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 resistance

검색결과 1,377건 처리시간 0.03초

배추 유래 저온 저항성 관련 유전자, BrCSR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a Cold Tolerance-related Gene, BrCSR, Derived from Brassica rapa)

  • 유재경;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1호
    • /
    • pp.91-99
    • /
    • 2014
  • 본 연구는 배추에서의 저온 저항성 유전자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먼저 저온($4^{\circ}C$) 스트레스가 처리된 내혼계배추를 대상으로 한 KBGP-24K oligo chip의 결과 [BrEMD(Brassica rapa EST and Microarray Database)]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3,929개의 배추 unigene 중 저온 처리시 대조군 대비 5배 이상 발현이 증가하는 417개(1.7%)의 저온 반응 유전자를 1차 선발하고, 이들 중 기능이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완전장을 갖추고 있는 BrCSR로 명명한 유전자를 선발하였다. 이 유전자의 저온 저항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형질전환용 과발현 vector인 pSL101 binary vector를 제작하여 담배에 형질전환시켰다. BrCSR이 과발현된 $T_1$ 세대 담배 형질전환체들은 PCR과 Southern hybridization 분석에 의해 선발하였고, BrCSR의 기능은 저온 처리 시 유전자의 발현 수준 분석과 표현형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Quantitative real-time RT-PCR과 Northern blot hybridization 분석 결과, 형질전환 담배에서 BrCSR의 발현이 대조군보다 약 2배 정도 높게 발현되었으며 실제로 $4^{\circ}C$ 처리 후 표현형 분석에서 BrCSR이 과발현된 형질전환체들이 대조군보다 우수한 저온 저항성을 보여 주었다. 위 결과들에 근거하여 BrCSR 유전자가 저온 환경 하에서 식물의 생장과 저항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oRAM의 4bit 셀 어레이 구조와 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센싱 기법 (The 4bit Cell Array Structure of PoRAM and A Sensing Method for Drive this Structure)

  • 김정하;이상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4권6호
    • /
    • pp.8-1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PoRAM의 4bit 셀 어레이 구조와 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센싱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PoRAM은 기존의 SRAM이나 DRAM과는 다른 동작을 취한다. PoRAM 소자의 상단전극과 하단전극에 전압을 가했을 때 저항 성분 변화에 따른 셀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상태를 구분한다. 셀 어레이의 새로운 어드레싱 방법으로, 행-디코더는 "High", 열-디코더는 "Low"로 선택하여, 셀에 해당하는 전류가 워드라인에서 비트라인으로 흐르게 하였다. 이때 흐르는 전류를 큰 값으로 증폭시켜 원하는 값을 얻고자 전압 센스 앰플리파이어를 사용한다. 이는 전압 센싱 방법인 전류 미러를 이용한 1단 차동 증폭기를 사용한다. 전압 센스 앰플리파이어에서 증폭을 시켜주기 위해 셀에서 측정된 전류 값을 전압 값으로 변환시켜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1단 차동 증폭기 입력 단에 소자 저항인 diode connection NMOS을 달아주었다. 이를 사용함으로써 전류 값과 저항 값의 곱으로 나타내어진 입력값(Vin)과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지우기 상태일 경우에는 "Low", 쓰기 상태일 경우에는 "High"로 증폭되는 것을 확인했다.

SCBA 면체용 다자간 동시 양방향 팀 통신모듈 개발 (Development of Multipoint Simultaneous Full-duplex Team Communication Module for SCBA)

  • 김시국;최수길;임우섭;한용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165-172
    • /
    • 2019
  • 본 연구는 소방대원들이 화재현장에서 진압 및 구조 업무 활동 시 필수로 착용하고 있는 SCBA 시스템에 팀원 간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다자간 동시 양방향 통신이 적용된 SCBA 면체용 무선통신 모듈을 설계·제작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본 시험 조건에서 팀 통신모듈 성능평가결과 가시거리(LOS)에서 500 m 이상 통신이 가능하며, 건축물 내부 수평 통신거리는 1:1로 최소 36 m에서 최대 51 m까지 측정되었다. 또한, Ad-hoc 기능을 구현하여, 3 hoc 자동중계로 통신거리가 128 m 까지 확대되었다. 건축물 내부 수직 통신거리는 오픈된 계단실의 경우 5층까지, 구획된 계단실의 경우 3층까지 통신되었고, 2 hoc 자동중계를 통해 5층까지 모든 통신이 가능하였다. 화재상황을 가정한 통신 성능실험결과 별도의 PTT 키 조작 없이도 소방무선통신 표준약어를 5명의 팀원이 정확히 인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불꽃저항성 실험결과 950 ± 50 ℃의 불꽃에 5 s간 노출 후 즉시 소화되어 내염성을 지닌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벼 형질전환계통의 미질특성에 대한 고찰 (Studies on the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Transgenic Lines)

