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 transect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19초

가죽나무군락의 공간별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Diffusion Patterns of Ailanthus altissima Communities)

  • 이창우;황선민;길지현;김영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50-560
    • /
    • 2012
  • 본 연구는 가죽나무의 확산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공간분포를 조사하고 입지특성, 식물상 분석을 실시하여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지점은 군락의 우점도가 높고, 생육입지가 균질한 유형을 고려하여 김천, 산청과 양평의 3장소를 선정하여 Line-transect 방법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분포 면적 크기는 양평 1,435 $m^2$, 김천 1,118 $m^2$, 산청 760 $m^2$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총 510개체가 공간상에서 무작위(random)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흉고직경(DBH) 계급범위(Class) 중 I(1.0-3.4 cm), II(3.5-6.4 cm))에 포함되는 가죽나무는 평균 83.2%로 가죽나무군락은 직경이 작은 개체가 우점하며 생육지의 교란정도에 따른 분포 패턴이 밝혀졌다. 식물상은 총 43과 75속 91종이 조사되었으며 3지역 모두 일년생식물(Th)이 가장 높게 나타나, 생육지가 최근에 교란이 발생된 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가죽나무개체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선 도로변 개체군 제거와 동시에 산지개체군제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Spati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in Yellow Sea surface sediments

  • Hwang, Choul-Hee;Kim, Keun-Yong;Lee, Yoon;Kim, Chang-Hoon
    • ALGAE
    • /
    • 제26권1호
    • /
    • pp.41-50
    • /
    • 2011
  • Yellow Sea surface sediment samples collected on October 15-31, 2003 were analyzed using the palynological process to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The sampling areas comprised four latitudinal transects, the northernmost of which was located off the Shandong Peninsula, China and the southernmost off Jeju Island, Korea. Each transect line was composed of six to nine stations, span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hinese and Korean coasts. Twenty-five different types of dinoflagellate cysts were identified. Gonyaulax scrippsae, Alexandrium spp. (ellipsoidal type), and G. spinifera were the most dominant at all stations surveyed. Dinoflagellate cysts belonging to the Gonyaulacales comprised over 50% of all cysts collected. The latitudinal distribution trend showed that cyst concentrations along the two middle transect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along the two northern and southern transects. Cyst concentrations in the offshore central areas reached their highest values within each transect and gradually decreased toward the Chinese and Korean coasts. Overall, cyst concentrations were markedly elevated in the offshore central Yellow Sea areas and gradually decreased outward in all four directions. This concentric cyst distribution pattern was consistent with the hydrographic features of the Yellow Sea, such as circular current systems, sedimentary properties, and water depth.

한국 동해 밍크고래 Balaenoptera acutorostrata의 자원개체수 추정 (Abundance Estimates of the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the East Sea, Korea)

  • 박겸준;안용락;김장근;최석관;문대연;박지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42-649
    • /
    • 2009
  • Line transect data from sighting surveys conducted in the East Sea, Korea in 2000, 2002, 2003, 2005 and 2006 were analysed to estimate densities and numbers of minke whale. The half-normal model was fit to the survey in 2000 and the uniform model was the most fitable to the survey in 2002 and 2006, and the surveys in 2003 and 2005 were fit by the hazard-rate model. The estimated density of minke whale in the survey in 2000 was estimated as 0.026 individuals/$km^2$ (CV=0.409; 95% CI 0.011-0.065) and was higher than the survey in 2002 estimated as 0.018 individuals/$km^2$ (CV=0.329; 95% CI: 0.009-0.034). The estimated density of minke whale in the survey in 2003 was estimated as 0.033 individuals/$km^2$ (95% CI: 0.008-0.139) with the highest CV 0.760. The highest density was estimated in the survey in 2005 with 0.053 individuals/$km^2$ (95% CI: 0.020-0.141). The Lowest CV (0.306) was estimated in the survey in 2006 with 0.025 individuals/$km^2$ (95% CI: 0.014-0.046). A total of 500 bootstrap samples were generated within each stratum. Density, CV and 95% CI of each surveys were increased than analytic results except the survey in 2003. There were no increasing or decreasing annual trends in the density of minke whales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 A long-term monitor and survey is needed to assess project minke whale abundance in the East Sea.

