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ukocyte peroxidas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9초

산란계(Dakalbwarren)의 연령에 따른 myeloperoxidase와 leukocyte peroxidase 활성에 관한 연구 (Activity of myeloperoxidase and leukocyte peroxidase according to ages in the hen(Dekalbwarren))

  • 전승기;강창원;이호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65-470
    • /
    • 1994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measure the activity of myeloperoxidase and leukocyte peroxidase of hen. 70 hens were decapitated to observe the activity of enzymes according to ages. The activity of peroxidase by the Lowry's method with bovine serum albumin as standar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was carried out of sephacryl S-300 colum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of specific activity of myeloperoxidase and leukocyte peroxidase was 16.80(units/mg) and 15(units/mg), respectively. 2. The specific activity of myeloperoxidase in 35 days he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showed almost the same level of activity to 350 days hen. 3. The specific activity of leukocyte peroxidase in 35 days he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showed a little increased tendency from 210 days to 350 days hen. 4. On the sephacryl S-300 column chromatography, two separated peaks of myeloperoxidase activity were observed. The molecular weights of myeloperoxidase were 57,000 dalton and 13,700 dalton.

  • PDF

과산화효소를 이용한 백혈구 측정용 뇨 검사지 제조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Urine Strip for Detection of Leukocytes in Urine using Peroxidase)

  • 송은영;이홍수;김희정;김종완;최인성;변시명;정태화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99-209
    • /
    • 1996
  • 백혈구에 존재하는 과산화 효소를 이용하여 뇨 중 백혈구의 수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의 뇨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과산화 수소원으로서 포도당 산화효소와 포도당을, 색 원체로서 tetramethylbenzidine을 처리하여 백혈구 측정용 뇨 검사지를 제조하였으며 검출한계는 10cells/${mu}l$ (5 cells/hpf)이었다. 개발된 백혈구 측정용 뇨 검사지로 뇨를 분석하였을 때 뇨 1${mu}l$당 10-25 cells의 백혈구가 존재할 경우에는 2분내에 연녹색을, 75-250 상에 cells/${mu}l$에서는 녹색을 보였고 500 cells/${mu}l$ 이상에서는 녹청색을 보였다. 172명의 환자뇨를 대상으로 뇨중 백혈구 수치를 현미경 측정 결과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백혈구 측정용 뇨 검사지와 현재 수입 시판 중인 미국의 A사 제품과 B사 제품으로 분석 비교한 결과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평가분석을 통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백혈구 측정용 뇨 검사지는 에스터라아제를 이용한 백혈구 측정용 뇨 검사지와 함께 뇨중 백혈구를 스크리닝 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Pro-Oxidantive Effect of Dehydroepiandrosterone on Indomethacin-Induced Acute Gastritis in Rats

  • Kim, Beom-Gyu;Yim, Sung-Hyuk;Jeong, Seong-Jin;Choi, Yoo-Shin;Nam, Yun-Sung;Jeong, Ji-Hoon;Yun, Sin-Weon;Do, Jae-Hyuk;Lim, Hyun-Muck;Park, Eon-Sub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7권1호
    • /
    • pp.57-61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or not a pretreatment with dehydroepiandrosterone (DHEA) has an effect on indomethacin-induced gastric mucosal damage. The DHEA group, male Sprague-Dawley rats, was administrated with DHEA orally at a dose of 4 mg/day for one week before inducing gastritis with indomethacin (50 mg/kg, p.o.). Histological assay, lipid peroxidation assay,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terestingly, it was found that the DHEA pretreatment attenuated the gastric lesion area induced by indomethacin. Rather, the pretreatment with high dose of DHEA led to submucosal edema, leukocyte infiltration in submucosa and mucosal necrosis. The levels of MDA in the DHEA pretreatment were also higher than those in the rats given with vehicle pretreatment. This suggests that the DHEA pretreatment deteriorates severe inflammation in indomethacin-induced gastritis. DHEA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SOD activity in the gastric mucosa. However, the catalase and GPx activities were not altered by DHEA. The co-administration of DHEA with an indomethacin might not offer a 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acute gastritis induced by indomethacin.

