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width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5초

재생증폭기의 증폭특성에 관한 수치해석 (A Numerical Analysis of the Amplification Properties of the Regenerative Amplifier)

  • 김남희;김병태
    • 한국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7-73
    • /
    • 1994
  • 재생증폭기에서의 gain narrowing 현상, 비선형형상, 에너지 포화상태 등의 증폭특성 해석 및 최적 설계를 위한 시뮬레이션 코드를 개발하였다. 재생증폭기에서 gain narrowing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증폭매질의 중심파장에 일치하는 대칭인 펄스를 이득대역폭이 넓은 매질에 입사시켜야 한다. 재생증폭기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증폭매질로는 이득대역폭이 넓고, 비선형굴절율이 작으며, 고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Ti-Sapphire가 최적매질로 평가되었고, 재생증폭기 설계시 중요한 파라미터에 대하여 해석하였다.

  • PDF

광섬유에 유도되는 stimulated Brillouin scattering 현상이 광전송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측정 및 제거 (Suppression of Stimulated Brillouin Scattering Effect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 김향균;이창희;한정희
    • 한국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0-65
    • /
    • 1996
  • 광섬유에 유도되는 stimulated Brillouin scattering 현상이 광전송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전송실험을 통해 측정하였고 그 제거실험 및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외부변조방식의 2.5Gb/s 광전송에서 분산천이 광섬유의 경우 약 10dBm의 입사광세기에서 stmulated brillouin scattering 현상이 유도되기 시작하였으며 이 때문에 전송오율이 증가하였다. 광원의 선폭을 200MHz로 확대함으로서 송신출력을 15dBm으로 높여도 stmulated Brillouin scattering 현상이 제거됨을 관측하였다.

  • PDF

활성층 구조에 따른 DFB-LD의 선폭확대계수 및 미분이득 비교 (Comparison of linewidth enhancement factor and differential gain of DFB-LDs with various active layter structures)

  • 박경현;조호성;장동훈;이중기;김정수;이승원;김홍만;박형무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2A권8호
    • /
    • pp.86-93
    • /
    • 1995
  • Linwidth enhancement factor .alpha., linwidth, chirping and differential gain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and compared for each DFB-LDs containing active layers composed of bulk, MQW, and S-MQW, respectively. .alpha. of 6, 4 and 3.2 and chirping measured under 2.5Gbps modulation of 1.29nm, 0.67nm and 0.48nm were given for DFB-LDs of bulk, MQW and S-MQW active layers, respectively. And S-MQW has the largest differential gin of 2.4*10$^{-15}$ cm$^{2}$ (S-MQW) compared to the of 5.4*10$^{-16}$ cm$^{2}$(bulk) and 8.6*10$^{-16}$ cm$^{2}$(MQW). Linewidth enhancement facter .alpha. of less than 2 is expected with p-type modulation doped S-MQW DFB-LD.

  • PDF

$Mn_{0.05}Mg_{11.9-2x}Fe_{4x}O_{4+r}$+2wt%$Al_{2}O_{3}$ 조성내 Fe량 변화에 따른 마이크로파 손실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microwave loss of ferrite with various Fe contents in $Mn_{0.05}Mg_{11.9-2x}Fe_{4x}O_{4+r}+2wt%$Al_{2}O_{3}$)

  • 김성재;정명덕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1A권6호
    • /
    • pp.143-148
    • /
    • 1994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D.C resistivity of sample on electromagnetic loss of ferrite at microwave frequency, samples were prepared for having differences in resistivity of an order of two. Microwave permeability($\mu$), permitivity($\varepsilon$) and effective linewidth(${\Delta}H_{eff}$), and ferromagnetic resonance linewidth(${\Delta}$H) were characterized. Tan${\delta}{\mu}$, tan${\delta}{\varepsilon}$ and ${\Delta}H_{eff}$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sistivity and (${\Delta}$H)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Fe concentration, which was due to an increase of anisotropy magnetic field (=Ha).

