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e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5초

여고생의 정신건강 실태와 관련요인 (A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of Mental Health on Girls' High School Students)

  • 이영은;최은정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3-114
    • /
    • 201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of mental health on girls'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46 academic girls' high school students and 240 vocational girls' high school students of the 1st graders in Busa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8, 2009 to May 30, 2009. Survey was developed in the form of self-report five-point likert scale(1-5) using Lees Instrument of mental health(1986) that revised from Derogatis et al's Symptom Check List-90(1976). The higher score of this scale means worse status of mental health. Result: The score of mental health of subjects was low and the mean was $1.69{\pm}.50.$ The depression mean was the highest among mental health sub-variables. The mental health of the vocational girls' high school students was worse than the academics. As for subjects in mental health by their various characteristics, there are significant by school type(p<0.001), economic status(p<0.001), father's job(p<0.001), parent's marrital status(p<0.001), cognitive health status(p<0.001), record(p<0.05), character(p<0.001), satisfaction of life(p<0.001), needs for help on mental health(p<0.001). Conclusion: The intervention program needs to improve mental health of vocational high school girls' students as well as academic high school girls' students, and need to establish depression reliev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girls' high school students.

  • PDF

치과위생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

  • 최하나;임순연;조영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973-981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actors that affect turnover intention among dental hygienists. This study also provides a method to decrease the turnover intention, and demonstrates plans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thods :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00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clinic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during the month of September, 2010. The total of 152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s were consisted of 6 categories: turnover intention,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out,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ere applied in this analysis. Results : 1. Looking at the relations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urnover intention was the highest among 20-29 age group, junior college graduates, and the group that had lees than 2-5 years of working experiences(p<0.05). Regarding marital status, singles had higher turnover intention than married people. 2. Looking at the correlation among turnover intention,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out, stress, and job satisfaction, most of these factor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However the correlations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tress, stress and empowerment,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p<0.05). 3.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tres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p <0.05).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nd it negatively influences the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 In order to decrease the turnover intention among dental hygienists, plans that can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uld be implemented by improving organization-related factors.

청소년의 종가 생활문화 현장학습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종가 복식문화 사례 연구 -전남 함평 종가를 대상으로- (A Case Study on the Costume Culture of the Head Family for Adolescent′s Spot Experience Studying)

  • 서리나;유명의
    • 복식문화연구
    • /
    • 제11권5호
    • /
    • pp.753-76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ses of the family head's costume culture and to apply them to field experience education of adolescent's home economics subject. To examine the family head's costume culture, women in the family head in the Hampyeong area, Jeollanam-do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The focus of examining the family head's costume culture was on the life story of the family head, the reason to wear or possess such costume, and a motive of making. The findings of the head family's costume culture suggests that the head family of the Mos of Hampyeong had unique shroud making and custom. Also it was found that the eldest daughters-in-law of the Lees of Hampyeong have horizontally exchanged the information of the family head's costume with village women of the same family. They have initiated their costume culture directly through their daughters and it had the great influence on after-ages. The learning program for youth to experience the head family's costume culture consisted of four subjects:(l)Educating the family head's traditional living culture including etiquette training, (2)head family village walk, (3)experiencing the family head's clothes life including natural dyeing and sewing, and (4)a field trip of Hampyeong Local Life Culture Museum. For a model experience of the family head's costume life culture, three families with middle and high schoolers participated in 8- hour experience learning program.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ing program to experience the family head's costume culture, youth and their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asked open-ended questions, which included the content validity of experience learning, impressive experience, model experience level(difficulty), and expected effect after a model experience. As a result, their responses were found positive.

  • PDF

Characteristic for Growth and Fruit Body Polysaccharide of Caterpillar Fungi, Cordyceps sobolifera(Hill.) Berk. et Br.

  • Ohga, Shoji;Yoshimoto, Hiroaki;Pokhrel, Chandra;Yang, Bai-Song;Miyazawa, Noriko;Meng, Tianxiao;Hosoda, Shun;Mae, Masuo;Sun, Zhu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2호
    • /
    • pp.199-212
    • /
    • 2008
  • Mycelial expansion and fruit body development of caterpillar fungi, Cordyceps sobolifera(Hill.) Berk. et Br. was examined on various carbon and nitrogen sources, some substrates with various supplements. Best temperature for the mycelial expansion was $25^{\circ}C$, while optimal pH was 7. Glucose and polypeptone were the best sources of carbon and nitrogen, respectively, as well as 1:1 was the best ratio of carbon and nitrogen. The unpolish rice and bean curd lees were used as core substrates combined individually with five various supplements. In substrates based, all the supplements with all combinations were found to exhibit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formation. Likewise, yolk was found as a superior supplement and also clarified quite high polysaccharide content in the fruit body.

