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ft coronary artery

검색결과 490건 처리시간 0.03초

관상동맥 우회로술 환자에서 혈액 보존법 (Blood Conservation in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in 24 consecutive patients -)

  • 최종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0호
    • /
    • pp.1048-1054
    • /
    • 1992
  • With use of a simple, inexpensive and nonpharmacological program for blood conservation, 24 consecutive patients underwent elective or urg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without need of homologous red cell transfusions and /or fresh frozen plasma transfusions in 16 patients[66.7%].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ings were done in 18 patients[75%], with supplemental saphenous vein grafts in all. Intraoperatively, autologous heparinized blood was removed before bypass and retransfused at the conclusion of ext-racorporeal circulation. The volume remaining in the oxygenator and tubing set was returned without cell processing or hemofiltration. Using the hard-shell cardiotomy reservoir from the oxygenator, autotransfusion of the shed mediastinal blood was continued hourly by the next early;norning. The mean postoperative mediastinal blood loss was 364$\pm$234ml, whereas 553$\pm$383ml was autotransfused. 4 patients [16.7%] received homologous blood and an additional 4 patients[16.7%] fresh frozen plasma. Thus, in total, 16 patients[66.7%] were not exposed to any homologous blood products during the hospital stay. At discharge, the mean hemoglobin concentration was 10.3$\pm$1.6g /dl.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few and there was no hospital death.

  • PDF

좌측 후측방개흉술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 재수술 치험 1예 (Redo CABG through a Left Posterolateral Thoracotomy - A case report-)

  • 송창민;김미정;정성철;김우식;신용철;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66-368
    • /
    • 2008
  • 관상동맥 우회수술 후 협심증이 재발한 46세 남자 환자로 입원 후 시행한 관상동맥조영술 상에서 과거에 없었던 첫 번째 대각지의 폐쇄가 확인되어 좌측 후측방개흉술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우측와위에서 좌측 후측방개흉술을 시행하였고 심폐바이패스 없이 우측 요골 동맥을 이용하여 하행 흉부 대동맥과 대각지 사이에 문합을 시행하였다. 술 후 시행한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한 관상동맥조영술상에서 문합부위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대각지에 국한된 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좌측 후측방개흉술을 통해 관상동맥 우회 재수술을 시행하여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관상동맥 폐동맥 이상 기시증의 외과적 치료 후 좌심실 및 승모판 기능의 변화 (Changes of Ventricular Function and Mitral Regurgitation after Repair of Anomalous Origin of Coronary Artery from the Pulmonary Artery)

  • 이정렬;오세진;김웅한;김용진;노준량;배은정;노정일;윤용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8호
    • /
    • pp.523-528
    • /
    • 2005
  • 배경: 좌관상동맥 폐동맥 이상 기시증의 수술적 치료 후 좌심실 기능 및 승모판 폐쇄부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4월부터 2002년 7월까지 12명의 환자가 좌관상동맥 폐동맥 이상 기시증으로 외과 교정을 받았다. 연령의 중앙값은 4개월이었고 10명의 환자가 관상동맥 전이술을, 1명이 Takeuchi수술, 1명이 복재정맥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 받았다. 승모판 성형술은 1명에서 동시에 시행하였고 나머지 모든 환자들에서 승모판 폐쇄부전의 정도와 관계없이 승모판에 대한 성형술 및 치환술을 하지 않았다. 결과: 수술로 인한 조기사망은 2명$(16.7\%)$이었으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7.1\pm4.14년(7개월$\sim$13년)이었다. 4명의 환자에서 수술 후 $2.2\pm1.1$일의 순환 보조가 필요하였고 그 중 좌심실 보조 장치를 사용한 경우가 1명 있었다. 수술 후 좌심실 단축율은 $17.7\pm9.6\%$에서 $33.4\pm9.1\%$으로 증가하였고(p<0.05) 좌심실 이완기말 직경의 평균값은 $41.8\pm7.0\;mm에서 $33.1\pm7.3\;mm로(p<0.05), 수축기말 직경의 평균값은 $33.4\pm7.9\;mm에서 $22.2\pm7.5 \;mm로(p<0.05) 각각 감소하였다. 수술 전 승모판 폐쇄부전은 생존 환자 모두에서 수술 후 1년째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상호전이 관찰되었고, 이후 4년 추적관찰 도중에도 점진적으로 호전되었다. 추적관찰 도중 2명의 환자가 재수술을 받았는데 수술 후 3도 이상의 승모판 페쇄부전이 남아 승모판 성형술을 시행하거나 Takeuchi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우심실 유출로 협착으로 인해 재수술하였다. 걸론: 좌관상동맥 폐동맥 이상 기시증은 수술적 교정, 특히 관상동맥 전이술을 시행한 경우 훌륭한 단기 및 장기 성적을 보였으며 좌심실 기능 및 승모판 페쇄부전증의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승모판 폐쇄부전에 대한 동반 수술 적응증에 대한 지표는 지속적으로 탐색해야 할 것이다