한국인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의 HLA 유전자형 및 자가면역성 갑상선 질환의 병발 양상 (Human Leukocyte Antigen(HLA) Genotypes and Thyroid Autoimmunity in Korea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 강소영;신충호;양세원;박명희;유지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6호
    • /
    • pp.624-633
    • /
    • 2005
  • 목 적 : 본 연구는 한국인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에서 HLADR과 DQ 유전자형 및 갑상선 자가항체(항 TPO 자가항체와 항 thyroglobulin 자가항체)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인 제 1형 당뇨병과 관련 있는 특정 HLA 유전자형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들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에서의 갑상선 자가항체의 유병률, 갑상선 질환으로의 발현 및 이들 자가면역성 갑상선염과 HLA 유전자형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총 59명[남아 26명, 검사시 연령 13.7세(5.7-29.9세), 당뇨병 유병기간 7.6년(-1.7-22.5년)]의 제 1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갑상선 질환의 병력 및 가족력이 없는 건강한 200명의 한국인의 HLA 유전자형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59명의 환자 중 갑상선 자가항체 양성인 17명은 중앙기간 3.96년(1일-10.7년) 동안 진찰 및 anti-TPO, anti-TG, $T_3$, $T_4$ 또는 free $T_4$, TSH 검사를 시행하면서 추적 관찰하였다. HLA-DR과 DQ의 유전자 분석은 PCR-SSO, PCR-SSCP, PCR-RFLP 및 PCR-SSP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에서 대조군에서보다 HLADRB1*0301, *090102, DQB1*0201, *030302, DRB1*0301/*090102, DRB1*090102/*090102, DQB1*0201/*030302, *030302/*030302, *0201/*0302의 빈도가 높았다(Pc<0.05). 15명(25.4%)에서 TPO에 대한 자가항체 양성이었고, 12명(20.3%)에서 TG 자가항체 양성이었으며, 17명(28.8%)은 두 가지 항체 중 한 가지 이상의 항체를 갖고 있었다. 10명(16.9%)은 두 종류의 항체를 모두 갖고 있었다. 갑상선 항체 양성을 보인 이후부터의 추적기간 동안 갑상선기능저하증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3명(5.1%)의 여아에서 당뇨병 진단 전 또는 후에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진단(8.5세, 11세, 13.2세)되었다. 갑상선 자가항체의 유무 및 각각의 항체 종류에 따른 대상군간의 제 1형 당뇨병 진단연령, 갑상선 검사시 연령, 당뇨병 유병기간 및 성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결 론 : 한국인에서는 HLA-DRB1*0301, *090102, DQB1*0201, *030302, DRB1*0301/*090102, *090102/*090102, DQB1*0201/*030302, *030302/*030302, *0201/*0302 등이 제 1형 당뇨병에 대한 감수성 인자였고, 코카시안과는 다른 HLA-DR 및 DQ의 분포가 한국인에서 제 1형 당뇨병의 발생률이 낮은 이유중의 하나를 차지하리라고 생각되었다. 한편,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에서 갑상선 자가항체 양성률은 28.8%였고, 이는 한국인 제 1형 당뇨병 환자에서도 갑상선 자가항체 검사가 규칙적으로 시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한국인 제 1형 당뇨병 환자에서 자가면역성 갑상선 질환에 대한 선별검사 시작 시기와 횟수 등에 대해서는 이들 환자들의 장기적인 추적관찰을 통해 추후 좀더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쥐에 있어서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의 혈당 및 DNA 손상 개선효과 (The Improvement of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Extract Supplementation on the Blood Glucose and Cellular DNA Damag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유경;김정신;전은재;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1호
    • /
    • pp.5-13
    • /
    • 2009
  • 최근 당뇨환자에게서 산화적 손상이 증가됨이 보고되면서 항산화식품의 섭취를 통한 DNA 손상 개선노력이 다각도로 시도되고 있다. 차가버섯을 비롯한 여러 가지 버섯류에 항산화활성 및 혈당강하 효과가 있음이 알려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streptozotocin (STZ) 유발 당뇨쥐를 사용하여 차가버섯에 항산화 효과 및 DNA 손상 억제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이런 항산화효과가 당뇨쥐의 혈당을 감소시키는지를 알아보았다.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4주령, $110{\pm}6\;g$) 32마리를 대조군, 당뇨군, 저농도 차가버섯투여군 (0.5 g/kg BW) 및 고동도 차가버섯투여군 (5 g/kg BW) 등 4군으로 나누어 동물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꼬리 정맥에 STZ을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시킨 후 4주간 사육하였다. 4주 후에 혈액과 간을 채취하여 혈장 glucose, 혈장 총항산화능 (total radical-trapping antioxidant potential, TRAP) 수준 및 ${\alpha}$-tocopherol 수준, 적혈구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SOD), 및 glutathione peroxidase (GSH-Px)의 활성도, 그리고 임파구 및 간조직의 DNA 손상 정도를 comet assay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당뇨군에서 혈당이 상승하고 (p < 0.05) 혈장 TRAP 수준은 감소하였으며 (p < 0.05) 임파구의 DNA 손상은 증가하였고 (p < 0.05) 나머지 지표들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당뇨군에 비해 저농도 및 고농도 차가버섯 투여군들에서 혈당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혈장 TRAP 수준과 ${\alpha}$-tocopherol 수준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모두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으며, 당뇨군에 비해 차가버섯 투여군에서 tail length로 본 임파구 DNA 손상 정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나머지 지표들은 당뇨군과 차가버섯 투여군들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차가버섯 열수추출물을 고농도 (5 g/kg BW)로 4주 동안 당뇨유발 흰쥐에게 투여하였을 때 혈당강하 효과는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당뇨로 인해 유발 된 DNA 손상정도가 정상수준까지 뚜렷하게 감소함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부분적으로 차가버섯의 항산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으로 차가버섯을 이용하여 당뇨환자의 DNA손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개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2형 당뇨환자에 대한 영양교육이 당뇨병 관리와 혈액 항산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in Type 2 Diabetes Mellitus on Diabetes Control and Blood Antioxidant Status)