  • PDF

한글판 뇌진탕후증후군 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

  • 윤미리;고영훈;한창수;조숙행;전상원;한창우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1호
    • /
    • pp.26-35
    • /
    • 2015
  • 연구목적 본 연구는 Lees-Haley가 1992년 개발한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PCSQ)의 한글판(K-PCSQ)을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2009년 4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외래에 내원한 외상성 뇌 손상 환자들 중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10(ICD-10)의 뇌진탕후증후군, 기질성 정신질환(기질성 기분장애, 기질성 불안장애, 기질성 인격장애, 기질성 감정이변성장애)의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평가 척도인 K-PCSQ,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STAI-I. II),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PCS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으며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K-PCSQ의 Cronbach's alpha 값은 0.956,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0.836이었으며 STAI-I. II, CESD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요인 분석 결과 K-PCSQ는 4개의 요인구조를 보였으며, 제 1 요인은 '기분 및 인지 증상' 요인, 제 2 요인은 '신체 증상' 요인, 제 3 요인은 '드물게 나타나는 증상' 요인, 제 4 요인은 '과장 또는 부주의한 응답' 요인으로 나타났다. 뇌진탕후 증후군 환자와 기질성 정신질환 환자 두 군에서 K-PCSQ의 총점과 4가지 하위 요인의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과장 또는 부주의한 응답' 항목에 답변한 대상자들은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K-PCSQ의 총점과 4가지 하위 요인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본 연구는 K-PCSQ가 두부외상으로 인한 정신의학적 증상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통해 임상적인 유용성의 평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막걸리 주박 가수분해 산물과 propionic acid를 탄소원으로 이용한 Bacillus sp. EML-5020 균주로부터 poly (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생합성 (Production of Poly (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by Bacillus sp. EMK-5020 Using Makgeolli Lees Enzymatic Hydrolysate and Propionic Acid as Carbon Sources)

  • 권경진;김종식;정정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510-522
    • /
    • 2022
  • Poly (3-hydroxyalkanoates) (PHA)는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서 미생물이 과립형태로 생합성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다. PHA 중 가장 연구가 많이 된 polyhydroxyburyrate (PHB)는 높은 결정성과 부서지기 쉬운 성질로 인해 사용 및 응용범위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olypropylene과 좀 더 유사한 성질을 지닌 PHA를 생합성하고자, 3-hydroxybutyrate와 3-hydroxyvalerat의 공중합체인 poly (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 (PHBV)를 생합성하는 Bacillus sp. EMK-5020 균주를 토양에서 분리하였다. 플라스크로 배양한 결과, Bacillus sp. EMK-5020 균주는 효소를 이용한 막걸리 주박 가수분해산물(enzymatic makgeolli less hydrolysate, MLEH)에 포함된 환원당(환원당MLEH)을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1.3%의 3HV가 함유된 PHBV를 생합성하였으며, 보조탄소원으로 첨가한 propionic acid의 양이 증가할수록 3HV의 함량이 증가하여 최대 48.6%의 3HV가 포함된 PHBV를 합성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환원당MLEH (20 g/l)와 propionic acid (1 g/l)를 각각 주 탄소원 및 보조탄소원으로 이용하여 3 l 발효기에서 균주를 72시간 배양한 결과 6.4 g/l DCW와 8.9% 3HV를 함유하는 PHBV (MLEH-PHBV)를 50 wt% 생합성함을 확인하였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통해 MLEH-PHBV의 평균 분자량은 152 kDa으로 standard PHBV의 평균 분자량(314 kDa)에 비해 절반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열중량을 분석한 결과 MLEH-PHBV의 분해 온도가 standard PHBV보다 20℃ 높은 273℃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sp. EMK- 5020균주를 이용하여 MLEH 및 propionic acid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3HV 분획을 함유하는 PHBV생합성할 수 있었으며, 대량배양을 통해 생합성된 8.9% 3HV를 함유한 PHBV-MLEH는 standard PHBV (8% 3HV)에 비해 높은 열 안전성을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일본 후지산의 감쇠구조 (Attenuation Structure of the Mt. Fuji Region, Japan)

  • 정태웅;조나단리스;요시모토카즈오;후지타에이스케;우카와모토오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8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97-100
    • /
    • 2008
  • 일본 후지산은 역사적, 지질학적, 그리고 최근의 지진학적 징후로부터 화산활동의 재개에 의한 재해가능성이 있어 화산감시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후지산 감시활동의 일환으로 축적된 방대한 주변지역 지진자료를 바탕으로 단일산란모델에 의한 코다감쇠상수($Q_c^{-1}$)와 다중시간창분석에 의한 고유 및 산란감쇠상수 ($Q_i^{-1}$, $Q_s^{-1}$)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후지산 아래에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용암체의 감쇠구조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정상에서 반경 5km 이내의 지대를 지진파가 통과하는 '후지산 근방', 지진파 통과지역이 모두 반경 20 km 바깥인 '먼 후지산'으로 자료를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자료가 풍부하여 비교적 작은 오차범위를 나타내고 있는데, '후지산 근방'의 모든 감쇠상수 수 $Q^{-1}$는 '먼 후지산'에 비해 컸으며, 두 지대 공히 고주파 영역에서의 $Q_i^{-1}$값은 $Q_s^{-1}$ 값에 비해 높은 값이었다. 그러나, '후지산 근방'의 $Q_i^{-1}$ 값은 다른 화산지역에 비해 낮았는데, 이는 하와이화산과 같은 활동적인 화산에 비해 용융도의 비율이 낮거나 마그마활동이 덜한 것으로 해석된다.

