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ntinula edodes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5초

발색반응 분석법을 이용한 표고 교배균주의 세포외효소 분비 능력 평가 (Assessment of the Ability of Extracellular Enzyme Production in Hybrid Strains of Lentinula edodes by Chromogenic Reaction-based Plate Assay)

  • 권혁우;김준영;고한규;박흥수;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99-104
    • /
    • 2011
  • 표고버섯의 육종은 두 개의 다른 모균주에 의한 교배와 버섯생산에 좋은 형질을 지닌 교잡균주의 선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두 계통의 표고 모균주에서 유래한 단핵균주와 이들 단핵균주간의 교배로부터 만들어진 교잡균주에 대하여 발색반응 배지를 이용하여 세포외 분해효소의 분비능력 정도를 비교하여 생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할 가능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모균주로부터 유래한 단핵균주들 간에 ${\beta}$-glucosidase, avicelase, CM-cellulase, amylase, pectinase, xylanase, protease의 분비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잡균주에 있어서도 단핵균주의 조합에 따라 효소 분비능력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발색반응배지를 이용한 세포외효소 평가법이 표고의 육종과정 중에 생성되는 교잡균주들의 평가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나무 수종별 톱밥재배에 따른 표고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Lentinula edodes after Sawdust Bag Cultivation with Different Oak Substrates)

  • 서수영;박영애;장영선;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21-13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 수종을 달리하여 톱밥재배한 표고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건조된 표고를 70% methanol로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활성, ferric reducing antioxidant capacity(FRAP), reducing power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갈참나무로 톱밥재배 한 표고가 3.12 mg GAE/g과 0.84 mg QE/g으로 다른 수종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10 mg/mL일 때 다른 수종에서 재배한 표고에 비해 갈참나무(89.4%)와 상수리나무(87.9%)에서 가장 높았다. FRAP은 갈참나무일 때 0.42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reducing power도 역시 갈참나무에서 0.359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참나무 수종에 따른 표고의 항산화 활성은 갈참나무로 톱밥재배한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동일한 균주를 이용하더라도 톱밥재료에 따라 표고의 항산화 활성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목재배 표고버섯 물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Water Extracts from Lentinula edodes Cultivars Grown on Oak Log)

  • 서수영;장영선;유림;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1-5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표고버섯 원목재배 방법을 통하여 생산한 버섯의 품종별 항산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원목재배 표고버섯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5.10~10.88 mg GAE/g과 0.76~5.78 mg QE/g으로 나타났으며, 원목재배용 표고버섯 품종 중에서 천백고가 다른 품종들에 비해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총 폴리페놀 10.88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5.78 mg QE/g). 원목재배 표고버섯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FRAP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전자공여능과 환원력이 증가하였으며, 원목 재배용 표고버섯 중에서 천백고는 0.2~2.0 mg/mL 농도 범위에서 38.19~90.11%과 0.075~0.231로 다른 품종들에 비해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원목재배용 표고버섯 품종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원목재배용 표고버섯 품종 개발과 항산화 활성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표고 야생형 계통의 배양 및 형태적 특성 비교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ical Comparison of the Wild Mushroom Lentinula edodes Cultivated on Sawdust Substrate)

  • 박영애;서수영;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7-185
    • /
    • 2018
  • 야생 표고 26개 균주를 육종의 소재로 활용할 목적으로 배양 특성 및 버섯 생산성과 자실체의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서 균사의 배양 온도($10^{\circ}C$, $20^{\circ}C$, $30^{\circ}C$)에 따른 균사 생장력을 측정한 결과, 3가지 온도 조건에서 공통적으로 평균 이상의 생장력을 갖는 균주는 NIFoS 68, NIFoS 136, NIFoS 1521, NIFoS 1651, NIFoS 2064였다. NIFoS 411 균주는 $20^{\circ}C$에서 가장 저조한 생장을 보인 반면 $30^{\circ}C$에서 가장 높은 생장을 보였다. 배양 배지의 중량 감소율은 13.5~47.5%로 NIFoS 50 (47.5%), NIFoS 128 (34.5%), NIFoS 54 (34.4%)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26개 균주 중 24개 균주에서 버섯이 발생되었고, 생산성은 3~446 g/2 kg이었다. 버섯 생산량과 온도별 균사 생장력은 크게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중량 감소율이 클수록 자실체 수확량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생산량 측면을 고려할 때, 3개 균주 NIFoS 50 (446 g), NIFoS 53 (421 g), NIFoS 952 (435 g)은 육종 소재로 활용 가능하였고, 형태적인 면을 고려할 때 NIFoS 667 균주가 우수하였으며, NIFoS 670 균주는 자실체의 갓이 황갈색인 특징을 보였다.

