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 curing

검색결과 464건 처리시간 0.028초

가시광선(可視光線)의 치질투과(齒質透過) 후(後) 복합(複合)레진 경도(硬度)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URING EFFECT OF COMPOSITE RESIN BY VISIBLE LIGHT THROUGH TOOTH SUBSTANCE)

  • 방상훈;박상진;민병순;최호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2권1호
    • /
    • pp.85-93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ing effect of visible light through tooth substance, 0.5mm, 1.0mm thickness of enamel and dentin were prepared. Experimental specimen were made by Bisfil M & Silux packing into cylindrical brass mold 6.0mm in diameter, 2.0mm and 3.0mm, in height. All specimen were irradiated by visible light (Grip type) model No. SDL-50 Shofu Co.) for 30 seconds through tooth substance. Experimental groups were classified into enamel group (group 1) and dentin group (group 2)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ooth materials and then were divided into 2 subgroups (0.5mm group and 1.0mm group). In experimental groups, visible light irradiated to the specimen through either 0.5mm in thick or 1.0mm in think of tooth material. In Control group specimen were prepared by direct irradiation on the specimen surface of visible light without through tooth substance. The hardness was measured with a Barcol hardness tester (Barber-Colman Co. U.S.A.) for each prepared specim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ontrol group, there were higher hardness values than those of in experimental group. 2. In experimental groups, 0.5mm groups had higher hardness values than 1.0mm groups did. 3. The hardness value at top surface of the specimen were higher than the hardness of bottom surface in each group. 4. Bisfil M had higher hardness values than Silux. 5. In all specimen of 3.0mm height polymerization effect was not occurred at bottom surface except Bisfil M in control group.

  • PDF

다이내믹 패턴 형성기를 이용한 마이크로 광 조형기술에서 미세 구조물 제작 및 수지경화특성에 관한 연구 (The Fabrication of Microstructures and Curing Characteristics in Photopolymer on the Microstereolithography using a Dynamic Pattern Generator)

  • 권변호;최재원;하영명;김현수;원명호;이석희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81-1185
    • /
    • 2005
  • Microstereolithography has evolved from the stereolithography technique, and is also based on a light-induced layer-stacking manufacturing. Integral microstereolithography is proposed for building a 3D microstructure rapidly, which allows the manufacture of a complete layer by one irradiation on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integral microstereolithography apparatus based on the use of $DMD^{TM}$ as dynamic pattern generator. It is composed of Xenon-Mercury lamp, optical devices, pattern generator, precision stage, controllers and the control program. Also, we estimated curing characteristics in photopolym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cosity of diluent-oligomer solutions and curing width, irradiation time and curing property has been studied.

  • PDF

자외선 경화에 의한 PET 니트직물의 편면 발수발유 가공 (Preferential face coating of knitted PET fabrics via UV curing for water- and oil-repellent finish)

  • 정용균;정영진;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27-35
    • /
    • 2005
  • Conventional pad- dry-cure(thermo-fixation) process usually produces functional performance on both sides of a fabric. UV curing technique was applied to impart water- and oil-repellent finish effective only on the face of a PET knitted fabric. The preferential one-side coating, by virtue of the limited penetration of UV light, was achieved by W curing after padding of a fluorocarbon agent without special coating or printing equipments. The difference in the functional property of face and back sides was examined by measuring water and oil repellency at each side of the treated fabric. The influence of pre/post-irradiation dose and agent concentra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finished fabrics were investigated. While increase in both resin concentration and post-irradi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finish, UV pre-irradiation of PET fabrics caused remarkable influence presumably due to appropriate surface modification of PET fabrics required for facile wetting of the resin. The dimensional stability and color change of the UV cured fabrics measured by FAST and reflectance spectrophotometry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color difference and increased percent extension compared with the samples pre-irradiated without agent application.

