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 transect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초

Geostatistical Analysis of Soil Enzyme Activities in Mud Flat of Korea

  • Jung, Soohyun;Lee, Seunghoon;Park, Joonhong;Seo, Juyoung;Kang, Hojeo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2호
    • /
    • pp.93-96
    • /
    • 2017
  • Spatial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variable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spatial heterogeneity of those variables in intertidal flat. Variograms were constructed for understanding spatial autocorrelations of variables by a geostatistical analysis and spatial correlations between two variables were evaluated by applications of a Cross-Mantel test with a Monte Carlo procedure (with 999 permutations). Water content, organic matter content, pH, nitrate, sulfate, chloride,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four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beta}-glucosidase$, N-acetyl-glucosaminidase, phosphatase, arylsulfatase), and bacterial diversity in soil were measured along a transect perpendicular to shore line. Most variables showed strong spatial autocorrelation or no spatial structure except for DOC. It was suggested that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sediment might controls DOC. Intertidal flat sediment appeared to be spatially heterogeneous. Bacterial diversity was found to be spatially correlated with enzyme activities. Chloride and sulfate were spatially correlated with microbial properties indicating that salinity in coastal environment would influence spatial distributions of decomposition capacities mediated by microorganisms. Overall, it was suggested that considerations o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intertidal flat sediment should be included when sampling scheme is designed for decomposition processes in intertidal flat sediment.

길드에 의한 산림환경과 조류군집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on the Forest Environment and the Bird Community in Terms of ‘Guild’)

  • Lee, Woo-Shin;Park, Chandra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3호
    • /
    • pp.397-408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breeding bird community by using guild concept in Mt. Baekwoon Research Fores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Bird Community was studied by line transect method during the breeding seasons of birds in 1982 and its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Park et al. Work in 1993. Guilds were characterized by nesting and foraging sites as follows: nesting guild - (H) hole, (C) canopy, (B) bush, (E) edge; and foraging guild - (o) outside, (c) canopy, (b) bush. Bush-nesting guilds such as Tricolor Flycatcher (Ficedula zanthopygia), Blue-and-White Flycatcher (Cyanoptila cyanomelana), Stonechat (Saxicola torquata), Bush Warbler (cettia diphone) and Skylark (Alauda arvensis) had disappeared after ten years. Outside-foraging guilds such as Common Buzzard (Buteo buteo), sparrow Hawk (Accipiter nisus) and Carrion Crow (Corvus corone) also were not observed. There was a sharp decrease of species richness of bush-nesting guild, canopy-foraging guild and bush-foraging guild compared to ten years ago. These decreases indicate that forest environment of this area has been changed for the ten years, and guild concept in this study can be used usefully to elucidate the change of bird community according to the change in forest environment.

  • PDF

광릉숲에서 개벌 후 나비군집의 변화 (Change of Butterfly Communities After Clear Cutting in Gwangneung Forest)

  • 이철민;권태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47-354
    • /
    • 2014
  • 본 연구는 개벌 후 나비군집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1년 개벌지, 임도, 산림에서 5월부터 11월까지 선조사법을 실시했다. 조사결과, 총 32종 398개체의 나비가 관찰되었다. 먹이생태지위 범위와 서식처 유형에서의 나비 개체수는 개벌지가 산림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나비의 종수와 종다양도는 개벌지가 산림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개벌지에서 환경부 취약종 기생나비와 은점표범나비의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개벌로 인하여 형성된 초지는 산림생태계에서 나비의 다양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Ecological responses of natural and planted forests to thinning in southeastern Korea: a chronosequence study

  • Cho, Yong-Chan;Pee, Jung-Hun;Kim, Gyeong-Soon;Koo, Bon-Yoel;Cho, Hyun-Je;Lee, Chang-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4호
    • /
    • pp.347-355
    • /
    • 2011
  • Effects of forest thinning on community level properties have not been understood yet in Korea. We investigated regeneration patterns and trajectories after a disturbance by applying a chronosequence approach. Light availability, litter and woody debris cover, and species composition were determined for twenty 50 m line-transect samples representing a disturbance duration gradient (within 11 year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availability and coverage of woody debris and litter changed abruptly after thinning and then returned to the pre-disturbance state. Although species richness was gained at shrub and ground layer in a limited way in both forests, cover of various functional types revealed diversity in their responses. Notably, Alnus firma stands exhibited a larger increment of cover in woody plants. Ordination analysis revealed different regeneration trajectories between natural and planted stands. Based on ordination analysis, rehabilitated stands showed movement to alternative states compared with natural ones, reflecting lower resilience to perturbation (i.e., lower stability). Our results suggest that community resilience to artificial thinning depends on properties of the dominant species. But to get more explanatory ecological information, longer-term static observations are required.