Nucleus-Selective Expression of Laccase Genes in the Dikaryotic Strain of Lentinula edodes

  • Ha, Byeongsuk;Lee, Sieun;Kim, Sinil;Kim, Minseek;Moon, Yoon Jung;Song, Yelin;Ro, Hyeon-Su
    • Mycobiology
    • /
    • 제45권4호
    • /
    • pp.379-384
    • /
    • 2017
  • In mating of Lentinula edodes, dikaryotic strains generated from certain monokaryotic strains such as the B2 used in this study tend to show better quality of fruiting bodies regardless of the mated monokaryotic strains. Unlike B2, dikaryotic strains generated from B16 generally show low yields, with deformed or underdeveloped fruiting bodies. This indicates that the two nuclei in the cytoplasm do not contribute equally to the physiology of dikaryotic L. edodes, suggesting an expression bias in the allelic genes of the two nuclei. To understand the role of each nucleus in dikaryotic strains, we investigate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n laccase genes of monokaryotic strains to reveal nuclear origin of the expressed mRNAs in dikaryotic strain. We performed reverse transcription PCR (RT-PCR) analysis using total RNAs extracted from dikaryotic strains (A5B2, A18B2, and A2B16) as well as from compatible monokaryotic strains (A5, A18, and B2 for A5B2 and A18B2; A2 and B16 for A2B16). RT-PCR results revealed that Lcc1, Lcc2, Lcc4, Lcc7, and Lcc10 were the mainly expressed laccase genes in the L. edodes genome. To determine the nuclear origin of these laccase genes, the genomic DNA sequences in monokaryotic strains were analyzed, thereby revealing five SNPs in Lcc4 and two in Lcc7. Subsequent sequence analysis of laccase mRNAs expressed in dikaryotic strains revealed that these were almost exclusively expressed from B2-originated nuclei in A5B2 and A18B2 whereas B16 nucleus did not contribute to laccase expression in A2B16 strain. This suggests that B2 nucleus dominates the expression of allelic genes, thereby governing the physiology of dikaryons.

톱밥배지에서 재배된 표고버섯 품종별 이화학적 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Lentinula edodes cultivars cultivated in sawdust medium)

  • 최지연;김민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4-190
    • /
    • 2021
  • 표고버섯은 톱밥배지 재배기술의 발달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식용되는 버섯이며, 톱밥배지를 이용하여 재배된 표고버섯의 생산량이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톱밥재배 표고버섯의 품종별 식품학적 차이를 비교하고자 동일 조건에서 재배된 산조701호, 산조707호, 산조 715호, 참아람, L808 총 5품종 표고버섯의 일반성분,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동결건조된 표고버섯의 일반성분 함량은 회분 4.06~5.92 g/100 g, 조지방 0.75~1.02 g/100 g으로 품종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조단백질은 21.24~29.15 g/100 g으로 품종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Trehalose는 산조701호에서 9.60±0.08 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총 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aspartic acid>leucine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유의적 차이를 보인 아미노산은 glycine, alanine, val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이었으며 산조707호, 산조715호, 산조701호, 참아람, L808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산조715호가 3.49±0.04 mg GAE/g, 1.33±0.03 mg Q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품종들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같은 톱밥배지와 환경에서 재배된 표고버섯 5 품종간의 유의적 차이가 확인된 성분은 조단백질, trehalose, 6종의 아미노산이었다. 하지만 한 곳의 임가에서 재배된 표고버섯 품종간의 비교 결과로, 품종별 시료 수를 확대한 추가실험을 통하여 품종간의 구별 가능성을 더욱 세부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맥아 첨가비율을 달리한 표고당화액의 세포독성, 항염증효과 및 아미노산 함량 (The Content of Amino Acid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Lentinula edodes Syrup by Different Malt Concentrations)

  • 하늘이;박옥란;김경제;진성우;고영우;임승빈;정희경;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4-104
    • /
    • 2019
  • 표고(Lentinula edodes)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면역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고 특유의 향미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상이하여, 표고를 맥아로 당화하여 소비자들의 섭취 편이성을 향상시키고, 아미노산을 포함한 당화액을 제조하여 면역효과가 증강된 제품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버섯류를 비롯한 담자균류에는 다양한 약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민간에서도 자주 사용된 기록이 있다. 최근 고등담자균류인 버섯의 성분 및 유용성에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버섯류에 대한 식품학적 및 약리학적 측면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표고(L.edodes)와 당화효소로 사용한 맥아의 비율에 따라 A (표고 1 kg : 맥아 50 g), B (표고 1 kg : 맥아 100 g), C (표고 1 kg : 맥아 200 g), D (표고 1 kg : 맥아 300 g), E (표고 1 kg : 맥아 300 g) 5개의 시험구를 설정하였으며, 제조된 표고당화액을 농축 후 동결건조 하여 분말로 분쇄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표고당화액의 면역효과를 검증하고자, Raw 264.7에 표고당화추출분말 A, B, C, D, E를 각각 10, 50, 100 및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각 시료에 대한 세포 독성과 항염증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독성 시험결과, E 시험구의 경우 $100{\mu}g/mL$의 농도에서 75.3%, $500{\mu}g/mL$의 농도에서 66.3%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 독성을 보였다. 또한 A, B, D를 각각 $500{\mu}g/mL$의 농도로 처리 했을 때, 94.1%, 83.1%, 80.2%의 NO 생성율을 나타내어 E 시험구를 제외하고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고당화추출분말의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C 시험구에서 19,699.01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 시험구에서 17,231.14 mg%, B 시험구에서 17,152.38 mg%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E 시험구에서 13,367.98 mg%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든 표고당화추출분말에서 총 16종의 유리아미노산 이 검출 되었으며, C 시험구에서 2,562.06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B 시험구에서 2,243.16 mg%, D 시험구에서 1,895.29 mg%, A 시험구에서 1,672.82 mg%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표고 단포자 교배에 따른 자실체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fruiting bodies formed upon monohybrid cross of Lentinula edodes strains)

