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 microscope(LM)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4초

Salix viminalis의 화분형태(花粉形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Contribution to the Pollen Morphology of Salix viminalis L.)

  • 김계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64-67
    • /
    • 1984
  • 버드나무속(屬)은 최근(最近) 바이오매스 측면(側面)의 에너지 생산(生産)과 제지산업(製紙産業) 등(等)에 그 중요성(重要性)이 증가(增加)되고 있으며 유전적(遺傳的)인 개량(改良)과 화분(花粉) 알레르기의 예방(豫防) 연구(硏究) 등(等)에 화분형태(花粉形態)의 조사(調査)가 요구(要求)되는 바 Salix viminalis의 화분형태(花粉形態)에 관(關)하여 광학현미경(光學顯微鏡)과 주사형(走査型)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조사(調査)하였다.

  • PDF

New records of five taxa of unarmored and thin-walled dinoflagellates from brackish and coastal waters of Korea

  • Hojoon Choi;Minji Cho;Sunju Kim
    • 환경생물
    • /
    • 제39권4호
    • /
    • pp.573-580
    • /
    • 2021
  • Unarmored and thin-walled dinoflagellates were collected from brackish and coastal waters of Korea from August 2019 to August 2021. A total of 10 species belonging to orders Sussiales and Gymnodiniales were isolated and established as clonal cultures. Of them, five species (Biecheleria brevisulcata, Lepidodinium chlorophorum, Karlodinium decipiens, Kirithra asteri, and Wangodinium sinense) are newly recorded in Korea and examined using a light microscope (LM)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eir molecular phylogeny was inferred from LSU rDNA sequences. Here, we present taxonomic information, morphological features, and molecular phylogenetic positions of these unrecorded dinoflagellate species.

New Record of Thapariella anastomusa (Trematoda: Thapariellidae) Metacercariae in Northern Thailand

  • Phalee, Waraporn;Phalee, Anawat;Wongsawad, Chalobo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6권1호
    • /
    • pp.49-52
    • /
    • 2018
  • The family Thapariellidae has been reported in only 3 countries since 1990.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apariella anastomusa metacercariae in snails in Thailand based on morphological traits using a light (LM)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 total of 94 Filopaludina snail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s 50 F. martensi martensi and 44 F. doliaris. Metacercariae of T. anastomusa were recovered from the snails by the crushing method. The overall prevalence was 22.3% (21/94), and the mean intensity was 17.0 per snail. The prevalence in F. martensi martensi was 24.0% (12/50) and F. doliaris 20.5% (9/44) with the mean intensity of 18.8 and 14.8 per snail, respectively. SEM revealed traits such as a concave ventral body and well-developed oral and ventral suckers. This study represents the first report of T. anastomusa in South East Asia. While LM and SEM observations provide novel insights into T. anastomusa metacercarial morphology and life history, the trematode's life cycle remains unclear. To date, there has been no report of T. anastomusa causing infections in humans. However, the snails F. martensi martensi and F. doliaris carrying the infective stages of T. anastomosa are frequently consumed by Thai people. This consumption, particularly uncooked snails, may present a risk of Thapariella infections in humans.

신장 조직의 방사선 손상과 천연물질의 방어기전 연구 (Protection Effect of Natual Matter and Radiation Damage on Kidney Tissue)

  • 지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76-384
    • /
    • 2009
  • 본 연구는 방사선조사 후 신장 조직의 손상과 방어기전을 알아보고자 생쥐 모델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광학현미경(LM)의 관찰 결과; 5Gy 조사 후 10일된 신장 조직에서는 정상조직과 비교하여 사구체가 위축되었으며, 10Gy 관찰에서는 곱슬세관(convoluted tubules)의 막이 파괴되어 세포질이 유출되었다. 투과전자현미경(TEM) 관찰 결과; 5Gy 조사에서는 사립체의 막이 파괴되거나 함몰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내부 크리스테의 형태도 소실되었다. 또한 일부에서는 핵막의 파괴도 확인되었다. 10Gy 조사한 조직에서는 기저막의 파괴가 뚜렷하게 관찰되고, 용해소체도 비후 된 것을 관찰하였다. 하지만 프로폴리스 섭식한 실험 군에서는 소기관의 형태가 뚜렷하게 관찰되었고, 핵막과 염색질도 선명하게 관찰되어 방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산 사초과 3속(검정방동산이속, 좀바늘사초속, 너도고랭이속)의 분류학적 검토 (A taxonomic study on the Fuirena, Kobresia, and Scleria of Korea(Cyperaceae))

  • 오용자;이창숙;이재경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63-382
    • /
    • 2002
  • 한국산 사초과 3속, 검정방동산이속(Fuirena), 좀바늘사초속(Kobresia), 너도고랭이속(Scleria) 식물 3분류군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다. 또한 광학현미경(LM)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줄기와 잎의 단면,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줄기의 길이와 너비, 잎의 너비, 비늘조각의 길이, 포의 길이와 너비, 수과의 길이, 모양, 부리의 모양, 화피의 유무, 암술머리 등의 외부형태형질과 수과와 잎의 표피형(수과의 표피세포의 모양, 잎표피의 규소체형, 잎표피세포, 기동세포의 유무), 잎과 줄기의 횡단 모양 등이 속, 종을 구별하는 유효형질이었다. 이들 분류형질을 기준으로 학명과 국명을 재정리하였다.

