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movement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3초

현단계 어린이도서관운동의 내용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ildren Library Movement of the Present)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09-327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현재 전개되고 있는 어린이도서관운동인 시민단체에 의해 진행되는 '기적의 도서관운동'. 부천지역 '마을마다 작은 도서관 만들기 운동', 개인 및 단체에 의해 주도되는 민간의 '어린이 작은 도서관운동'을 고찰하였다. 각 운동의 내용과 특성,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어린이도서관운동의 방향과 과제를 조망해 보았다.

  • PDF

한국 공공도서관 운동의 전개과정-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까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istory of Public Library Movement in Korea - from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3-251
    • /
    • 2000
  • 이 연구는 해방 직후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운동과 관련된 구체적 활동과 성과들을 분석한 것으로 한국의 상황과 맥락에서 어떻게 공공도서관운동이 일어나고 진행되어 왔는가를 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까지의 도서관계의 상황과 그 속에서 전개된 공공도서관 운동의 구체적 과정을 정리하고 이 시기 공공도서관 운동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였다.

  • PDF

마을문고 운동의 초기 전개 과정에 관한 연구 - 운동형성 배경에서부터 1967년까지를 중심으로 하여 - (A Study on the Early Development Process of Village Mini-Library Movement in Korea)

  • 이용남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47
    • /
    • 2000
  • 이 연구는 우리 나라 마을문고 운동의 형성 배경에서부터 1967년까지의 초기 전개과정을 규명해 보고자 한 연구이다. 1961년부터 전국 농어촌 마을에 문고를 보급하기 시작한 이 운동의 추진원칙과 문고설치 및 육성 방침을 분석하고, 이 운동 전개에 필요한 재정조달 과정 및 당시 문고운동의 성과를 평가해 봄으로써 1960년대의 초기 마을문고 운동 전개 과정을 조명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Movement of Public Library)

  • 이만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5-125
    • /
    • 2003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운동,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하고, 누가, 어떻게 할 것인지를 조사하여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운동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공도서관의 독서운동은 도서관장을 중심으로 담당사서가 이용자를 위한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 PDF

지역 단위 학교도서관 운동의 내용과 특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와 경상북도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Movement of Provincial Level - With Special Reference to Gyeonggy-Do and Gyeongsangbuk-Do -)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91-312
    • /
    • 2003
  • 이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경기도와 경상북도의 학교도서관 운동을 통해 지역 단위 학교도서관 운동의 의의를 살펴보고 그 성공 요건에 대해 검토해 보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의 학교도서관 운동은 시민 단체가 주도하고 지방행정 당국이 지원하는 민관협력체제로 진행된 학교도서관 운동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경상북도의 경우는 교육행정 당국에서 주도하여 전문 사서교사를 배치함으로써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학교도서관 운영의 조건을 확립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할 수 있다.

  • PDF

문중문고(門中文庫)에 대하여 -특(特)히 수봉정사(壽峰精舍).영규헌(映奎軒) 우문고(雨文庫)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Clan Community Library in Korea)

  • 이춘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8-101
    • /
    • 1974
  • The libraries that existed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Yi Dynasty may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he royal library, the school library, the clan community library, and the private library. Of these, the clan community library has yet received very little attention in the study of Korean libraries. In this study the author discusses the purposes, functions, and collections of the clan community library to clarify what that particular type of old libraries in Korea was. The clan community library functioned within individual clan communities to give young people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protecting them from possible influences of. Japanese version of Western scholarship which had threatened the traditional value systems of the society.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clan community library was a unique community institution created by Korean people, and the Korean public library movement should trace its origin back to the activities of the libraries. Unfortunately the growing suppression and control of the Japanse colonial regime upon the traditional schools made the purposes and development of the clan community library movement a tragic experience before its flowering. The clan community library was a Korean native public library which came out in response to a historical situation and community need. It may deserve more attention in future study of the national library movement of Korea.

  • PDF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 - 196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ading Popularization Movement : Focus in 1960's)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71-294
    • /
    • 2007
  • 이 연구는 196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과 독서 경향을 조명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시기는 공교육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교양으로서의 '독서'에 대한 학문적이며 정책적인 관심이 고조되었던 시기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1960년대 독서 및 독서 교육의 제반 현상들을 주로 신문 자료를 토대로 기술함으로, 일종의 '독서 사회'의 형성 과정을 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살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제시하면 첫째, 1960년대의 독서 경향으로써 1) 일반 독서 경향 2) 학생 독서 실태를 둘째, 독서 대중화 운동으로서 1) 도서관의 독서 운동 2) 마을문고와 독서 운동을 등으로 대별하여 그 양상을 고찰했다.

  • PDF

한국 공공도서관 운동사 연구 (A Study of the Public Library Movement in Korea)

  • 이연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33-258
    • /
    • 2002
  • 이 연구는 한국 공공도서관 운동의 역사를 총체적인 시각으로 정리하고 해석하였다. 공공도서관이 우리 사회의 지식정보의 공공성과 평등성을 위한 실제적인 대안임을 규명하고,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하는 지식과 정보의 공유를 실현하기 위한 사회운동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1920~30년대 아동 독서운동 연구 - 아동도서관 운동과 독서지도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ildren's Reading Movement in the 1920s~1930s: Focus on the Children's Library Movement and Reading Education)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71-196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1920~30년대 『동아일보』, 『조선일보』에 게재된 이동도서관 설립 운동 및 독서지도론을 중심으로, 아동 독서운동의 전개상을 고찰하였다. 즉 당대 두 신문에서는 아동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아동도서관 설립의 필요성, 아동 독서지도 및 독서경향 관련된 기사들을 꾸준히 게재했다. 본고에서는 이를 주목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1920~30년대 아동 독서를 강조한 배경적 의미와 이와 병행된 아동서관 설립에 대한 논의들을 탐색했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 민족운동과 아동교육의 관계, 당대 독서가 지니는 의미 등을 검토했다. 둘째, 이와 함께 당시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아동도서관 운동 전개 양상과 독서란을 통해 제시되었던 독서교육 방법론을 분석하였다. 이 시기는 그 어느 때보다 아동 독서교육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다. 여기에 아동도서관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각지에 소년문고가 다수 설치되기도 했다. 한편 신문의 독서란에는 학교와 가정에서의 독서지도법도 다수 게재되었으며, 선진적인 해외 독서교육 사례를 통해 그 모본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1920~30년대는 아동 독서운동이 적극적으로 전개된 시기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