강원도(江原道) 중왕산(中旺山) 지역(地域) 소나무 천연림(天然林)내 숲틈 갱신(更新) 소나무의 수관(樹冠) Architecture (Crown Architecture of Pinus densiflora in Canopy Gap of Natural Forests at Mt. Joongwang in Kangwon-do)

  • 김영환;이돈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543-551
    • /
    • 2000
  • 소나무의 갱신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 소나무 천연림에서 교란에 의해 형성된 숲틈을 대상으로 line-transect 조사법에 의해 소나무의 수관 architecture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갱신 초기단계에 소나무는 숲틈에서 생장환경에 적응능력을 나타내었고 소개된 임분에서 자라는 소나무에 비해 architecture 특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소나무 천연림내 숲틈에서 소나무의 주 가지의 분지각의 변이폭은 작았고 주 가지의 길이 생장량은 가지 연령이 4~5년생 일 때까지 비교적 크게 나다났고 그 이후에는 점차 작아졌다. 숲틈에서 소나무의 줄기로부터는 주 가지가 평균 5개씩 발생하였고 주가지에서는 잔가지가 평균 4개씩 발생하였다. 줄기에서 발생한 주 가지는 방위별로 균일한 분포양상을 나타내었지만 주가지에서 발생하는 잔가지의 수는 숲틈의 크기가 $100{\sim}120m^2$이하일 때 주로 $S44^{\circ}E{\sim}S90^{\circ}W$ 사이의 방위에 많이 분포하였다.

  • PDF

Ten Years' Monitoring of Intertidal Macroalgal Vegetation of Hyogo Prefecture, Northwestern Coast of Honshu, Japan to Assess the Impact of the Nakhodka Oil Spill

  • Kawai, Hiroshi;Kamiya, Mitsunobu;Komatsu, Teruhisa;Nakaoka, Masahiro;Yamamoto, Tomoko;Marine Life Research Group of Takeno, Marine Life Research Group of Takeno
    • ALGAE
    • /
    • 제22권1호
    • /
    • pp.37-44
    • /
    • 2007
  •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heavy-oil pollution by the 1997 Nakhodka oil spill on the intertidal macroalgal vegetation, we have been monitoring succession in the intertidal flora since 1997 at Oh-ura, Takno, and Imago-Ura Cove, Kasumi in Hyogo Prefecture, northwestern coast of Honshu, Japan. We employed two different monitoring methods: 1) The percent cover of macro-algae (seaweeds) in 1 x 1 m quadrats along 450 m intertidal transects parallel to the shoreline were assessed and recorded by photographic imaging until 2002, and for 30-40 m transects of the most heavily polluted areas in 2004 and 2006; 2) The percent cover of macro-algae in 0.5 x 0.5 m quadrats along a transect line perpendicular to the shore were recorded and all macrophytes within the quadrat were completely removed to record the wet weight of each taxon (1997-2006). Based on the monitoring data, we conclude that the high intertidal zone at Imago-ura, where a large part of the stranded oil accumulated, suffered the heaviest damage and experienced the slowest recovery. In addition, although the original status of macroalgal vegetation before the impact was not well-documented, it appeared that recovery from the damage caused by the oil pollution required four to five years.

속리산 국립공원의 이용객이 야생조류 서식에 미치는 영향 (User′s Effects on Avifauna in Sokri Mountain National Park)