  • 가강현;유림;장영선;박영애;정연석;강재준;허금심;전성민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3-179
    • /
    • 2019
  • 표고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매우 중요한 식용버섯이다. 표고 우량품종을 개발하기 위해 14개 균주를 사용하였고, 단포자교잡을 통해 3,100개의 조합으로부터 1,638개의 교잡계통을 육성하였다. 교잡계통의 톱밥재배 시험결과 364개 계통의 버섯이 발생하였으며, 버섯의 모양과 크기를 기준으로 65개의 우량 후보계통을 최종 선발하였다. 364개 계통 중 주름이 없는 균주는 40개, 대의 모양이 원통형인 균주는 255개, 대 아래쪽이 뭉툭한 형태는 15개, 대 위쪽이 뭉툭한 형태는 94개로 관찰되었다. 10번의 조합을 가진 2462 n1-n10과 3420 n1-n10을 기준으로 했을 때, 65개의 우량한 후보 계통 중 5회 이상 동일 단포자가 포함된 것은 2462 n1, 2462 n2, 2462 n10, 3420 n3 이었다. 이들 단포자 균주들은 표고의 교잡계통을 만드는데 우수한 균주로 판단된다.

콩나물 부산물 첨가량에 따른 표고의 생장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Lentinula edodes treated with bean sprout waste)

  • 박윤진;이진우;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0-153
    • /
    • 2023
  • 본 연구는 미강의 대체 원료로 콩나물 부산물(BW)을 활용하여 표고의 생장특성을 확인하였다. 참나무톱밥과 미강을 8:2(v/v) 섞은 배지와 미강을 대체하기 위해 미강과 각 BW 50%, 100%로 BW를 섞은 혼합배지에 표고의 주요 재배 품종인 산조 701의 균사생장을 비교한 결과 대조구와 BW 50%의 균사생장량은 13.5 cm였으며, BW 100%의 균사생장량은 12.2 cm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실체 생장을 비교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BW 50%는 갓의 직경은 1.6 cm 증가하였으며, 대길이는 0.4 cm 감소되었다. 반면에 BW 100%는 갓의 직경은 9.6 cm 감소하였으며, 대의 길이는 1.4 cm 감소하였다. 구성아미노산의 분석 값에 의하면 영양적인 측면에서 BW 50%는 대조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인 반면 BW 100%는 대조구에 비해 Met 함량은 낮았지만 감칠맛을 더해주는 성분을 가진 Glu와 필수아미노산 중 하나인 Val이 각 3.95 mg/g, 2.30 mg/g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콩나물 부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 및 활용한다면 미강 대체제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표고에서의 RNA 바이러스 수직감염 (Vertical Transmission of RNA Mycoviruses in Lentinula edodes)

  • 김은진;박미정;김민준;정연석;장영선;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63-274
    • /
    • 2022
  • 표고는 중요한 상업용 버섯이며, 표고에서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여러 보고가 있었다. 톱밥 재배 품종인 산백향(NIFoS 2778)과 태향고(NIFoS 4317)에 대한 바이러스 검출 결과, 이들이 2개의 mycoviruses (LeV-HKB 및 LeNSRV1)에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품종의 자실체에서 분리된 담자포자에서 유래한 80개의 단핵균사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단 핵균사들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었으며, LeV-HKB와 LeNSRV1의 수직감염률에 차이가 있었다. LeV-HKB가 LeNSRV1 보다 높은 수직감염률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mycovirus의 수직 감염 기작이 바이러스 종에 따라 다른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담자포자 유래 단핵균사들의 생장속도를 조사하여 바이러스 감염과 생장속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바이러스 감염과 균사 생장속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지만, 감염된 바이러스의 종류가 늘어날수록 생장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mycovirus의 수직 감염 기작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단핵균사를 이용한 무바이러스 품종 개발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있을 것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