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eral education

검색결과 1,036건 처리시간 0.025초

퍼즐을 활용한 문과.이과의 판별 검사지 개발 (A Development of Distinguishing Examination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hrough using Puzzles)

  • 변영구;최재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5-35
    • /
    • 2012
  •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문과 이과의 판별을 위한 검사지를 제작하여 진로를 선택할 때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적성 검사 외에 문과 이과를 판별하기 위한 도구의 필요성을 설문지를 통하여 확인하고, 문과 이과를 판별하기 위해 퍼즐을 활용한 검사지를 제작하여 1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1차 검사 결과를 토대로 2차 검사지를 만들고, 문과 이과를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작성하였다. 2차 검사지와 문과 이과 판별 알고리즘으로 일반계 고등학생, 대학생, 대학원생 등 다양한 대상에게 2차 검사를 실시한 결과 만족할 만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전공계열별 인공지능 교양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제언 : D대학 교양필수 교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Curriculum Desig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iberal Arts Education by Major Category : Focusing on the Case of D University)

  • 박소현;서응교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3호
    • /
    • pp.177-19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as a universal education that enhances th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o flexibly use artificial intelligence these days,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spreading, and the educational components based on this a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order to develop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subject and the detailed educational curriculum suitable for the subject of education, we first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prior research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liberal arts education. As the main components derived by experts, the basic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s to literacy to read and write for everyday problem solving, as well as problem-solving ability to manipulate real data and software. Finding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module, trends and prosp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ecessary competencies were checked, and cases applied to major fields were examined. In the AI utilization and application part, basic data analysis items and content composition were composed through creative thinking, logical thinking, and intelligence. In order to design the curriculum, a software development language suitable for each major area was first selected, and AI education content areas, elements, and packages were defined and designed for each major area to meet the objectives of the subject.

대학생의 성지식, 태도, 행동실태 및 성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Korea College Students and Effects of Sexual Education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 전경숙;이효영;이선자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5-68
    • /
    • 2004
  •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Korea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xual education programs on college students with respect to their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For these objectives, a single 92 item sexual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13 college students (11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0 in the control group) as a pretest one day befor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sexual education program. Then a three week sexual education program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posttest was administered to both groups day after the program. The findings from the pretest; 1) The main sources of sexual information were friends, Internet, books and magazines.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showed relatively high scores on their overall sexual knowledge but showed low scores on their knowledge of venereal disease and HIV/AIDS.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sexual knowledge of physiology, pregnancy and sexual abuse than male students. 2) The overall sexual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were subjective. They showed especially strong liberal attitudes to premarital intercourse, had few double standards and agreed on induced abortion. Male students showed a more liberal attitude to premarital intercourse and extramarital intercourse (X²=50.679, p<.001). Christian students showed the lowest rates of permissiveness for induced abortion than students of other religions. 3) 64.9%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had experience in intercourse. The gender and age of students did influence the experience rates of intercourse. Male students had much higher rates of intercourse than female students (X²=13.565, p<.001) and older students had higher experience rates of intercourse. 4) From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this study revealed that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have a correlation 6=0.324, p=0.000). Students' experience of intercourse did not influence their sexual knowledge scores, but did influence their sexual attitudes.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intercourse showed more liberal sexual attitudes than those students who did not (t=2.677, p<.050). And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sexual media such as pornography, sexual magazines, sexual books and the Internet, also showed more liberal sexual attitudes than those students who were not. The findings from the comparison of pretest and posttest ; 1. The sexual knowledg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program compared to before the program (p<.001). However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ir sexual knowledge. 2. The sexual attitud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lso changed significantly becoming less liberal (p<.001). The control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change in their sexual attitudes, also becoming less liberal (p<.001). Therefore,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ollege students' accurate sexual knowledge, but had little effect on their sexual attitudes.

대학생의 AI 리터러시 역량 신장을 위한 교양 교육 모델 (The Education Model of Liberal Arts to Improv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Competency of Undergraduate Students)

  • 박윤수;이유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423-436
    • /
    • 2021
  • 다가오는 미래사회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이 범용기술이 될 것이며, 인공지능 역량이 필수 역량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은 AI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AI 전문가를 육성하고, 누구나 AI를 이해하고, 설명하며, 응용할 수 있는 인프라와 교육 환경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인공지능 교육의 선행 연구 사례와 함께 서울 소재 31개 종합대학의 SW 교양 교육 현황을 조사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SW 교양 교육과 전문적인 AI 교육을 연계할 수 있는 AI 리터러시 교육 모델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KOCW에 공개된 20개의 AI 관련 강좌를 AI 리터러시 역량을 중심으로 분류하였으며, 분류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을 위한 AI 리터러시 교양 교육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AI 리터러시 교육 모델은 기존의 이론적 교육 모델이나 컴퓨터과학적 교육 모델과는 달리 인문학적 소양과 함께 인공지능을 체험할 수 있는 AI·SW 융합 교육 모델이다. 제안하는 AI 리터러시 교육 모델이 AI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대학의 역량 중심 교육 방안에 따른 프랑스어 교양교육의 방향성 고찰 (A review of the direction of French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a university competency-based education approach)

