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Policy

검색결과 720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대학도서관정책의 추이와 과제 (Progress and Problems in Korean Academic Library Policies)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17-346
    • /
    • 2012
  • 이 글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정책의 외형과 속내를 들여다 보면서, 현재 대학도서관계가 당면해 있는 문제의 본질과 원인을 정책적 관점에서 밝혀내고, 향후 대학도서관정책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해 선결해야할 과제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정책의 문제점을 정책의 로드맵인 '발전계획' 등을 통해 세밀히 검토하고, 둘째, 문제의 원인을 정책의 근간인 관련 법규와 제도, 정책추진체계의 핵심 요소인 정책기구, 행정조직, 전문직 단체 등의 역할과 기능을 통해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정책이 제대로 서려면 정책의 내용과 추진체계에 있어 어떠한 개선책이 필요한지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대전지역 공공도서관 운영현황과 발전과제 (Current Status and Strategies for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윤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69-9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24개 공공도서관의 일반현황과 행정체계를 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의 시설, 인력, 장서, 예산 현황을 살펴보고, "제3차 도서관발전 종합계획(2019-2023)", "도서관법"과 "한국도서관기준"에서 제시하는 기준과 비교하였다. 둘째, 공공도서관 행정조직의 체계와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의 발전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지속적 확충, 사서직원 충원, 장서 확충, 노인 대상 서비스 강화, 예산 증액, 정책담당 전담부서 신설을 제안하였다.

정보사회에서의 국가 도서관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Policy of National in Information Society)

  • 이만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01-221
    • /
    • 2001
  • It is impossible to obtain the growth of library and the information culture of high quality without the desirable policies. Korean libraries have been developed steadily through the efforts of the authorities concerned. libraries,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 library business area. For the growth of Korean library culture and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I suggest that we should set up new library policies: (1) establishment and effective administration of advisory organizations of library, (2) revision of "the library and reading promotion law" and other related laws, (3) establishment of an exclusive bureau for administration of library, and (4) continuous development of informatized library.d library.

  • PDF

1960년대 정부 지원 정책 부재로 인한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의 정체(停滯)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Stagnation of Korean School Libraries in 1960s Due to the Absence of Government Support Policy)

  • 이재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1-67
    • /
    • 2019
  • 본 연구는 1960년대 정부의 지원 정책 부재가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발전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1960년대에 학교도서관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실효성 있는 <도서관법> 제정이 동반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이후 학교도서관이 쇠락할 수밖에 없었던 과정을 주로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그간 정부의 지원 정책에서 소외되어 온 학교도서관 역사를 되돌아보고, 어느 때보다 제도적 지원이 절실한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이 과거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정보행태 분석 (Analysis of User Information Behaviors for the Improvement of Policy Information Services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이종욱;박성재;최재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11-128
    • /
    • 2019
  • 본 연구는 국립세종도서관의 정책정보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수행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책정보 이용자의 정보이용 행태,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서비스 이용행태, 이용자 직업 유형별(공직자, 연구원, 사서) 정책정보 이용행태 차이를 분석하였다. 정책정보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31명이 설문응답을 완료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설문 응답자가 빈번하게 이용하는 자료의 유형은 연구보고서, 학술논문, 일반도서 등의 순이었으며, 이러한 자료 입수를 위해 주로 검색포털 사이트와 정책정보사이트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7.7%는 세종도서관의 정책정보서비스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용한 경험이 있었다. 나아가 응답자의 직업에 따라 선호하는 정책정보의 유형,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서비스 인지도, 이용경험 및 경로 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정책정보 특화도서관인 국립세종도서관은 서비스 표적 집단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한국 대학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과 지침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and Guideline Establishment in the Korean University Library)