  • 이우신;이준우;김준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1-62
    • /
    • 1990
  • 본 연구는 속리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이용객이 야생조류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를 위하여 주등산로, 부등산로, 등산금지구역 등 총 4개의 조사지를 설정하여, 1989년 12월부터 1990년 10월 사이 4회에 걸쳐 line transect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텃새 23종, 여름철새 7종, 겨울철새 2종, 나그네새 4종의 총 36종 570개체로 평균서식밀도는 2.35마리/ha이었다. 주요 우점종은 박새, 쇠박새, 곤줄박이, 동고비의 순이었고. 이용강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박새류의 우점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출현종수, 출현빈도 및 종다양도 모두 이용강도가 높은 지역에서 겨울철이나 봄철보다 이용객이 많아지는 여름철과 가을철에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상대적으로 이용강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변동이 적었다. 야생조류의 평균 출현빈도는 3.4회/km이였으며, 겨울철과 봄철에 비해 여름철이 30%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이 야생조류의 종수, 종구성, 종다양도 및 출현빈도는 이용객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용객이 집중하는 여름철과 이용강도가 높은 주등산로에서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용자에 의한 영향이 큰 주등산로와 여름철에 집중적인 이용을 제한하는 등 적극적인 야생조류의 보호대책이 요망된다.

  • PDF

국내 온대 혼효림에 서식하는 산림성 조류의 번식기 개체군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Population Monitoring Methods for Breeding Forest Birds in Korean Temperate Mixed Forests)

  • 남현영;최창용;박진영;허위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663-674
    • /
    • 2019
  • 조류는 포획과 채집에 의존하지 않고 관찰 조사를 통해 서식 현황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생태계 지표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산림성 조류의 개체군 변동을 파악하기 위한 통일된 모니터링 지침이 아직 없으며 이를 위한 자료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중부의 온대혼효림 두 곳에 서식하는 번식기 산림성 조류를 대상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선조사 및 조사시간이 다른 정점조사를 적용하여 그 조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단위 조사노력당 관찰되는 종수 및 개체수는 선조사와 정점조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서로 다른 연구지역의 조류상 차이를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점조사에서는 단위 정점당 조사 시간이 길수록 종과 개체수가 많이 관찰되었으나, 조사횟수를 누적하면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점조사와 선조사 모두 조사반경이 커질수록 단위 정점 또는 구간 내에서 더 많은 종과 개체수가 관찰되었으며, 정량적 또는 정성적인 목적에 따라 활용할 수 있도록 거리에 따라 구분하여 다층구조로 결과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류의 관찰률은 일출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감소하므로, 조사는 일출 후 4시간 이내의 가급적 이른 오전에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지역의 산림성 조류의 전체 종 풍부도의 70%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7.0-7.6시간이 소요되는 42회(95% 신뢰한계: 26-61회)의 3분 정점조사 또는 33회(95% 신뢰한계: 19-53회)의 5분 정점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반면 동일한 수준의 종 풍부도 파악을 위해서는 26회(95% 신뢰구간: 15-45회)의 200 m 세부구간에 대한 선조사가 필요하며, 이는 약 4.8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선조사는 정점조사에 비해 대상 지역의 전체적인 종 풍부도를 파악하는데에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향후 산림성 조류조사의 목적과 규모, 현장상황 등에 따라 본 연구에서 확인된 조사방법을 택일하거나 병행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비용 효율적 표준지 조사를 위한 표본추출방법 비교 사례연구: 임의추출법, 계통추출법, 선상추출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Case Study on Sampling Methods for Cost-Effective Forest Inventory: Focused on Random, Systematic and Line Sampling)

  • 박주원;조승완;김동근;정건휘;김보미;우희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3호
    • /
    • pp.291-299
    • /
    • 2020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애당리 수확 벌채 지역을 대상으로 다양한 표본추출방법을 적용하여 재적을 산출한 후 실제 벌채량 및 설계서상의 재적 값과의 비교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비용 효율적인 표본추출방법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표본추출방법으로는 1) 임의추출법, 2) 계통추출법, 3) 선상추출법을 적용하였으며, 각 표본추출방법별로 이동시간, 추정된 재적평균의 표본 오차율, 조사시간, 조사원 규모, 시간당 임금, 표본점 개수 등을 이용하여 표본추출방법에 대한 산림조사의 비용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각 표본추출방법별로 10개의 표본점을 추출하였으며, Bootstrap 기법을 이용하여 표본 강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선상추출법이 임의 및 계통추출법보다 실측된 재적 값과의 재적 편차가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산림 조사 비용 측면에서는 목표 표준오차율에 상관없이 임의추출법을 활용한 산림조사가 조사비용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선상추출법과 임의추출법을 통한 산림조사 방법이 계통추출법을 이용한 방법보다 비용 효율적이며 재적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례 연구의 특성상,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어, 향후 국내의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동일한 방법의 연구가 진행된다면, 국내 산림의 환경적 특성을 반영한 표본추출방법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서해안 상괭이 (Neophocaena phocaenoides)의 분포와 풍도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phocaenoides) in the West Coast of Korea)