  • PDF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이용한 단일 종모드 단방향 광섬유 레이저 (Single-longitudinal-mode unidirectional fiber laser using fiber Bragg grating)

  • 이정찬;전영민;김명욱;김봉규;이상배;김상국;최상삼;이상선
    • 한국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33-236
    • /
    • 1999
  • 광섬유 브래그 격자(fiber Bragg grating)와 서큘레이터(circulator)를 이용하여 좁은 선폭의 단일 종모드로 발진하는 단방향 어븀첨가 광섬유 레이저를 간결하게 구성하엿다. 이 레이저에서 발진되는 단일 종 모드의 선폭은 마하젠더 간섭계를 이용한 delayed self-heterodyne 검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된 선폭은 5 kHz 였다. 단일 종모드로 발진되는 최대 광출력은 2.7 mW였으며, 발진 중심파장은 1548 nm였다.

  • PDF

펨토초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환원된 그래핀의 최소 선폭 패턴 구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optimal reduced-graphene oxide line patterning by using femtosecond laser pulse)

  • 정태인;김승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57-162
    • /
    • 2020
  • 최근 레이저를 이용하여 환원된 친환경 그래핀 패턴 기술(Laser Induced Graphene, LIG)은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원하는 형태로 다양한 기판 위에 패터닝하는 것이 가능하여 신축 유연 전자 소자, 박막 형태의 에너지 저장 소자 등과 같이 새로운 친환경 전자 소자 제작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그래핀 패턴 구조를 이용한 전자 소자의 성능과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래핀 고유의 2차원 특성을 유지하면서 가능한 최소한의 선폭을 구현할 수 있는 최적화된 레이저 패터닝 조건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레이저 그래핀 패턴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Ti:sapphire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해서 그래핀 광-열 산화반응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그래핀의 최소선폭을 구현하였다. 레이저 에너지의 확산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레이저 광강도와 레이저 스캔 속도를 조절하여 최적의 그래핀 특성을 나타내는 패턴을 연구하였으며 18 ㎛의 집속된 빔을 이용하여 최소 30 ㎛의 이차원 그래핀 선폭을 구현하였다.

가간섭성 광섬유 센서에 대한 주파수 천이도의 영향 (Effect of spectral drift to coherent optical fiber sensor)

  • 최규남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77-282
    • /
    • 2016
  • 페브리-페로 공진루프에서 광궤환이 가간섭성 광섬유 레이저의 주파수 천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Er+3가 도핑 된 광궤환 방식 광섬유 레이저는 두 개의 광섬유브래그격자로 이루어진 페브리-페로 공진기에서 단방향 광궤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광궤환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광섬유레이저의 선폭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구성을 사용한 세 가지 광섬유 레이저는 모두 자기헤테로다인 선폭 측정 장치의 해상도 한계인 3kHz 이내로 나타났다. 마크-젠더 주파수 천이도 측정 장치의 한쪽 선로에 200m 길이의 광지연 선로를 두고 측정한 결과는 광궤환 방식 광섬유 레이저의 주파수 천이도가 광궤환이 없는 광섬유 레이저 보다 우수한 300kHz/sec으로 나타났다.

$CaC_6$ 결정에 대한 정상상태에서의 $^{13}C$ 핵자기공명 측정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Study of Graphite Intercalated Superconductor $CaC_6$ Crystals in the Normal State)

  • 김성훈;강기혁;민병진;;이무희;김준성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12권1호
    • /
    • pp.51-56
    • /
    • 2010
  • $^{13}C$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measurement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local electronic structure of a superconducting 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 $CaC_6$ ($T_c$ = 11.4 K). A large number of single crystals were stacked and sealed in a quartz tube for naturally abundant $^{13}C$ NMR. The spectrum, Knight shift, linewidth, and spin-lattice relaxation time $T_1$ were measured in the normal state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down to 80 K at 8.0 T perpendicular to the c-axis. The $^{13}C$ NMR spectrum shows a single narrow peak with a very small Knight shift. The Knight shift and the linewidth of the $^{13}C$ NMR are temperature-independent around, respectively, +0.012% and 1.2 kHz. The spin-lattice relaxation rate, $1/T_1$, is proportional to temperature confirming a Korringa behavior as for non-magnetic metals. The Korringa product is measured to be $T_1T\;=\;210\;s{\cdot}K$. From this value, the Korringa ratio is deduced to be $\xi$ = 0.73, close to unity, which suggests that the independent-electron description works well for $CaC_6$, without complications arising from correlation and many-body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