서중환경에서 표면피복 양생재 종류변화가 콘크리트의 초기 온도이력 및 균열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현장적용성 평가 (Field Application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Surface Covered Curing Blankets on Temperature Profile and Crack Occurrence of the Concrete under Hot Weather Condition)

  • 한민철;이상운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4권5호
    • /
    • pp.27-34
    • /
    • 2018
  • Concrete placed under hot weather condition suffers from larger slump loss, rapid moisture evaporation due to high air temperature. Proper measures for material, transportation and curing should be taken to prevent the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concrete under hot weather condition. In Korea, Although the period of hot weather concrete in Korea occupies only 2 months, there are a lot of quality problems including plastic, drying shrinkage and cold joint.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temperature history and crack occurrence of the concrete, which was placed in the actual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field under hot weather condition, in response to the application of surface covered curing blankets including PE film, single layer clear bubble sheet, white colored bubble sheet and aluminum metalized bubble sheet.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application of white colored bubble sheet and aluminum metalized bubble sheet showed most favorable results in terms of reduction in temperature rise and crack occurrence as well as easiness in handling. But, due to light reflection by aluminum metalized bubble sheet, it is believed that white colored bubble sheet is preferable.

광중합기를 이용한 광학적 치아우식활성도 검사법 (DEVELOPMENT OF OPTICAL CARIES ACTIVITY TEST USING DENTAL CURING LIGHT)

  • 이난영;김미라;오유향;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71-679
    • /
    • 2004
  • 레이저와 플라스마 광, 할로겐 광 중합기를 이용하여 각 개인의 우식 활성토를 측정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7-8세 아동 45명을 대상으로 치아의 순면과 협면에 각 광원을 조사하고 특수 필터를 사용하여 초기 치아우식증으로 판별된 치아의 개수를 측정하여 기존의 우식활성도 측정방법인 dDfFtT rate와 mutans streptococci 측정법, Lactobacilli 측정법과 비교, 평가하고 그 특이도, 민감도, 예측력을 평가하였다. 1. 아르곤 레이저, 플라스마 광, 할로겐 광 조사시 육안검사시 보다 유의하게 많은 초기우식 병소가 관찰되었다(p<0.05). 2. 아르곤 레이저, 플라스마 광, 할로겐 광을 이용한 우식활성도 측정법은 dDfFtT rate와 양의 상관관계 (${\gamma}=0.42,\;0.41,\;0.39$)를 보였다(p<0.01). 3. 기존의 우식활성도 측정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한 결과 특이도와 민감도, 예측력은 모두 레이저가 가장 높았으며 플라스마 광, 할로겐 광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아르곤 레이저와 플라스마 광, 할로겐 광을 이용한 형광법은 모두 양호한 진단학적 지표를 보여줌으로써 향후 광학적 우식활성검사법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광중합형 레진으로 아말감 면에 브라켓 접착 시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adhesive to amalgam surface using light-cured resin)

  • 조지영;이동렬;임용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43-450
    • /
    • 2005
  • 본 연구는 아말감 면에 광중합형 레진으로 교정용 브라켓을 접착시킬 경우, 광원의 차이(할로겐 광중합기와 light-emitting diode (LED) 광중합기)와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 여부에 따른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발거된 소구치 30개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였으며 법랑질 표면을 산부식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브라켓을 접착하였다. 60개의 다른 소구치에 아말감 충전을 하여 실험군으로 이용하였다. 두 군에서 할로겐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시키고 브라켓이 탈락될 때까지 힘을 가해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전단결합강도는 약 3-5.5 MPa로 대조군(19MPa)보다 낮았다. 실험군에서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를 한 경우, 할로겐 광중합기를 사용한 군이 LED 광중합기를 사용한 군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P<0.05),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광원에 따라 전단결합강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할로겐 광중합 군과 LED 광중합 군 모두에서 샌드블라스팅 여부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아말감 면에 광중합형 레진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할 경우 할로겐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로 얻을 수 있는 접착제의 결합강도는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낮게 나타나, 이의 증진 방법을 도모하기 위해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유구치 I급 와동에서 와동벽 위치와 중합광원에 따른 Microtensile Bond Strength 비교 연구 (MICROTENSILE BOND STRENGTH ACCORDING TO DIFFERENT DENTIN WALL POSITIONS AND CURING LIGHTS IN CLASS I CAVITY OF PRIMARY MOLAR)