한국(韓國)에서 생육(生育)하는 땅비싸리속(屬)(콩과(科))의 화분형태(花粉形態) (A Contribution to the Pollen Morphology of Indigofera(Fabaceae) in Korea)

  • 성은숙;김계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213-220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생육하는 땅비싸리속 6분류군의 화분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립은 단립이며, 적도면 입상은 약장구형 혹은 아장구형이고, 발아구는 삼공구형이고, 표면무늬는 DMIP상이거나 VPPS상이었다. 본 속은 mesocolpium, apocolpium 그리고 구구 주변의 표면무늬에 따라 Decora, Kirilowii, Koreana 화분형으로 구분되었다. 염색체 수와 mesocolpium 표면무늬에 연관성이 있고, Decora와 Krilowii 화분형은 Koreana 화분형에서 분지된 듯 보인다.

  • PDF

Taxonomy and distribution of two small Tryblionella (Bacillariophyceae) species from the Northeast Asian tidal flats

  • Im, Ari;Khim, Jong Seong;Park, Jinso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191-197
    • /
    • 2020
  •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Tryblionella are important members of the diatom assemblages of benthic environments such as tidal flats. Their proper identification is thus of great importance in terms of taxonomy, ecology, as well as environmental sciences. However, many species of the genus have been neglected and/or misidentified during diatom studies of Korean tidal flats possibly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species. Lack of proper references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species is also noted. To better understand the diversity of Tryblionella species, sediment samples were taken from various tidal flats of the Yellow Sea. Light microscope (L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observations have shown the presence of Tryblionella adducta and T. hyalina, which have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from Korean tidal flats. The former was found mostly from sand flats and the latter from mudflats.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study would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and ecology of benthic diatoms of the Korean tidal flats.

한국산 골풀아재비속 3종의 분류학적 검토 (A taxonomic study on genus Rhynchospora Vahl in Korea)

  • 오용자;이창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93-409
    • /
    • 2003
  • 한국산 골풀아재비속 3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다. 줄기와 잎의 단면, 및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줄기, 잎, 잎싸개, 포, 꼬마이삭, 비늘조각, 수과의 길이와 너비, 암술머리의 수, 꼬마이삭, 비늘조각, 수과의 모양 등의 외부형태형질과 줄기와 잎의 횡단모양, 유관속의 수, 수과의 표피 세포의 모양, 잎표피의 규소체의 형태, 기공복합체의 빈도, 부세포의 모양 등의 미세형태형질이 이들 분류군의 유용한 분류형질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 (Carex subgen. Carex) 6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ix sections Ischnostachyae, Anomalae, Capitellatae, Debiles, Capillares and Molliculae of Carex L. in Korea (Cyperaceae))

  • 오용자;이창숙;윤자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97-319
    • /
    • 2004
  •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 (Carex subgen. Carex)의 염주사초절 (sect. Ischnostachyae), 참삿갓 사초절 (sect. Anomalae), 바늘사초절 (sect. Capitellatae), 길뚝사초절 (sect. Debiles), 묏풀사초절 (sect. Capillares), 애기흰사초절 (sect. Molliculae) 등 총 6절 14분류군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과낭, 수과,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포, 과낭, 수과의 길이와 너비, 잎의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기본세포줄, 기공줄의 수)과 정성적 형질[암/수꽃이삭, 비늘조각, 과낭, 수과, 과낭, 수과의 표피세포, 잎의 표피 구성요소(기본표피세포의 모양, 세포벽의 굴곡, 규소체의 모양, 부세포의 모양), 잎의 앞 뒷면의 유두돌기, 가시돌기 및 털의 유무] 등이 종을 동정하고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이삭의 수, 암/수꽃이삭의 배열, 포의 유무로 바늘사초절과 나머지절로 2개의 그룹으로 크게 나눌 수 있었다.

백서 좌골신경에 시행한 박동성 고주파술 (Pulsed Radiofrequency)이 급성 통증과 신경조직에 미치는 영향 (The Analgesic Effect and Its Neuropathologic Changes of Pulsed Radiofrequency Lesions in the Sciatic Nerve of the Rat)

  • 이기헌;신근만;권경석;정배희;임소영;홍순용;최영희;박영의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3권2호
    • /
    • pp.149-155
    • /
    • 2000
  • Background: Pulsed radiofrequency (RF) lesioning is a painless procedure and causes no neurodestruction and neuritis-like reaction are common following conventional RF lesioning. There is little data about the effect of pulsed RF especially with regard to its suitability for the treatment of acute pain. The possibility of a placebo effect cannot be ruled out because a double-blind study was not performed in previous studies. There is also no neuropathologic study about pulsed RF. Methods: The rats were anesthetized with sodium pentobarbital (40 mg/kg, i.p.; supplemented as necessary). The common sciatic nerve was exposed by blunt dissection through biceps femoris. Pulsed RF was administered to the common sciatic nerve using a 30 ms/s pulse with for 120 seconds. The temperature reached was no more than $42^{\circ}C$. Analgesia was determined using hot-plate assay shortly and, 3 days and 1 week before, and 2 weeks after operation. Lesions were examined with LM (light microscope) and EM (electron microscope) 2 weeks later.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sponse latencies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many vacuoles with hyaline bodies in the Schwann cell cytoplasm rather than axon in LM and larger electron dense bodies. No changes were found in the axon or unmyelinated fibers. Only small changes were found in the sheaths of myelinated fibers and Schwann cells. Conclusions: We therefore do think that any analgesic effect of pulsed RF is not a result of block of neural conduction. But rather than it can be attributed to others factors. It was also ineffective as a treatment for acute pain such as that caused by the hot-plate t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