  • 정종민;정지웅;강경호;이상복;모영준;김정곤;김경민;손재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203-211
    • /
    • 2013
  • 국내 대학과 국립식량과학원 간의 협력 연구를 통해 확보된 32개 벼 형질전환 계통들 중 작물학적 성능이 유망한 11개 계통들에 대해 작물학적 특성과 미질 특성이 평가되었다.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이들 계통들은 수량성, 환경스트레스저항성, 내병성에 관여하는 7종의 유전자가 니폰바레, 낙동벼, 동진벼 등에 형질전환 되어 육성된 계통들이다. 2. 미질 특성과 관련된 11개 조사형질을 이용한 다변량 분석결과, 형질전환에 이용된 모품종과 도입유전자들에 대한 각 형질전환 계통군들의 뚜렷한 집구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실용적 측면에서는 작물학적 특성이 모품종과 유사하면서 미질 특성이 양호한 계통이 다수 확인되었다. 4. 그러나 모품종의 유용한 작물학적 특성, 즉 '상품성'을 온전히 견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계통은 선정하기 어려웠다. 5. 도입할 유전자의 선정과 유전적으로 고정된 형질전환 계통을 확보하는데 소요되는 경비와 시간을 고려할 때, 향후 우량 벼 형질전환 계통의 육성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비해 보다 구체적이며 차별화 된 육종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10 mm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입도 기준 연구 (A Study on Aggregate Gradation of 10 mm Dense-graded Asphalt Mixture using Slag Aggregate)

  • 조신행;김경남;김낙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1367-1375
    • /
    • 2015
  • 제강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박층 아스팔트 포장공법을 위해 10 mm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 입도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WC-1, WC-3과 같은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 입도기준은 퓰러모델에 의해 제시되었으나 10 mm 밀입도 아스팔트의 경우 최대밀도선과 유사한 입도를 얻게 되어 부드러운 혼합물이 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국외 입도기준을 참고하여 골재 맞물림과 최소 골재간극률을 확보하기 유리한 입도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입도의 검증을 위해 골재 입도특성지표인 입도비(GR)와 골재다짐밀도(CAD)를 사용하여 혼합물 물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골재 입도 및 다양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CAD 지표의 $R^2$가 0.86~0.9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CAD 지표를 이용하여 다양한 골재 입도를 검토한 결과 제시 입도기준이 마샬안정도와 VMA 등 배합설계 인자에 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균열저항성 향상을 위해 0.3 mm 이하 골재의 통과중량백분율을 10% 이상으로 제한함으로서 터프니스가 약 15% 향상되어 효과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간척지 식물군락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목포지방을 중심으로- (An Ecological Study on the Process of Plant Community Formation in Tidal Land)

  • 김철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4권4호
    • /
    • pp.27-33
    • /
    • 1971
  • Informatio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its formation in the tidal area surrounding Mokpo City the examined area included the stand in Sam-Hak Do wherein sands have inflowed, and the stand in Kat-Ba-Woo which has been left as tidal soil land. Two hundred stands were sampled by making 100m line transects 5m apart and establishing 30cm$\times$30cm quadrates 10m apart on each tape. These data were used to establish frequency, cover degree, density, standing crop (g/$m^2$), contained Cl in the soil, and pH.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ing: 1. There were 25 species of plants in the stands from Sam-Hak Do, 18 in the stands from Kat-Ba-Woo, and so 28 species in all. Regardings the importance value, the rank of dominant species is Salicornia herbacea L., Suaeda maritima Dumorties, Diplachne fusca L., Echinochola hispidula Nakai, Cyperus iria L., Setaria lutescens Hubbard in Sam-Hak Do, and Suaeda maritima Dumorties, Echinochloa hispidula Nakai, Aster tripolium L., Scripus maritimus L., Salicornia herbacea L., Diplachne fusca L., in the lands from Kat-Ba-Woo. Among them are five kinds of halophytes Salicornia herbacea L., Suaeda maritima Dumorties, Atriplex Gmelini C.A. Meyer, Aster tripolium L., and Limonium tetragonum Bullock; and two Kinds of naturalized plants Diplachan fusca L., Aster subulata. M. In the stands from Sam-Hak Do there was evidence of a secondary succession phenomena in the presence of Cyperaceae such as Cyperus liria L., Juncus decipiens Nakai, and Fimbristylis longispica Steudal, which could not be found in the stands from Kat-Ba-Woo. 2. On the number of species of vegetation, the further inland from the floodgate the higher the number; that is, the lower the content of Cl the higher the number of species. 3. On the distribution of the vegetation; comparing DFD index and Cl content, the main plants are Salicornia herbacea L., Suaeda maritima Dumorties, Atriplex gmelini C.A. Meyer, Diplachne fuscal, Echinochola hispidula Nakai where the Cl content of soil is more than 13.2%. 4. On the standing crop; Salicornia herbacea L., which has high resistance to salt, was half the total was production of 1090/$m^2$ while Suaeda maritima Dumorties was 1/4, Diplachne fusca L. 1/8, and Echinochloa the least. Analyzing the result, the research indicates that the main factor in plant community formation in tidal land is tolerance for Cl, and that a plan for utilizing the halophytes which are abundant in tidal land should be devised.