  • 이현헌;장철호;김영재;김정욱;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2-72
    • /
    • 2007
  • 이번 실험에서는 중합수축 응력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유구치 I급 와동에서 와동벽의 위치와 중합광원의 변화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는 응력의 차이를 microtensile bond strength (MTBS)를 이용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합면 법랑질을 제거한 하악 제 2유구치 30개를 준비하여 I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 후 3가지 중합광원: 할로겐 램프, 플라즈마,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10개씩 광중합하였다. 복합레진을 한꺼번에 충전 후 각각의 중합기로 광중합하였다. 동일 치아에서 각각 치수벽과 축벽의 MTBS 측정용 시편을 제작하고 각 군을 중합광원과 와동벽 위치에 따라 할로겐 램프 - 축벽군, 할로겐 램프 - 치수벽군, 플라즈마 - 축벽군, 플라즈마 - 치수벽군, 발광다이오드 - 축벽군, 발광다이오드-치수벽군의 6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만능시험기에서 MTBS를 측정하고 파절편과 와동의 단면을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동일 중합광원에서 와동벽 간 비교는 T-test, 동일 와동벽에서 중합광원 간 비교는 One-way ANOVA와 Tukey's post hoc test를 이용하였고 Weibull 분포분석을 하였다. 동일 중합광원 군간 비교에서 모두 치수벽 시편의 접착강도가 축벽 시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동일 와동벽 군간 비교에서 모두 중합광원에 따른 접착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축벽 시편이 치수벽 시편보다 낮은 Weibull 변수(m)를 나타내었고 SEM 관찰 결과 축벽 시편에서 보다 더 불균일한 접착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치질을 투과한 조사광에 의한 복합레진 중합시 치질의 두께, 광세기 및 조사 시간이 복합레진의 표면 경도에 미치는 영향 (SURFACE HARDNESS OF THE DENTAL COMPOSITE CURED BY LIGHT THAT PENETRATE TOOTH STRUCTURE ACCORDING TO THICKNESS OF TOOTH STRUCTURE, LIGHT INTENSITY AND CURING TIME)