In silico evaluation of the acute occlusion effect of coronary artery on cardiac electrophysiology and the body surface potential map

  • Ryu, Ah-Jin;Lee, Kyung Eun;Kwon, Soon-Sung;Shin, Eun-Seok;Shim, Eun B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3권1호
    • /
    • pp.71-79
    • /
    • 2019
  • Body surface potential map, an electric potential distribution on the body torso surface, enables us to infer the electrical activities of the heart. Therefore, observing electric potential projected to the torso surface can be highly useful for diagnosing heart diseases such as coronary occlusion. The BSPM for the heart of a patient show a higher level of sensitivity than 12-lead ECG. Relevant research has been mostly based on clinical statistics obtained from patients, and, therefore, a simulation for a variety of pathological phenomena of the heart is required. In this study, by using computer simulation, a body surface potential map was implemented according to various occlusion locations (distal, mid, proximal occlusion) in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body surface during the ST segment period were observed and analyzed based on an ST isointegral map. We developed an integrated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ellular to organ levels, and performed simulation regarding the electrophysiological phenomena of the heart that occur during the first 5 minutes (stage 1) and 10 minutes (stage 2) after commencement of coronary occlusion. Subsequently, we calculated the bipolar angle and amplitude of the ST isointegral map, and observ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and the location of coronary occlusion. In the result, in the ventricle model during the stage 1, a wider area of ischemia led to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bipolar angle; and, during the stage 2, the amplitude increased when the ischemia area exceeded a certain size.

관상동맥 우회로술 154예이 조기 임상 결과 (Clinical Analysis of the Early Result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송창민;안재범;김우식;신용철;유환국;김병열;김인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7호
    • /
    • pp.476-482
    • /
    • 2005
  • 최근 들어 관상동맥 질환과 관상동맥 우회술은 점차 증가하고 수술성적은 점차 나아지고 있다. 국립의료원에서도 1985년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작한 이래 154예의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성적을 분석,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148명을 대상으로 154예의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전 진단, 관상동맥 질환 정도, 시행한 수술의 종류, 이식된 혈관의 종류, 원위부 문합수, 동반된 술식, 수술 후 심기능 보조를 위한 대동맥내 풍선펌프의 이용 추이, 수술 후 합병증 및 사망률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48명에서 성비는 남녀 각 84명$(56.8\%)$, 64명$(43.2\%)$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8.9\pm8.3$세였다. 수술 전 진단은 불안전성 협심증 97예$(63.0\%)$, 안정성 협심증 31예$(20.1\%)$, 급성 심근경색이 12예$(7.8\%)$, 심근경색 후 협심증이 14예$(19.1\%)$이였다. 수술 전 관상동맥 조영상 좌주 관상동맥질환 12예$(7.8\%)$, 삼혈관 질환 68예$(44.2\%)$, 이 혈관 질환 39예$(25.3\%)$, 일혈관 질환 55예$(22.7\%)$이었다. 총 154예 중 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이 78예$(50.6\%)$, 비체외순환하 수술이 76예$(49.4\%)$였고, 3예에서 비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에서 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로의 전환이 있었다. 원위부 문합수는 총 319개, 평균 $2.06\pm0.96$이었다. 관상동맥 우회술시 다른 수술이 동반되었던 경우가 총 10예$(6.5\%)$였다. 수술 후 대동맥내 풍선펌프는 21예$(13.6\%)$에서 이용하였으나, 비체외순환하 수술에서는 4예$(5.1\%)$로 줄었으며, 전체 사망환자는 12명$(7.9\%)$이었으나, 2001년 이후에는 111예 중 5명$(4.5\%)$으로 감소하였다. 수술합병증으로 수술 전후의 심근경색증 9예$(5.8\%)$, 저심박출증 17예$(11\%)$, 부정맥 30예$(19.5\%)$등이었다. 결론: 국립의료원 흉부외과에서는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작한 이래 수술경험의 축적, 비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의 도입, 내흉동맥 및 요골동맥으로의 이식편 이용 변화에 따라 수술성적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임상경험의 축적 및 장기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ssociation of Toll-like receptor 2-positive monocytes with coronary artery lesions and treatment nonresponse in Kawasaki disease