  • PDF

표면 미세가공에서 Al 전극 및 Al 미세 구조물 제작을 위한 습식 식각 공정 (Wet Etch Process for the Fabrication of Al Electrodes and Al Microstructures in Surface Micromachining)

  • 김성운;백승준;이승기;조동일
    • 센서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24-232
    • /
    • 2000
  • 표면 미세가공 공정에서 Al 공정을 이용하면 Al 전극의 제작에 의해 접촉 저항이나 선 저항 등을 줄여 전기적인 신호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산화막을 희생층으로 사용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Al 구조물 제작이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실제 공정에서는 Al 전극이나 Al 구조물이 희생층 제거 시에 사용되는 HF 용액에 의해서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희생층 식각액인 BHF/glycerine 혼합 용액에 대한 PSG와 Al의 기본적인 식각 특성은 표면 미세가공에서 발생하는 구조적인 제한 조건에 따라 상당히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희생층의 구조적 특성과 Al 박막의 증착 표면 거칠기의 변화로 인한 식각 특성의 변화를 고려하여 실제로 표면 미세가공에 적용 가능한 혼합 용액의 조건을 조사하였다. 희생층 식각 조건변화에 따른 BHF/glycerine 혼합용액의 최적 혼합비는 $NH_4F$:HF:glycerine=2:1:2에서 가장 좋은 식각 선택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실험 결과를 실제 Al 전극 제작에 적용한 결과 Al 패턴이 희생층 식각액에 대해서 우수한 내식성을 보였다. 또한 Al의 식각액에 대한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MP 공정을 도입하여 증착 표면을 개선시켰으며 이를 Al 구조물의 제작에 적용하여 식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식각 조건을 이용하면 Al 전극과 Al 구조물을 표준적인 표면 미세가공 공정을 통하여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 PDF

털목이 신품종 '건이' (Characterization of a new variety Auricularia polytricha (Mont.) Sacc.'Geoni')

  • 김길자;이숙재;김명석;안호섭;김동관;권오도;박흥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1-214
    • /
    • 2016
  • '건이'는 2012년 전남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털목이 품종으로 2009년 JNM-Mi-21008과 JNM-Mi-21014의 단포자 교배를 통하여 2010년 1차 선발하였다. 2011년부터 2012년까지 특성 및 생산력 검정을 실시한 결과 갓색이 연갈색으로 우수하고 병해충에 강한 계통번호 JNMMI249를 우수균주로 선발하였고 이 계통을 2013년 '건이'라는 이름으로 품종보호출원하여 2016년 등록하였다(제109호: 2016. 6.9.). 건이의 갓은 연갈색으로 매끈하여 기호성이 높으며 씹힘성이 좋고 식이섬유 함량이 높다. 원균배양에 알맞은 배지는 MCM, 맥아, PDA배지이다. 톱밥 봉지재배시 자실체 특성으로 갓색은 연갈색이며 유효경수는 39개/0.9 kg로 많았고 갓 직경 6.9 cm, 갓 폭 8.7 cm로 갓 크기는 작은 경향이다. 배양기간은 $20^{\circ}C$에서 40~54일이며 발이 및 생육기간은 20일로 기존품종보다 다소 긴 편이며 수량은 0.9 kg 봉지당 291 g 정도이다. 또한 병해충에 강하며 2차 균사발생, 부패 등 불량환경조건에서도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교배모본 및 대조구와의 대치선이 형성되었으며 RAPD를 이용한 유전적 다형성 검정 결과 모균주와 유의적 구별성을 보였다. 또한 식이섬유 함량이 높고 씹힘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산만지역 충적점토의 토질특성에 관한 연구(II) (Studies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Alluvial Clayey Deposits in the Bay Area of Asan (II))