  • 신경남;이혜상;권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89-695
    • /
    • 2011
  • 본 연구는 효과적인 당뇨 교육 및 평가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안동시 보건소를 내원하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의 당뇨교육을 하고, 교육 전, 교육 후 및 교육 후 3개월에 각각 영양소 섭취, 혈당 관리와 항산화 영양상태 및 DNA 손상 정도를 조사하여 영양교육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시기에 따른 교육 효과를 반복 측정 분산 분석으로 검정한 결과, HbA1c와 총 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장 레티놀(p=0.001)과 토코페롤(p=0.000), 그리고 CAT(p=0.000)와 GPx(p=0.000)의 활성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혈장 과산화지질(TBARS) 농도(p=0.000)와 DNA 손상 정도(p=0.000)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 상태에 대한 영양교육의 효과는 에너지의 경우, 교육 전에 EER의 76.4% 수준으로 섭취하였으나 교육 직후와 교육 후 3개월에 각각 83.6%와 90.6%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9). 에너지 섭취의 증가와 함께 인(p=0.033), 나트륨(p=0.001), 칼륨(p=0.019), 아연(p=0.043), 리보플라빈(p=0.050), 엽산(p=0.048) 및 비타민 C(p=0.008)의 섭취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영양소 섭취 상태의 변화와 생화학적 특성 변화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 변화는 공복혈당 및 HbA1c의 변화와 유의성은 없었으나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 칼륨(r=-0.418, p<0.05), 철분(r=-0.443, p<0.05), 리보플라빈(r=-0.432, p<0.05) 및 엽산(r=-0.446, p<0.05)의 섭취 상태 개선이 혈액의 과산화지질 감소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r=0.543, p<0.01), 단백질(r=0.545, p<0.01), 인(r=0.425, p<0.05), 철분(r=0.485, p<0.05), 아연(r=0.570, p<0.01) 및 나이아신(r=0.510, p<0.05)의 섭취는 혈장 레티놀과, 엽산섭취(r=0.605, p<0.01)의 변화는 CAT와 각각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처럼 당뇨병에서 식이를 통한 영양소의 섭취 증가는 항산화 상태 개선 및 산화 스트레스 감소와 일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