based diet showed the most adverse effects. Our results imply that plasma TXB2 levels might be affected by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 PDF

${\omega}$-3 및 ${\omega}$-6계 지방산 첨가 사료의 급여가 어린 병아리에서 면역기관 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omega}$-3 and ${\omega}$-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Immune Organs in Young Chicks)

  • 안병기;연제영;지규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89-29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omega}$-6 및 ${\omega}$-3계 지방산을 함유한 유지의 첨가비율을 달리한 실험사료를 어린 병아리에서 급여했을 때 면연 기관의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5개의 처리구에 각 처리당 3반복을 두고 총 75수의 1일령 수평아리를 공시하였다. 옥수수유(CO)와 들깨유(PO)를 중량비로 각각 8%+0%, , 6%+2%, 4%+4%, 2%+6%, 0%+8% 수준으로 첨가한 반정제 실험 사료를 7주간 급여하였다. 실험 종료시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은 처리 간에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체중 100g당 간장 중량 및 면역 기관 중량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면역조직 내 지방산 조성은 EPA와 AA(arachidonic acid)를 포함하여 섭취한 사료 지방산의 조성을 잘 반영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면역기관 간에 그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들깨유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linoleie acid LA)의 비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반면 a-linolenic acid(LNA) 비율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흉선에는 .LA와 LNA의 함량이 다른 조직보다 현저히 더 많아서 섭취하는 지방산의 조성이 가장 잘 반영되었다. 비장 조직에는 HPA 및 AA 농도와 EPA/LNA, AA/LA의 비율이 다른 조직에 비해 현저히 더 높았는데 이는 비장이 LA나 LNA로부터 AA나 EPA로 전환하는 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실험사료 급여후 2, 4주후에 조사된 anti-BSA 항체가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CO 8%구에 비해 PO를 첨가한 모든 구에서 더 많이 생성되는 경향이 관찰되었고 특히 PO를 6% 및 8% 첨가한 실험구에서 20~30%나 더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섭취하는 지방산 조성에 따라 면역기관내 모든 지방산 조성이 변하였으며, 면역기관에 따라 그 반응정도가 달라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eicosanoids 합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가금에서 질병에 대한 면역력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앞으로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