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oleic acid methyleste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토코페롤류의 항산화작용과 Linoleic Acid Methylester에서 생성된 cis/trans-, trans/trans-Hydroperoxide Isomer (Antioxidant Effect of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and cis/trans-, trans/trans-Hydroperoxide Isomer from Linoleic Acid Methylester)

  • 이형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7-312
    • /
    • 1993
  • Linoleic acid methylester와 토코페놀류$({\alpha}-,\;{\beta}-,\;{\gamma}-,\;{\delta}-tocopherol$${\alpha}-,\;{\gamma}-,\;{\delta}-tocotrienol)$를 사용한 model system에서의 자동산화과정에서 온도$(40,\;60,\;80^{\circ}C)$와 산소의 양 $(0,\;10,\;20%\;O_2)$에 따르는 항산화효과를 고찰하였다. Linoleic acid methylester에서 생성된 주요 산화생성물인 13-cis/trans-, 13-trans/trans-, 9-trans/cis-, 9-trans/trans-hydroperoxide를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양적 변화로 항산화정도를 비교하였다. 모든 토코페롤류$({\alpha}-tocotrienol$제외)는 $60^{\circ}C$ 범위에서 항산화효과가 있었다. ${\alpha}-tocopherol$, ${\alpha}-tocotrienol$ and ${\delta}-tocotrienol$의 경우 $80^{\circ}C$ 범위에서 산화촉진효과가 관찰되었다. $40^{\circ}C$ 범위에서는 주로 cis/trans-hydroperoxide가 많이 생성되었고 $80^{\circ}C$ 범위에서는 trans/trans-hydroperoxide가 많이 생성되었다. $80^{\circ}C$ 범위의 hydroperoxide 생성량간의 오차가 심한 구간을 제외한 $40^{\circ}C/10%,\;O_2$에서부터 $60^{\circ}C/20%,\;O_2$까지의 산화구간에서 cis/trans-: trans/trans-hydroperoxides의 비율은 ${\alpha}-T>{\alpha}-T_3>{\gamma}-T>{\beta}-T>{\gamma}-T_3>{\delta}-T>{\delta}-T_3$의 순으로 고찰되어, 토코페롤류 중 ${\alpha}-tocopherol$이 가장 낮은 항산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불균일계 촉매에 의한 공액 리놀레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Synthesi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Methylester using Heterogeneous Catalysts)

  • 육정숙;이상준;김남균;김영운;윤병태
    • 공업화학
    • /
    • 제24권3호
    • /
    • pp.291-298
    • /
    • 2013
  • 공액 리놀레산 메틸에스테르는 불균일계 촉매인 니켈 담지 제올라이트계 촉매를 이용하여 리놀레산 메틸에스테르의 이성질화를 통해 합성할 수 있다. 니켈 담지 제올라이트계 촉매는 HY 제올라이트로부터 KCl 수용액을 이용해 이온교환하여 KY 제올라이트를 합성한 뒤 함침법을 통해 니켈을 담지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촉매는 수소를 이용하여 전처리하여 공액화 반응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낮은 온도에서 HY 촉매는 높은 전환율을 나타내었지만 공액화 반응에 대해 낮은 선택도를 나타내었다. KY 촉매는 낮은 온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전환율을 나타내었으나 높은 온도에서 HY 촉매와 유사한 전환율을 보였으며, 낮은 온도에서도 공액화 반응에 대해 높은 선택도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반응 온도 $220^{\circ}C$에서 4 wt% Ni/KY720을 이용하여 가장 높은 63.4%의 수율을 얻었다.

Antioxidative activity of compounds from cultivated Phellinus linteus

  • Jung, Eun-Joo;Yang, Ki-Soo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78.2-378.2
    • /
    • 2002
  • Phellinus linteus has been used as anti-tumor and immuno stimulating agents in folk remedies. From precipitate of MeOH ex. by activited guided fractionation. 5.8-epidioxy ergosta-6.22-dien-3ol. palmitic acid. linoleic acid, and methyl linolate. 3.4-dihydroxybenzoic acid methylester and 4-(3'4'-Dihydroxyphenyl)-3-butene-2one were isolated. DPPH method was used to examine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isolated compounds. As the result, 3.4-dihydroxybenzoic acid methylester, and phenolic compound. 4-(3'4'-Dihydroxyphenyl) -3-butene-2one were found to be a scavenger of 1,1-diphenyl-2-picrylhydrzyl radical. (omitted)