  • 유능환;유연택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5-66
    • /
    • 198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ous engineering properties and correlationshops among the soil constants of alluvial clayey deposits distributed in the bay of Asan and thei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Grain size distribution of soil was consisted of 12 % of clay, 46-73 % of silt, 2-23 % of sand, and as for the consistency characteristics, 26-36 % of liquid limit, 18-21 % of plastic limit and 6-16 % of plastic index, and so the soil belonging to as a lower plastic nonorganic clay, it's specific gravity was 2,66-2.70, and the location on the plastic chart was approximately above the A-line. Z The natural moisture content and unit weight were 30-43 % and 1.76-1.87 g I cm$_3$, respectively, and according to increment of natural moisture content, the unit weight was decreased, and the initial void ratio and degree of saturation were shown of 0,87-1119 and 92- 100 %, most of saturated. 3. Cone resistance value which was shown 2.4 - 6.5 kg / $cm^2$ was a little lower and it was increased with the depth of layer and shown the formular $q_c=0.7_z+1.32$. 4.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was about 0.18-0.43kg /$cm^2$, cu, 0.1-0.22kg / $\psi$, $2-6^{\circ}$ under uu-test condition of triaxial, and CCU, 0.08-0.3 kg/cm , $\psi$, $12-18^{\circ}$ under the condition of cu-test. 5. Pre-consolidation load of characteristics of consolidation was 0.4-0.8 kg / $cm^2$, compression index, about 0.17-0.33. 6. Liquid limit and plastic index were incresased with the increment of clay content but most of alluvial clay was appeared as a normal through non-activity clay soil shown more natural moisture content than liquid limit, and their relationship as follows : LL=0.38( cy+54.8), PI=0.836(LL -17.8), PI =0.468(LL -0.48) 7. The initial void ratio presented correlationship of positive among clay content, natural moisture content and liquid limit, and that of reverse with unit weight, and their results as follws : $e_o=0.024(w_n+0.2)$, $e_o=e_o=0.0003c_y+0.0005 LL+0.0151 W_n+\frac{3.58}{r-t}-1.52$ 8. It was shown that the compression index has correlationship of postive among the clay content, liquid limit, plastic index, natural moisture content and initial void ratio, and their relationships as follows ; $c_c=0.44(e_o-0.47)$, $c_c=0.001$

  • PDF

Comparative Evaluation of Probiotic Activities of Bifidobacterium longum MK-G7 with Commercial Bifidobacteria Strains

  • Jung, Hoo-Kil;Kim, Eung-Ryool;Ji, Geun-Eog;Park, Jong-Hyun;Cha, Seong-Kwan;Juhn, Suk-La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147-153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probiotic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Bifidobacterium longum Mk-G7 with weveral commercial and type strains of bifidobacteria. bif. longum MK-G7 showed the highest acid tolerance against HCl and acetic acid, whereas bif. infantis Y-1 showed the lowest acid tolerance and more than 4 log cycles of viable cell count decreased due to acid injuty. Viable cell counts of bifidobacteria strains decreased more than 1.5 log cycles owing to oxygen toxicity, with the exception of Bif. longum MK-G7, Bif. infantis Y-2, Bif. longum Y-3, Bif. longum Y-6, and Bif. longum RD-13 showed the highest bile tolerance, whereas Bif. longum MK-G7 showed a medium level of bile tolerance. Only Bif. longum MK-G7 howed much higher antibiotic resistance against both tetracycline and penicillin-G in the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level of 24.8 mg/I and 0.52mg/I, respectively. Bif longum Y-6, and Bif. bifidum ATCC 29539 showed more than 80% of anti-mutagenicity against NQO(4-nitroquinolinel-oxide). Since the production of cytokines such as $TNF(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L (interleukin)-6, and NO(nitric oxide) in th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cells increased as Bif. longum MK-G7 cell concentration increased, ti was suggested that Bif. longum MK-G7 is able to enhance immunopotentiating activity in vitro. When freeze-dred Bif. longum MK-G7 was administered to mice at the dose of 1,2,4, and 6 g/kg of body weight, all of the mice survived in all feeding groups, proving the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 status of Bif. longum MK-G7. When fermented milk containing Bif. longum MK-G7 was administered to human volunteers, viable cell count of total bifidobacteria and anaerobes in the feces increased up to 0.5 log cycles more than before the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Bif. logum MK-G7 ingibited the growth of Bacteroides at the level of 1.0-1.5 log cyc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