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opard cat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8초

동물원(動物園)에서 사육중(飼育中)인 야생동물(野生動物)의 기생충감염(寄生蟲感染) 관(關)한 조사(調査) (Epizootiological Study on Infestation Rate of Parasites in Zoo Animals)

  • 박영재;이원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26
    • /
    • 1977
  • Parasites of wild animals are closely related with parasites of domestic animals. Wild animals take charge of an important role at parasitic infestation of domestic animals because of unrestrained movement. The authors carried out the work of actual condition of parasitic infestation on wild animals, total 1,014 cases, in the Korean Zoo.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otal rate of parasitic infestation was 36.1% with infestation of 366 among 1,014 cases. The rate of single infestation was 32.6% with infestation of 331 cases, double infestation 3.1% with 31 cases, triple infestation 0.2% with 2 cases and quadrople infestation 0.2% with 2 cases. 2. The parasites on the zoo animals were identified as follows: Lion: Sarcoptiform, Toxocara sp., Toxascaris leonina, Ancylostoma sp. and Isospora spp. Puma: Toxocara sp., Ancylostoma sp. and Isospora sp. Leopard: Toxocara spp., Ancylostoma sp., Trichuris sp., Dibothriocephalus sp. and Physaloptera sp. Wolf: Sarcoptiform and Dibothriocephalus spp. Fox: Trichuris sp., Capillaria aerophila, Spirocerca sp., Paragonimas kellicotti. Jackal: Sarcoptiform, Ascaris sp. and Echinococcus granulosus. Wild Cat: Dibothriocephalus sp. Tiger: Toxascaris leonina. Bear: Sarcoptiform, Metastrongylus apri, Ancylostoma sp. and Ascaris sp. Raccoon and Raccoon dog: Sarcoptiform, Paragonimus kelliotti, and Isospora sp. Boar: Oesophagostomum spp. and Eimeria spp. Mortkey: Sarcoptiform, Trichuris sp., Physaloptera spp.. Enterobius sp. and Isospora sp. Elephant: Sarcoptiform, Strongyloides sp. and Strongylus spp. Deer: Sarcoptiform, Strongyloides sp., Trichuris ovis, Mccistocirrus digitatus, Haemonchus sp., Oesophagostomum radiatum, Paramphistornum spp., Bunostomum phlebotomum, Fasciola hepatica and Eimeria spp. Bison: Sarcoptiform, Haernonchus sp., Marshallagia sp., Nematodirus sp. and Eimeria sp. Zebra: Strongylus sp. and Parascaris equorum. Goral and Barbary: Sarcoptiform, Haemonchus sp., Oesophagostomum venulosum, Moniezia sp. and Eimeria spp. Lama: Strongyloides sp. and Haemonchus sp. Kangaroo: Strongyloides sp. and Haemonchus sp. Camel: Strongyloides sp., Trichuris ovis and Eimeria sp. Peacock and the Other Birds: Sarcoptiform, Capillaria contorta, Capillaria caudinflata, Ascaridia spp., Heterakis spp., Hymenolepis sp., Eimeria spp., Histomonas, Ornithionyssus bacoti, Macrochelidae and Trichomonas. 3. Among the zoo animals, wild carnivora were infestated with the parasites which are common parasites of dogs and cats, wild herbivora were infestated with the parasites of herbivora domestic animals. and wild fowls were infestated with the parasites of domestic fowls.

  • PDF

야생동물의 도로 횡단 특성 분석 -도로횡단구조물 상의 눈 위 발자국 조사를 통하여- (Monitoring the Wildlife Use of Culverts and Underpasses Using Snow Tracking in Korea)

  • 최태영;이용욱;황기영;김선명;박문선;박그림;조범준;박종화;이명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0-34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겨울철 눈 위 발자국 조사를 통해서 도로횡단구조물(교량, 박스형 통로, 박스형 수로, 원형 수로)에 대한 야생동물 생태통로로서의 기능과 종별 이동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총 86개소의 구조물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구의 면적이 넓을수록 동물들의 이용률이 높아졌다. 둘째, 원형 수로, 박스형 수로, 박스형 통로 등 조사된 모든 구조물 유형이 중소형 식육목에 속하는 너구리 삵 족제비의 생태통로 기능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형 초식동물인 고라니는 교량 하부로만 이동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고라니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로 구조물의 규격에 대한 연구가 향후 진행되어 고라니 의 교통사고와 서식지 파편화에 대한 취약성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운문산의 포유류상 (Mammal Fauna in Mt. Unmun, South Korea)

  • 김태욱;김병수;장민호;박수곤;한상현;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1권1호
    • /
    • pp.53-59
    • /
    • 2013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산 자연휴식년제 지역일대의 포유류상을 밝히기 위해 2007년 12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6목 11과 24종의 포유류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우점종으로는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다람쥐 Tamias sibiricus, 두더지 Mogera wogura, 흰넓적다리붉은쥐 Apodemus peninsulae 등이었다. 특히, 천연기념물(NM)과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ES)인 하늘다람쥐(Pteromys volans; NM #328, ES II급), 수달(Lutra lutra; NM #330, ES I급), 삵 (Prionailurus bengalensis; ES II급), 담비 (Martes flavigula; ES II급) 등 법적보호종 4종이 발견되었다. 다양한 포유류 종과 법적보호종의 서식에 대한 지리적 분포를 확인한 이 결과는 조사지역이 포유류의 서식에 필요한 자연생태계의 매우 양호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지역임을 반영한다. 반면, 관리동물 종으로 지정된 들고양이가 다수 관찰되었다. 운문산 자연 생태계의 건전한 유지와 생태계 위해 동물의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연구조사가 필요하다.

등산객의 활동이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서식하는 포유류 군집의 활동 패턴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Potential Effects of Hikers on Activity Pattern of Mammals i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 황현수;차현기;김내영;서형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18-428
    • /
    • 2023
  • 본 연구는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서식하는 포유류와 등산객의 일중 활동 주기의 비교를 통해 시간적 규모에 따른 포유류 군집의 잠재적 위험성 검증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백두대간보호지역의 능선부를 대상으로 무인센서카메라를 활용하여 등산객과 포유류의 활동 주기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담비와 다람쥐의 활동 주기는 연중 등산객의 활동 주기와 높게 중첩되었다. 또한, 노루와 고라니는 봄에 등산객의 활동 주기와 높게 중첩되며, 멧돼지는 겨울에 등산객의 활동 주기와 높게 중첩되었다. 삵과 너구리, 오소리의 일중 활동 주기는 전체기간 동안 등산객의 활동 주기와 중첩되지 않았다. 포유류의 일중 활동 주기는 종 특이적 행동 패턴과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그에 따라 등산객의 활동 주기와 중첩에 차이를 보였다. 종 특이적 행동 특성과 계절에 따른 행동의 차이로 인해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서식하는 포유류는 인간의 활동에 의한 간섭에 대한 영향은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 결과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서식하는 포유류의 종 특이적 행동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의 제공과 더불어 종과 계절에 따른 포유류 군집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관리 및 보전 방안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미를 가진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