  • 류인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109-141
    • /
    • 1992
  • University library must have a substantial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by which the short and long term plannings are set up to meet the goals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o support university function. Only when university library organizes collection building based on the well-planned policy, can it establish the systematic collection building, which can satisfy users, support continuity of work, use budget efficiently, and solve the space problem by with-drawing the materials. But most Korean university libraries, contrary to many foreign cases, don't have proper systematic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or guideline that controls overall library work from planning the collection of materials to evaluating and preserving them. Questionaire on whether university library has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or guideline was answered positively by only 6 cases out of 57 cases, which is just 10.5 percent. Even in cases that they have a guideline, the content of the copied guideline they sent was confined to acquisition, which is just a part of collection development. Collection development is a statement needed to set up long and short term plannings in consideration of the aims of the library and the needs of users and to shape and manage the library collection systematically. With the above conception and definition, we try to make a proper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and guideline for the Korean university libraries. Here we must define the object of the university. Object of university is to have good curriculum, good courses, research activities on the part of the faculty, enlargement of graduate school, and establishment of various institutes, etc. And in guideline, selector, method of selection, level of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budget, etc. must be described concretely in its contents. Sinc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and guideline of Korean university libraries should concern their situation, we must confer with the result of the survey and analysis on the matter of collection determination. Here the contents include the priority of materials to be collected, method of collecting materials, arrangement of budget, and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native collection development guideline in reference to the Jeonju University Library by means of analyzing the guiding principle, contents of the guideline, and present conditions of the Korean university libraries. The systematic collection development based on the Guideline for Collection Development of the Korean University Library, can offer a satisfactory service to the users of the university community, and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itself as well as the university library.

  • PDF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Developing a Basic Framework for the Korean National Collection Policy)

  • 장혜란;홍현진;노영희;오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93-215
    • /
    • 2009
  • 정보자원의 지속적 증가와 다양화 그리고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 접근과 활용 등 정보환경의 변화로 도서관 장서개발 정책은 더욱 정교하게 변화되어야 하는 상황에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이러한 시대적 조류를 반영하고 그 역할과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국가장서개발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주요 선진국의 국립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국가장서 구축을 위한 기본모형을 도출하였다. 기본모형은 크게 하이브리드장서 구축, 협동연계장서 구축, 장서 평가, 그리고 장서개발정책 성문화 등 네 가지의 서브모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형별 세부 내용과 추진방안이 제시되었다.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정책 개발을 위한 인식도 조사 (Perception Survey for Developing Information Service Policy of National Digital Library)

  • 곽승진;노동조;장윤금;황재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9-70
    • /
    • 2010
  • 국립디지털도서관(NDL)의 정보서비스 정책이 개발되기 위해서는 문헌연구 및 해외 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 사례 분석, 관련 분야 전문가를 통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도서관 이용자 및 사서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등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 정책 개발 방법 중의 하나로서 NDL 건립과 운영에 관한 도서관 이용자 및 사서들의 인식과 기대사항을 다양한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학교 독서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School Reading Instruction Policy)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9-234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교육당국이 주도하는 독서교육 정책의 현황을 점검하고 독서교육 정책을 둘러싼 논란과 비판의 실체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독서교육 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독서교육 정책 및 독서교육의 바람직한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였다.

  • PDF

국립세종도서관 직무개발 및 조직개편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Job Development and Reorganization Strateg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윤희윤;오선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9-182
    • /
    • 2023
  • 2013년 12월 출범한 국립세종도서관은 한국 정책정보 특화도서관과 세종시 복합문화시설로 각광받아 왔다. 그럼에도 본질적 정체성, 조직적 위상, 사무분장과 핵심역량, 정책자료 수집과 서비스 등은 여전히 취약하고 부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정체성 정립 및 고품질 정책정보서비스의 전국적 제공을 위한 직무모형을 개발하고, 전략적 조직개편 방안을 제시하였다. 직무모형은 기존 72개에 38개를 추가하여 총 110개로 제안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단기 조직개편 모형(2023-2024)은 관장 직급을 현재 4급(서기관)에서 고위공무원단(직무등급은 나급)으로, 과장을 5급(사무관)에서 4급으로 상향 조정하였다. 하부조직은 현재 3과(기획관리과, 정책자료과, 서비스이용과)를 4과(기획행정과, 자료수집개발과, 정책정보서비스과, 대중서비스문화과)로 개칭·확대하고 인력은 총 51명으로 구성하였다. 중장기 모형(2025-2032)은 하부조직을 4과 1실(기획행정과, 자료수집개발과, 정책정보서비스과, 대중서비스문화과, 정책정보연구실)로 확대하고, 소요인력을 총 61명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거시적·전략적 목표인 '한국 정책정보센터'를 표방한다는 논지로 이해집단을 설득시키고, 전략적 조직개편 및 직제개정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