  • 장창익;박겸준;김장근;손호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9-136
    • /
    • 2004
  • Visual line-transect surveys for the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phocaenoides) were conducted in the offshore of the west coast of Korea (WCOK) from 18 April to 17 May 2001 $(34^{\circ}18'\;to\;37^{\circ}18'N,\;123^{\circ}00'\;to\;126^{\circ}00'E),$ and in the inshore of the west coast of Korea (WCIK) from 29 July to 2 August 2003 $(35^{\circ}17'\;to\;36^{\circ}17'N,\;126^{\circ}00'\;to\;126^{\circ}25'E).$ A total of transect survey efforts were 810.27 n.m. in 2001 and 216.09 n.m. in 2003, which cover a survey areas of $23,012\;n.m^2\;and\;1,550\;n.m^2,$ respectively. There were 76 and 24 sightings for the finless porpoise during the surveys in the WCOK (2001) and the WCIK (2003), respectively. More than $80\%$ of the finless porpoise occurred near the coast within 15 n.m. from the land. Porpoise were observed mainly in a depth range from 20 to 50 m $(78\%).$ Few porpoise were observed in a depth shallower than 10 m or deeper than 60 m. The hazard-rate model, truncated at the largest $5\%$ distance, showed the best fitting from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perpendicular distance of the finless porpoise sighted from the trackline in the WCOK (2001), while the uniform model showed the best fitting from in the WCIK (2003). Abundance of finless porpoises were estimated to be 58,650 individuals ($95\%$ CI=34,961-98,389) in the WCOK (2001) and 1,571 individuals ($95\%$ CI=881-2,800) in the WCIK (2003), respectively.

제주도 문섬 조하대에 서식하는 연산호군락의 태풍에 의한 영향 분석 (Image Analysis of Typhoon Impacts on Soft Coral Community at Munseom in Jeju, Korea)

  • 강도형;송준임;최광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25-34
    • /
    • 2005
  • Impacts of Typhoon Maemi on a soft-coral community located on subtidal cliff at Munseom, Jeju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using underwater photography. Typhoon Maemi hit Jeju Island in late September 2003 and its impact was strong enough to destruct most shallow water sessile benthos including soft corals. To estimate numbers and size of soft-coral colonies, a line transect was installed on the cliff at depth from 3 to 9 m and photographs were taken serially by every 1m. From each $1{\times}1m$ underwater photograph, species and size of soft-coral colony was determined. Number of soft-coral colony and its Percent coverage (PC) in each $1m^2$ quadrat was calculated. Soft corals Scleronephthya gracillium, Dendronephthya gigantea, D. spinulosa and D. castanea were identified from the photographs. Dendronephthya sp. was mainly distributed at 3-6m while S. gracillimum was mostly occurred at $6{sim}9m$. A survey conducted before the typhoon showed that number of the soft-coral colonies at $3{\sim}4m,\;4{\sim}5m,\;5{\sim}6m,\;6{\sim}7m,\;7{\sim}8m\;and\;8{\sim}9m$ was 17, 24, 20, 23, 18 and 30 $colonies/m^2$ or 21, 48, 36, 28, 24 and 43%, respectively. After the typhoon, number of soft-coral colonies in the transect increased, 31, 35, 21, 10, 21 and 50 $colonies/m^2$ while PC was remarkably decreased as 21, 23, 21, 5, 9 and 13%, respectively. Our data suggested that the impact was limited in larger colonies; larger soft coral colonies were selectively destroyed and removed while the small colonies underneath the larger colonies remained undestroy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