  • 김은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729-736
    • /
    • 2024
  • 우리는 OECD의 핵심역량 제안과 관련하여 한국대학의 교양교육에서 이를 실현하고자 하는 시도를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어떤 교육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대학은 새로운 인재상과 교육의 방향성을 재고하며 역량중심 교육을 인적, 사회적 분야로 확장하고 있다. 이처럼 각 대학은 핵심역량을 선별하고 구성하여 대학이 추구하는 핵심역량을 교육목표에 도입한다. 교육부 주관하에 핵심역량 중심 교육은 무엇보다 대학의 교양강좌에서 구현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우리는 이를 접목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법론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문화 이해와 함께 언어습득은 무엇보다 다양성과 상호이해 측면에서 학습자의 역량을 도모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에 우리는 프랑스어 교양교육에 이를 반영하여 학습자의 동기부여와 관련한 다양성 존중과 상호문화이해 역량 교육을 강의에 접목하여 교수학습 과정을 모색하려 한다. 우리는 학습자의 수용 결과를 도출하면서 기존의 능력 중심의 평가로 진행되어야 하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발표 과제로 협업과 상호문화이해 과정을 통해 이를 보완하고자 한다. 따라서 핵심역량 교육의 방향은 자연스럽게 가치 중심 교육으로 전환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

교양필수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분석: J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atisfaction on the Essential Curriculum: Focusing on J University Case)

  • 이정열;김삼섭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21-427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J대학의 교양필수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J대학 2~4학년 502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기초로 성·학년·계열·캠퍼스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았다. 첫째,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창의적 사고, 대학생활지도 및 취창업진로, 대학생활지도 및 진로설계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필수 교과목에 대한 학년별 만족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열별 만족도는 자연공학, 보건복지, 예체능, 인문사회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캠퍼스별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 교양교육과정, 특히 교양필수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공과대학 학생들의 전문교양 지식 함양을 위한 앱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pp for Promotion of the Specialized Liberal Arts of the students in an Engineering College)

  • 구진희;박덕규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68-73
    • /
    • 2010
  •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의 엔지니어들에게는 전공분야의 전문성뿐만 아니라 창의적 사고, 읽기/쓰기 능력, 의사소통 능력, 사회 경영 경제에 대한 이해 능력, 윤리의식과 같은 인문사회학적인 전문교양 지식이 요구되고 있다. 전문교양 지식은 꾸준히 그 분야에 관심을 갖고 관련된 글을 읽으며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표현해 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한정된 정규교육과정 내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학습 성과 달성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학생들의 전문교양 지식 함양을 위한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교수자가 구조화한 지식을 학습자와 실시간 상호작용하고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재구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전문교양 지식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IoT 기반의 문·이과 통합형 CT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Integration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IoT)

  • 정상목;신수범;임택균;문성윤;전인성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55-262
    • /
    • 2019
  • 2015년도에 개정한 정보 교육과정은 창의 융합형 인재의 성장을 주요 목표로 제시하고 있는데, 창의 융합형 인재의 성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컴퓨팅 사고력(CT)이다. 본 논문에서는 창의융합형 인재 성장의 목표에 맞추어 IoT 기술과 문이과 통합과정을 정보교과 내용에 접목하였고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평균(Mean)이 통제집단보다 10점 이상 높게 나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프로그래밍 언어뿐만 아니라 IoT 기반의 CT 교육을 통해 실생활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는 SW 기술을 직접 구현하여 SW 교육에 대한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문·이과 통합형 교육을 통해 많은 교과와 융합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적으로 설계하는 경험을 통해 융합과학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예비 교사의 실험 수업 전, 후 생물 관찰에 대한 선호도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gree of Preferences in Observation of Living Things in Pre and Post Laboratory Lessons)

  • 박강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2호
    • /
    • pp.216-22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chool teachers' observation experience and their pre and post degrees of preferences in observing underground and water living things, fungus, insects, flowerless plants and sea lives. Based on the analysis, their pre-observation experience in living things were insects, ocean creatures, underground living things, flowerless plants, fungus and water living things in order. The degree of preferences in flowerless plans based on their gender, the female pre-service teacher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average in both pre and post test. The male, however, responded higher scores in underground living things in both tests. Their background such as liberal arts or science or arts and physical major affected their preferences scores in water living things, insects and flowerless plans in the post test, and the science major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preferences in insects among the liberal arts, science or arts and physical major pre-teachers in the post test. In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t degree of their preferences affected by the pre observation experience, gender difference, their present majors such as the liberal arts, science or arts and physical major, the categories of living things but not in their high school background such as liberal arts or science.

의예과 교육의 역사적 발전과 교육과정 편성 방향 고찰 (A Study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Directions of Premedical Education)

  • 정한나;양은배
    • 의학교육논단
    • /
    • 제19권3호
    • /
    • pp.115-120
    • /
    • 2017
  • Despite the importance of how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is organized, the basic direction of the curriculum has not been evaluated at a fundamental level. In order to explore the basic directions of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medical education as a university education, the historical basis of premedical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Historically, as medical education was incorporated into th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premedical education developed based on basic science and liberal arts education. Accordingly, the direction of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began to split into two approaches: one believing in a basic science-based education intended to serve as the foundation of medical training, and the other believing in a liberal arts-based education intended to cultivate the qualities of a doctor. In recent years, however, the binary division in the direction of premedical education has ceased to exist, and the paradigm has now shifted to an agreement that premedical education must cultivate the basic scientific competence required for learning medical knowledge as well as the social qualities that a doctor should have, which are cultivated through the liberal arts. Furthermore, it has been asserted that the direction of premedical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the qualities that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nderway, the role of doctors is now being re-examined. This means that today's medical education must change in a future-oriented way, and the direction of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must be on the sam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