A New Abundance Estimate for the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on the West Coast of Korea: An Indication of Population Decline

  • Park, Kyum Joon;Sohn, Hawsun;An, Yong Rock;Kim, Hyun Woo;An, Doo Ha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4호
    • /
    • pp.411-416
    • /
    • 2015
  • We estimated abundance of the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in the west coast of Korea in 2011 and compared it to the abundance data estimated by Park et al. (2007). The two researches used same line transect method operated by a vessel, and the study area were divided into the offshore and the inshore regions to assess variations in their abundance. In offshore regions population density of finless porpoises was $0.122ind./km^2$, which was lower than $0.565ind./km^2$ estimated in 2004. In inshore regions the population density was $0.151ind./km^2$, which was much lower than $0.638ind./km^2$ estimated in 2005. Thus, we estimate that the population densities of the finless porpoises in both the offshore and the inshore regions of the west coast of Korea has decreased by approximately 70% between 2004/2005 and 2011.

청미천 유역 내 산림사면에서 단면선에 따른 토양수분특성의 공간적 및 계절적 변동 (Spatial and Seasonal Variability of Soil Moisture Responses along Transect Line on a Forest Hillslope in the Cheong-Mi Catchment)

  • 곽용석;김상현;이정훈;이연길;정성원;김수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73-473
    • /
    • 2015
  • 토양수분은 수문학적 과정의 시공간적 변동과 수자원 관리 및 계획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의 원인규명에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의 단면선에 따른 토양수분의 분포 및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청미천 유역내의 사면에서 10개월 동안의 토양수분들을 측정하여, 토양깊이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토양수분특성은 간단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그리고 토양수분의 감쇄기울기 값으로 표현하였다. 추가적 연구로, 측정지점의 위치, 지형, 토성의 토양수분에 대한 반응분석을 하였다. 깊은 토양층에서의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는 지표층에서의 공간적 분포 경향과는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사면의 지형 및 위치 그리고 토성의 공간적 분포는 토양수분의 시 공간적 분포특징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부흐름의 기여를 받는 측정지점에서는 토양수분 변동의 안정화가 진행이 되는 것으로 보이며, 수문학적 경계(Hydrologic Threshold)에 대한 추가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부사면에서의 높은 토양수분 변동성 및 뷸 균질적인 공간적 분포는 우선적 흐름발달의 영향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전남 여수 금오도 인공어초 설치 해역의 해조류 분포 (Seaweed distribution on the area of artificial reefs in Geumo-do, Yeosu)

  • 김철원;정달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7권1호
    • /
    • pp.45-56
    • /
    • 2015
  • 2017년도 여수 금오도에서 패조류 어초설치와 해조번식을 위한 베드장 조성을 위하여 해조류 생물상 조사한 결과 해조류 출현종은 녹조류 4종, 갈조류 9종, 홍조류 15종으로 총 30종이 출현하였으며 현존량도 1600~4000g/m2로 같은 시기의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부인 조간대에서는 출현종수와 우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하대인 수심 1~3m에서는 해조류 현존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심 4~6m의 하부에서는 출현종, 우점도 및 현존량 모두 낮게 나타났다. 본 조사시 나타난 특징은 금오도 지역은 조하대 수심 4~6m권에서 갯녹음현상 발생으로 해조류 군집이 급격이 감소되어 이 해역에 해조류형 어초나 해조배드를 설치하여 자원량을 증강시키는 것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해조류형 어초시설의 경우 투하시기는 해조류의 포자가 방출되기 전인 시기인 초봄시기에 시설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되며 수심은 보상심도가 유지되는 3~6m권내에 설치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부산 용호동 일대의 저서 해조상 및 군집구조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Yongho-dong Area in Pusan, Korea)