  • PDF

시판(市販) 식용유(食用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관關하여 (제 1보)(第 1報) (Composition of Fatty Acid in the Edible Oils)

  • 이순재;이만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53
    • /
    • 1977
  • 시판(市販) 고가(高價)의 기름에 저렴(低廉)한 기름을 혼입(混入)시키는 일이 흔히 일어나므로 이것을 쉽게 검색(檢索)하기 위한 방편(方便)으로 각 식용유(食用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gas chromatography 법(法)에 의해서 조성비(組成比)를 조사(調査)하였으며 이들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을 보면 참기름은 myristic, palmitic, stearic, linoleic acid와 미량(微量)의 linolenic acid로, 미강유(米糠油)와 대두유(大豆油)는 myristic,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및 linoleic acid, 들기름은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linolenic acid, 해바라기 기름은 palmitic, stearic, oleic acid 및 linoleic acid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참기름에도 linolenic acid가 극미량(極微量) 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것이 풍부한 타(他)의 기름이 혼입(混入)되었을 경우 쉽게 검출(檢出)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순무(Brassica campestris ssp rapa) 뿌리의 화학성분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Root of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 김정숙;최연희;서지희;이정원;김영섭;유시용;강종성;김영균;김성훈
    • 생약학회지
    • /
    • 제35권3호통권138호
    • /
    • pp.259-263
    • /
    • 2004
  • Twelve constituents were isolated from the MeOH extract of the root of Brassica campestris L. ssp rapa. They were identified as linoleic acid methylester (1), palmitic acid (2), ${\beta}-sitosterol$ (3), 1-methoxyindole-3-acetonitrile (4), indole-3-acetonitrile (5), linolenic acid (6), goitrin (7),4-hydroxycinnamyl alcohol (8), coniferyl alcohol (9), p-coumaroylglucose (11) and feruloylglucose (12),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respectively.

개체별 땀의 성분분포에 관한 연구 (Study on individual characterization of sweat components)

  • 최미정;하재호;유석;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0권5호
    • /
    • pp.434-441
    • /
    • 2007
  • 본 연구는 땀 성분 중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로서 한국인의 땀 중 지방산의 조성을 확인하여 지문을 비롯한 현장증거물의 효율적인 검색기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남성 5인을 대상으로 땀 시료를 얻고 지방산 37종의 methylester형태를 표준물질로 하여 GC-FID를 사용하여 조성비를 확인해 본 결과 20-30대 연령의 총지방산 함량은 56.4-72.0 %, 50대연령의 제공자의 경우 32.4-45.4%로 연령의 증가에 따른 총지방산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땀으로 배출되는 지방산으로는 총 28종이 검출되었고 C16:0 (palmitic acid), C16:1 (palmitoleic acid), C18:1n9c (oleic acid), C18:0 (stearic acid), C14:0 (tetradecanoic acid) 5종이 10-45%를 차지하면서 주성분임을 확인하였고 그 외의 C12:0 (lauric acid), C15:0 (pentadecanoic acid), C18:2n6c (linoleic acid), C18:2n6t (linolelaidic acid), C20:0 (arachidic acid), C24:0/C20:5n3 (lignoceric acid/eicosapentaenoic acid)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특히 C14:1 (myristoleic acid), C15:1 (pentadecenoic acid), C21:0 (heneicosanoic acid), C22:1n9 (erucic acid) 등의 지방산은 개체별 특이한 검출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에 있어서는 0.94:1에서 2.6:1의 비율을 보이면서 개인에 따라 큰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연령증가에 따른 총지방산의 감소는 주로 포화지방산과 단일불포화지방산의 배출감소에 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땀 중 아미노산의 경우 serine ($0-31.9{\mu}L/mL$), glycine ($0-18.9{\mu}L/mL$), threonine ($0-26.2{\mu}L/mL$)이 주로 검출되고 특히 20-30대 연령이면서 단백질의 섭취율이 높은 개체에서의 함량이 10배 이상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여 땀으로 배출되는 아미노산의 개체별 조성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