  • PDF

High Throughput Screening (HTS) 기법을 통한 제주 자생 해조류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평가 (Evaluation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Jeju Seaweeds Using High Throughput Screening (HTS) Technique)

  • 김길남;허수진;차선희;전유진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70-177
    • /
    • 2006
  • 본 연구는 제주산 해조류의 생리활성을 대량검색하기 위해 HTS 기법을 이용한 실험과정의 제어 및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DPPH 라디칼을 이용하여 HTS를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제주산 해조류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대량 검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HTS를 위한 효율적인 검색방법을 개발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은 해조류를 검색하게 되었다. 녹조류의 경우 납작파래 (20G6)의 $20^{\circ}C$ 추출물(1 mg/ml)에서 약 60%이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을 뿐 나머지 해조류에서는 40% 미만이 낮은 활성만을 보였다. 갈조류의 경우 꽈배기 모자반 (20B17), (70B17), 참그물바탕말 (70B1), 큰잎모자반 (70B16)과 감태 (70B26)에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우수하였다. 홍조류 중에서는 왜떨기나무붉은실 (20R24)에서 가장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갈래잎 (20R17), 굵은참우뭇가사리 (20R18), 부채분홍잎 (20R23) 또한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던 해조류를 대상으로 용매분획 및 활성물질의 분리, 정제를 통해 해조류 유래의 기능성 신소재를 개발한다면, 해조류의 고부가가치화 및 HTS기술의 보편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 세포주에서 hesperetin에 의한 p38 MAPK와 ERK1/2를 통한 염증반응 조절 (Hesperetin Ameliorates Inflammatory Responses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via p38 MAPK and ERK1/2)

  • 이승훈;이은주;정정욱;손호용;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9-134
    • /
    • 2019
  • 이전 연구에서 전통주 주박 ethyl acetate 분획물로부터 11개의 순수물질을 분리 동정하였다. 11개의 순수물질은 caffeic acid, coumaric acid, D-mannitol, ferulic acid, hesperetin, hesperidin, naringenin, naringin, sinapic acid, syringic acid, 그리고 vanilic acid로 동정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그들의 항염증 활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 (NO) 생산을 측정하였다. 11개의 순수물질 중 hesperetin과 naringenin이 가장 높은 NO 생성 억제를 보여주었다. 또한, hesperetin은 세포 생존율에 영향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산을 저해하였다. 그리고, hesperetin은 농도의존적으로 염증유전자인 iNOS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한 반면, COX-2 단백질의 발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게다가, hesperetin은 p38 MAPK와 ERK1/2의 인산화를 억제한 반면 JNK의 인산화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hesperetin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며, 이러한 항염증 활성은 p38 MAPK와 ERK1/2 경로를 억제함으로써 일어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보리의 품종 및 도정률이 막걸리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Cultivars and Milling Degre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Makgeolli)

  • 박혜영;최인덕;오세관;우관식;윤순덕;김현주;심은영;정석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39-184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보리의 품종 및 도정률이 막걸리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조구인 기존 쌀 막걸리와 보리 막걸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건조주박량은 새쌀보리 그룹인 Ss-4, Ss-12, Ss-18이 92.3 g, 69.4 g, 63.8 g을 나타냈고, 흰찰쌀보리 그룹인 Hcs-6, Hcs-14, Hcs-20은 62.3 g, 42.2 g, 32.2 g을 나타내 도정률과 품종 간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으며(P<0.05), 주박함수율은 도정률 증가에 비례하였다. 한편 Ss-8, Sdj-8의 주박량은 19.0 g, 7.7 g으로 쌀과 보리 원료에 따른 큰 차이를 나타냈다. 원료 도정률 증가에 따라 탄수화물은 증가, 그 외 성분은 감소하였고, 그중 회분은 막걸리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pH, 총산 함량, 아미노산도는 도정률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이는 도정 정도를 달리하는 원료 특성에 따라 생성되는 유기산과 함유된 영양성분의 차이에 기인할 것으로 보인다. 보리 도정률에 따른 막걸리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알코올 함량은 도정률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품종 간 차이를 보였고 보리 막걸리는 $10.7{\sim}11.8^{\circ}Brix$, 14.07~15.07%로 쌀 막걸리 $12.0{\sim}12.2^{\circ}Brix$, 17.27~17.77%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도정에 따른 원료곡의 색 차이는 막걸리의 색도에도 영향을 주어 도정률 증가에 따라 L값과 b값이 증가하였다. 발효와 관련한 유산균수는 Ss-4, Ss-12, Ss-18이 7.21, 6.99, 6.67 log CFU/mL였고, Hcs-6, Hcs-14, Hcs-20은 6.14, 5.39, 5.65 log CFU/mL로 도정률 증가에 따른 유의적 감소를 나타냈다(P<0.05). 이러한 결과는 효모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고, 특히 막걸리의 주요 품질로 현탁안정성이 도정률에 따른 차이를 보여 도정률 조정으로 현탁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