  • 남기완;김영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74-384
    • /
    • 1999
  • 부산 용호동 일대의 저서 해조상 및 군집구조가 1996년 7월부터 1997년 4월까지 계절별로 각 transect line을 따라서 방형구법에 의하여 조간대와 조하대 지역에서 조사되었다. 이 지역에서 남조식물 3종, 녹조식물 13종, 갈조식물 26종, 홍조 식물 57종으로 총 99종이 동정 분류되었다. 이중에서 35 분류군은 연중 출현하였으며, Ulva pertusa와 Corallina pilulifera는 4계절 우점 하여 나타났다. Enteromorpha spp.와 Ulva spp.는 주로 상부와 중부에 분포하는 반면에, Symphyocladia latiuscula, Chondria crassicaulis, Corailina pilulifera 및 Sargassum spp.는 주로 하부지역에 분포하였다. 단위면적당 평균생물량은 $1,241 g/m^2\~1,648 g/m^2$의 범위로서, 봄에는 낮았고 여름에 높았다. 종다양도지수는 봄에 최대값을, 가을에 최소값을 기록하였다. UPGAM에 의한 군집분석결과, 조사된 5개의 지점은 외해에 노출되어 있는 지역(transects 1, 2, 3)과 부산항 쪽으로 면하여 있어서 비교적 덜 노출되어 있는 지역 (transeco 4, 5)의 2개의 군으로 분리되었다. 외해에 노출되어 있는 지역은 주로 갈조식물인 Sargassum과 Hizikia가, 덜 노출되어 있는 지역에서는 Ulva pertusa와 Lomentaria가 주로 발견되었으며, 양 지역 모두에서는 석회조류인 Corallina pilulifera가 일년 내내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조사지역에서는 과거에 비하여 출현종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근래에 본 조사지역 인근의 연안 해양환경에 부하될 수 있는 물리, 화학적인 잠재적 오염원을 고려할 때, 차후 본 지역의 해조 식생의 변화에도 시사하는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간벌에 의한 서식지 구조와 양서·파충류 개체군의 특성 차이 (Differences in Habitat Structure and Herpetofauna Populations Caused by Thinning)

  • 박창득;정지화;손승훈;황현수;이우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2호
    • /
    • pp.268-273
    • /
    • 2016
  • 본 연구는 간벌에 따른 서식지 구조와 양서 파충류 개체군 특성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2014년과 2015년의 6월부터 9월까지 강원도 홍천군 매화산의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에서 각각 실시되었다. 산림의 수직구조를 파악한 결과, 모든 임상에서 간벌 이후 산림환경이 구조적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특히 간벌 후 중층 및 하층의 피도량이 감소한 반면, 도목잔존물의 수와 부피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에 각각 2개 조사구, 총 4개 조사구 내에서 간벌 전과 후 월별 1회씩 총 32번의 선형횡단조사를 통해 양서류는 5종 119개체, 파충류는 3종 5개체가 확인되었다. 임상별 관찰된 평균 종수 및 개체수 차이를 파악한 결과, 침엽수림에서는 양서류의 평균 종수가 간벌 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참개구리(Pelophylax nigromaculatus)와 북방산개구리(Rana dybowskii) 등 2종이 차이를 보였다. 파충류는 관찰 간벌 후 모든 임상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향후 간벌에 따른 양서 파충류의 개체군 특성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간벌의 규모와 빈도, 강도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정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남해안 여자만 조간대 퇴적물의 시공간적 변화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idal Flat Sediments in Yeoja Bay, South Coast of Korea)

  • 최정민;이연규;우한준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3-267
    • /
    • 2005
  • 반폐쇄성 만인 여자만 조간대 퇴적물의 물성 및 집적률의 시공간적 분포 및 변화를 밝히고자 조간대 표층퇴적물을 분석하였다. 연중 관측결과 각 측선별 월별 입도조성 변화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퇴적물 조성에서 점토가 약 $40\~70\%$로서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점토의 함량은 만 북측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서측에서 가장 낮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점토의 함량변화에 따라 함수율과 유기물함량도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이며, 평균입도도 세립화되었다. 전단응력은 전체적으로 0kPa로 나타났으며, 계절별 변화는 각 조간대에서 거의 동일하게 겨울과 봄에는 점토함량이 높고 여름과 가을에는 낮은 함량분포를 보였으며, 겨울과 봄에 퇴적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조간대 집적률 측정결과 평균 $-14.62\~38.57mm{\cdot}yr^{-1}$로써 북측이 $32.13mm{\cdot}yr^{-1}$, 서측이 $-14.62mm{\cdot}yr^{-1}$, 그리고 동측이 $6.46mm{\cdot}yr^{-1}$로 나타났다. 연구 기간 중 퇴적물의 퇴적은 북측 조간대에서 퇴적이 일어났으며, 서측 조간대에서는 침식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측 조간대에서는 북서측 조간대와는 다른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여자만 해수 흐름이 시계방향 흐름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계절별로는 건기(겨울과 봄)에 퇴적되었으며, 우기(여름과 가을)에 침식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