  • Kang, Soo Jung;Kim, Nam Su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7호
    • /
    • pp.208-215
    • /
    • 2017
  • Purpose: Activation of Toll-like receptor 2 (TLR2) present on circulating monocytes in patients with Kawasaki disease (KD) can lead to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interleukin-10 (IL-10). We ai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of the frequency of circulating TLR2+/ CD14+ monocytes (FTLR2%) with the outcomes of KD, as well as to compare FTLR2% to the usefulness of sIL-10. Methods: The FTLR2% in patients with KD was measured by flow cytometry. Serum levels of IL-10 (sIL-10) were determined in 31 patients with KD before the initial treatment with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and in 21 febrile controls by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Patients were classified as having coronary artery lesions (CALs) based on the maximal internal diameters of the proximal right coronary artery and proximal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one month after the initial diagnosis. Results: We found that FTLR2% greater than 92.62% predicted CALs with 80% sensitivity and 68.4% specificity, whereas FTLR2% more than 94.61% predicted IVIG resistance with 66.7% sensitivity and 71.4% specificity. Moreover, sIL-10 more than 15.52 pg/mL predicted CALs and IVIG resistance with 40% and 66.7% sensitivity, respectively, and 73.7% and 76.2% specificity, respectively. Conclusion: We showed that measuring FTLR2% before the initial treatment could be useful in predicting CAL development with better sensitivity than sIL-10 and with results comparable to sIL-10 results for the prediction of IVIG resistance in patients with KD.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validate FTLR2% as a marker of prognosis and severity of KD.

좌심실에 발생한 진성심실류 (2례 보고) (Left ventricular aneurysm (Two cases report))

  • 이철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6권2호
    • /
    • pp.175-183
    • /
    • 1983
  • Ventricular aneurysm which was first described by John Hunter on 18th century, has been experienced by many surgeons after successful using of cardiopulmonary bypass by Cooley on 1958. According to Gorlin, the definition of ventricular aneyrysm is portion of the ventricle which is not motile at systole (akinesis) or which has paradoxical dilatation at systole(dyskinesis). The ventricular aneurysm is classified to anatomical and functional. The anatomical ventricular aneurysm is devided into true or false again. Average age incidence is ranged from 49 to 60 and male predominance is reported. The cause is ischemic coronary artery disease in almost cases but hypertropoc cardiomyopathy, congenital abscence of myocardium, complication after mitral valvular replacement and trauma may also cause the ventricular aneurysm. Angina pectoris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are most common clinical manifestations Ventricular tachycardia and systemic embolization are also complained. Using cardiopulmonary bypass, aneurysmectomy alone or combination with coronary artery revasculization are currently done for surgical treatment with steady improvenment of mortality. The first patient was 33 years old man who had true type of ventricular aneurysm on inferior wall the left ventricle near apex with protruded huge organized thrombus. The thromboembolic phenomenon was noted on both lower extremities.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aneurysmectomy and thrombectomy were done. The aneurysmal orifice was repaired with Teflon buttless suture. The second patient was 30 years old female who had large true type of ventricular aneurysm on inferior wall of the left ventricle.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aneurysmectomy with repair of aneurysmmal orifice defect by means of double layered Dacron patch was done with reinforce by outer silastic sheet covering. She was discharged from hospoital at post op. 15th day uneventfully.