  • 조수경;김동준;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2호
    • /
    • pp.128-13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치질을 투과한 광에너지량을 측정하고 치질을 투과한 광에너지에 의한 광중합 복합레진의 중합 정도를 표면 경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광조사기로는 할로겐 광원을 사용하는 Optilux 501 (Demetron, USA)을 사용하였으며, 중합용 light guide는 840 mW/$cm^2의 광세기를 갖는 직경 12 mm의 light guide와 1100 nW/$cm^2$의 광세기를 갖는 직경 7 mm의 Turbo light guide를 사용하였다. 광원을 투과시킬 치질은 건전한 상악 중절치의 순면에서부터 법랑질과 상아질을 포함하도록 $0.7{\times}0.7\;cm$의 크기로 두께 1.0 mm와 2.0 mm의 치아 절편을 준비하였다. 직경 5 mm, 두께 2 mm의 주형에 Al 색상의 광중합 복합레진(Charisma, Kulzer, Germany)을 충전하고 각 군에 주어진 조건에 따라 광중합하였다. 시편은 크게 치질의 두께에 따라 (대조군, 1 mm, 2 mm) 3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은 다시 light guide의 종류와 광조사 시간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제작된 시편은 미세경도측정기를 이용해 광조사면의 비커스 경도를 측정한 결과, 2 mm 치질군과 대조군의 Turbo-light guide으로 40초 동안 중합한 시편이 가장 높은 표면 경도값을 보였으며, 2 mm 치질군에서 light guide의 종류에 상관없이 20초 동안 중합한 시편들이 가장 낮은 표면 경도값을 보였다 (p < 0.05). 이상의 결과는 1 mm 이하와 같은 얇은 치질을 투과하여 복합레진을 중합하는 경우 광세기와 광조사 시간을 증가시키면 중합 정도도 증가하나, 특정 두께 이상의 치질을 투과 시 광세기나 광조사 시간을 증가시키더라도 중합 정도의 증가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한다.으로의 변위를 보였고, 그 외의 지점에서는 내측변위를 보였다. 각 군 간의 변위차이는 6 mm 지점에서 H군이 컸다(p < 0.05). 5. 근관의 중심 이동률은 6 mm 지점에서 H군이 R군에 비해 유의하게 컸지만 다른 모든 위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 < 0.05). 본 실험결과를 토대로 할 때, 각 평가 항목에서 측정 위치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었으나, 중심 이동률은 대부분의 위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만곡 근관을 성형시에는 세 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이 더 유용하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된다.야 하겠다. 안정 생산을 위한 재식거리는 $12{\times}11$ cm라고 생각되어 진다. 갖거나 기능기를 가짐으로써 독특한 물성을 지니는 신규의 MCL-PHAs 개발에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X>와 올리고당 $20\~25\%$를 첨가하여 제조한 curd yoghurt는 저장성과 관능적인 면에서 우수한 상품적 가치가 인정되는 새로운 기능성 신제품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여자의 경우 0.8이상이 되어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범위에 속하는 수준이었다. 삼두근의 두겹 두께는 남녀 각각 $20.2\pm8.58cm,\;22.2\pm4.40mm$으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상태는 전체 대상자의 $84.4\%$가 대부분이 하루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있었으며 식사속도는 허겁지겁 빨리 섭취하는 경우가 남자는 $31.0\%$, 여자는 $21.4\%$로 나타났고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은 보통 속도 혹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식사를 하였다. 평소 식사량은 조금 적게 혹은 적당하게 섭취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는 배부르게 먹는 경 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식사는

중합광원과 레진 색상이 복합레진의 중합깊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SOURCE AND SHADE ON DEPTH OF CURE OF COMPOSITES)

  • 나준석;정선와;황윤찬;김선호;윤창;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6호
    • /
    • pp.561-568
    • /
    • 2002
  • Purpose of this research is estimating polymerization depth of different source of light. XL 3000 for halo-gen light, Apollo 95E for plasma arc light and Easy cure for LED light source were used in this study. Different shade (B1 & A3) resin composites (Esthet-X, Dentsply, U.S.A.) were used to measure depth of cure. 1, 2, and 3 mm thick samples were light cured for three seconds, six seconds or 10 seconds with Apollo 95E and they were light cured with XL-3000 and Easy cure for 10 seconds, 20 seconds, or 40 seconds. Vicker's hardness test carried out after store samples for 24 hours in distilled water. Results were as following. 1. Curing time increases from al1 source of lights, oui$.$ing depth increased(p<0.05). 2. Depth (that except 1mm group and 2mm group which lighten to halogen source of light) deepens in all groups, Vickers hardness decreased(p<0.05). 3. Vicker's hardness of A3 shade composite was lower in all depths more than B1 shade composites in group that do polymerization for 10 seconds and 20 seconds using halogen source of light(p<0.05), but group that do polymerization lot 40 seconds did not show difference(p>0.05). 4. Groups that do polymerization using Plasma arc and LED source of light did not show Vicker's hardness difference according to color at surface and 1mm depth(p>0.05), but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color at 2mm and 3mm depth(p<0.05). The results showed that Apollo 95E need more polymerization times than manufacturer's recommendation (3 seconds), and Easy cure need polymerization time of XL-3000 at le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