  • PDF

내유동맥의 골격화 채취는 흉골로의 혈류 감소 측면에서 과연 유리한가 \ulcorner: 골주사를 이용한 평가 (Is Skeletonized Internal Mammary Artery Harvesting better than Pedicled Harvesting in Respect of the Sternal Blood Flow\ulcorner: An Estimation Using Bone Scan)

  • 손국희;김영삼;김정택;윤용한;김광호;최원식;백완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511-516
    • /
    • 2004
  • 배경: 관상동맥우회술 시 내유동맥편의 골격화 채취법의 이론적인 장점들의 하나는 골격화 채취가 내유동맥의 채취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흉골로의 혈류 공급의 감소를 최소화시킨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술 전과 술 후 각각 골주사를 통하여 좌측 및 우측 흉골로의 흡수율을 비교 분석하여, 술 후 내유동맥편의 채취 방법에 따른 흉골로의 혈류 감소의 차이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4월부터 2003년 3월까지 시행한 48예의 관상동맥우회술 환자들 중 술 전 및 술 후 1일째 골주사를 시행한 27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8예의 환자에서 양측 내유동맥을 모두 사용하였으며(BIMA군), 19예의 환자에서 좌내유동맥만을 사용하였는데(LIMA군), 이 중 골격화 채취를 하여 사용한 환자가 12예(LIMA_skel군), 경상 채취하여 사용한 환자가 7예(LIMA_ped군)였다. 골주사를 시행 후 임의의 정중선을 기준으로 흉골의 좌측 부분에 관심 영역을 그리고 흉골의 반대편에 이 영역의 대칭영상을 만들어 또 하나의 관심 영역을 만든 후 각 관심 영역의 화소 당 평균 계산치를 택하여 좌우비를 산출 하였다. 결과: LIMA군에서 좌우비는 수술 전 94.6$\pm$4.1%에서 술 후 87.9$\pm$6.9%로 감소한 반면(p=0.003), BIMA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 좋은 대조를 보였다. LIMA_skel군 과 LIMA_ped군에서의 좌우비는 각각 수술 전 95.3$\pm$4.2% 및 93.4$\pm$3.9% 에서 술 후 88.3$\pm$7.7% 및 87.4$\pm$5.8%로 감소하였으나 감소 정도를 분율로 표시하였을 때 LIMA_skel군이 -7.44$\pm$7.08, LIMA-ped 군이 -6.17$\pm$9.08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술 후 흉골의 골주사 흡수의 감소는 내유동맥의 채취가 채취방법에 상관없이 동측의 흉골의 혈류 공급을 감소시킴을 시사하였다. 내유동맥의 골격화 채취가 비골격화 채취에 비하여 흉골의 혈류 공급의 보존 측면에서 월등한 이점을 보이지는 않았다.

관상동맥우회술 시 요골동맥의 근위부 문합방법에 따른 조기결과 (Early Result of Proximal Anastomosis Methods of Radial Artery in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박종운;신윤철;김응중;지현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91-98
    • /
    • 2006
  • 배경: 관상동맥우회술에서 동맥이식편의 장기개통률이 우수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요골동맥의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근위부 문합방법에 따른 차이에 대해 논의가 분분하다. 이에 본 교실에서는 요골동맥 문합방법에 따른 임상적, 영상적 차이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강동성심병원 흉부외과에서 2003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요골동맥을 사용하여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받은 환자 48명을 대상으로 요골동맥을 독립적으로 대동맥에 근위부 문합을 시행하여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받은 환자들(독립절편군, 1군)과 좌속 가슴동맥에 요골동맥을 문합하여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받은 환자들(복합절편군, II군)과의 임상결과 및 관상동맥조영술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48예 중 I군은 33예(남 26예, 여 7예, 평균연령 61.93$\pm$6.56세), II군은 15예(남 13예, 여 2예, 평균연령 59.53$\pm$6.02세)였고 두 그룹 간 술 전 변수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심폐우회술 시간의 경우 I군이 169.36$\pm$40.28분으로 II군의 139.40$\pm$20.45분보다 유의하게(p=0.026) 길었고 환자당 요골동맥을 연속문합으로 사용한 경우 5/33 ($15.2\%$)와 l1/15 ($73.3\%$)로 II군에서 높게 나타났다(p <0.05). 근위부 문합에 사용된 정맥편은 47/117 ($40\%$)과 9/48 ($18\%$)로 I군에서 유의하게 많았고(p=0.011) 이외 수술직후의 합병증과 사망률의 차이는 없었다. 평균 추적 관찰기간은 15.87$\pm$7.33 ($1{\~}28$)개월과 21.40$\pm$2.85($17{\~}25$)개월로 II군에서 더 길었고(p=0.015) 술 후 관상동맥조영술은 I군에서 17/33 ($51.5\%$), II군에서 14/15 ($93.3\%$)에서 시행하였다. 조기 완전 개통률은 좌전하행지의 경우 15/17 ($88.2\%$)와 12/14 ($85.7\%$)로 (p=1.00) 나타났고, 요골동맥의 경우 I군에서 17/20 ($85\%$)와 II군에서 30/30 ($100\%$) (p=0.058)로 통계학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추적 관찰 기간동안 만기사망의 경우 I군에서 1/33 ($3.0\%$), II군에서 1/15 ($6.7\%$)였다. 결론: 두 군에서 심폐우회술 시간, 환자당 연속문합의 수와 근위부 문합에 사용된 정맥편 수의 차이 이외에 임상적, 술 후 관상동맥 조영술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약물용출 스텐트를 이용한 관상동맥중재술 후 재협착의 독립적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 MDCT calcium-scoring 시행 환자 대상으로 (The Study on the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 of Restenosi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used Drug-Eluting Stent : Case on MDCT Calcium-Scoring Implementation Patient)

  • 김인수;한재복;장성주;장영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3권1호
    • /
    • pp.37-4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약물용출성 스텐트 삽입 후 재협착에 관한 독립적 인자를 확인하고 MDCT로 측정된 calcium score가 재협착 발생의 예측인자로써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6년 5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MDCT상 관상동맥 협착이 발견되어 약물 용출 스텐트를 삽입 받은 환자 1,131명 중 추적검사로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되었던 178명(남자 159명, 여자 19명, 평균 연령 61.7, 연령분포 51~71세), 190개소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재협착 여부에 따라 두 군(비협착군 133병변, 재협착군 57병변)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상진단명은 진구성 심근경색이 비협착군 3예(2.3%), 재협착군 5예(8.8%)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 0.040), 급성 심근경색증, 불안정 협심증, 안정 협심증의 유병률은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 조영술 소견에서 병변 혈관의 위치는 재협착군에서 좌주간지 병변이 더 많았다(0.8% vs. 5.3%, p = 0.047). 스텐트 직경은 재협착군에서 유의하게 작았으며($3.3{\pm}0.4\;mm$ vs. $3.1{\pm}0.3\;mm$, p = 0.004), 스텐트 길이는 양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 조영술 상 혈관의 초기 협착 정도는 재협착군에서 더 심했으며($86.1{\pm}11.4%$ vs. $91.5{\pm}9.2%$, p = 0.001), 복잡 병변(B2/C형)은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연령은 재협착군에서 더 높았고($60.2{\pm}9.9$세 vs. $65.8{\pm}9.0$세, p = 0.0001), 흡연력과 고지혈증은 비협착군에서(42.1% vs. 19.3%, p = 0.003, 23.3% vs. 8.8%, p = 0.019), 그리고 당뇨병은 재협착군에서 많았다(21.8% vs. 52.6%, p = 0.0001). 심초음파로 측정한 좌심실 구혈률은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MDCT coronary artery calcium scoring는 비협착군 $371.2{\pm}500.8$, 재협착군 $389.3{\pm}458.3$로 차이가 없었고, 목표혈관과 좌주간지, 좌전하행지, 좌회선지 및 우관상동맥 각각의 calcium score 역시 양군 간 차이가 없었다. 다 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좌주간지 병변(OR = 168.0, 95% CI = 7.83-3,604.3, p = 0.001), 남성(OR = 36.5, 95% CI = 5.89-2,226.9, p = 0.0001), 당뇨병의 존재(OR = 2.62, 95% CI = 1.071~6.450, p = 0.035)가 약물용출성 스텐트 삽입 후 재협착 발생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인자이었다. 따라서 관상동맥 협착에 대해 약물용출 스텐트를 삽입 받은 환자에서 스텐트 내 재협착의 발생은 좌주간지 병변, 남성, 당뇨병의 존재와 관련이 있었으나, MDCT로 측정된 calcium score는 재협착 발생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인자로써 기능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