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presence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5초

중국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이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ecturer Appearance and Students' Behavioral Patterns on Learning Flow and Teaching Presence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Video Lectures)

  • 태효하;제혜금;김보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07-11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이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중국 형태대학교 18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DISC 행동유형을 분류한 후 교수가 출연과 마출연 동영상에 배정하여 학습하게 하였다. 이후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을 측정한 후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가 출연하는 강의동영상을 학습한 집단이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 출연여부가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교수자 출연의 효과는 유의하였으나 둘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교수자 출연여부가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에서 교수자 출연의 효과는 유의하였고, 학습자 행동유형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둘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강의동영상은 교수자가 출연하는 것이 좋으며, 교수실재감을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행동유형의 상호작용효과를 고려하여 교수자 출연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온라인 SW교양교육에서 자기조절, 교수실재감, 학습몰입이 컴퓨팅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Regulation, Teaching Presence, Learning Engagement on Computational Thinking in Online SW Liberal Education)

  • 하석영;박주연;배윤주;이정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79-59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SW교양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실시간 및 비실시간 혼합형태로 진행되는 대학 온라인 SW교양 수업을 수강하는 서울소재 A여자대학교 9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조절, 컴퓨팅사고력, 교수실재감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몰입은 컴퓨팅사고력과 자기조절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학습몰입은 컴퓨팅사고력과 교수실재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SW교양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몰입을 향상시키고, 학습자가 자기조절 전략을 설계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제안하였으며, 학습자가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교수실재감을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온라인 강의 프로그램의 캐릭터 에이전트를 통한 차원별 프레젠스 연구 (A Study on the Presence Classified by Dimensions through Character Agents on E-Learning)

  • 권상희;조은정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23-143
    • /
    • 2009
  • 본 연구는 실험처치방법을 사용해 프레젠스의 요인들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디자인은 새로운 기술 기반의 콘텐츠를 사용하는 온라인 강의 플랫폼을 위한 에이전트의 차원들(자막, 음성, 2D, 3D, 실사, 캐릭터 성별)을 통해 제시되는 프레젠스 분석에 있다. 이를 위해 232명에게 실험을 실시하였고, 에이전트 차원과 이용자 유형에 의한 프레젠스 인지적 의식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이용자 유형과 프레젠스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차원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응답자의 성별에 따라 캐릭터의 성별, 음성 여부, 자막 여부, 캐릭터의 차원에서 어느 정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반 해부학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 기술수용성, 학습동기 및 해부학 지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Anatomy Education Program on Learning Presence, Technology Acceptance, Learning Motivation, and Knowledge for Nursing Students)

  • 김민경;송영아;손동민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9권2호
    • /
    • pp.141-149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VR) based anatomy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presence, technology acceptance, learning motivation, and knowledge.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13 nursing students (5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7 in the control group) from Ansan C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1 through 23. Data were analyzed using χ2-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using SPSS 23.0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learning presence, technology acceptance, and knowledg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Virtual reality based anatomy education is an effectiv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program.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VR anatomy education programs can improve anatomy knowledge by increasing students' acceptance of VR technology and increase their motivation to learn by increasing their sense of presence.

트위터(Twitter)를 활용한 토론학습에서 과제가치, 트위터효능감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sk Value, Twitter Self-efficacy, and Social Pres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on Twitter Discussion)

  • 이정민;윤나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1-60
    • /
    • 2012
  • 본 연구는 트위터를 활용한 토론학습에서 고려해야 할 지침을 얻고자, 과제가치, 트위터효능감,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0학년도 2학기에 서울에 소재한 A대학교에 한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 46명을 대상으로 약 3주 동안 트위터에서 토론수업을 진행하여, 과제가치, 트위터효능감, 사회적 실재감, 토론학습만족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회귀분석과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제가치, 트위터효능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사회적 실재감은 과제가치와 트위터효능감이 학습만족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트위터를 활용한 토론학습에서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제가치와 트위터효능감 향상을 위한 학습과정 설계 전략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사회적 실재감을 촉진시켜줄 수 있는 학습환경 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트위터 학습 관련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로, 향후 트위터를 활용한 학습환경에서 만족도나 성취도 등의 학습성과를 높이는 변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겠다.

  • PDF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교육실재감, 시스템사고능력 및 문제해결 적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Presence in Education, Systems Thinking an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 조옥희;황경혜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7-15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apply simulation-based education,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type of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presence in education, systems thinking, an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Method: Subjects were 69 senior college students recrui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This study used a one-group pre-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A structured survey was administered a week before and after provision of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once a week for 4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Results: Teaching presence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instructional design and organization, and aspect of direct facilitation subscales improved. Learning presence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although cognitive presence did not change, emotional presence increased. With regard to emotional presence,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one's emotional status increased, although emotional management did not change. Moreover, systems thinking increased. Among the subscales, team learning showed an increase after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lthough it showed an increase after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Conclusion: Based on the aforementioned study results, there is need to establish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qualitative teaching and learning presence, and devise strategies to increase learning effects with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ype of content.

흥미수준에 따른 인지적 실재감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탐색 (Exploring the Effect of Cognitive Presence on Flow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erest)

  • 서미경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2권
    • /
    • pp.165-182
    • /
    • 2022
  •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성취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흥미수준에 따라서 인지적 실재감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B대학의 사범학부에서 교직교과목을 수강한 162명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를 위해 흥미수준, 인지적 실재감, 몰입을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흥미 수준에 따라 인지적 실재감이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기 위해, 흥미 수준의 평균을 기준으로 저집단과 고집단으로 구분하여 다중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흥미수준 고집단에서 인지적 실재감의 하위요인 학습 관리 정도가 .071이며, 흥미수준 저집단에서 인지적 실재감의 하위요인 학습 관리 정도가 .143 수준으로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결론 및 제언 : 이와 같은 결과로, 흥미수준에 따라서 인지적 실재감의 학습 관리 정도가 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몰입에 있어서 인지적 실재감 지원을 통해 흥미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수업설계 전략을 제언하였다.

사이버대학 강의에서 학생의 사회적 실재감과 학업성취 간에 미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between Social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Cyber University Courses)

  • 주영주;김지현;이정원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51-164
    • /
    • 2012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과 학업성취 간에 미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1년 2학기 W사이버대학 학생 371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웹 설문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실재감은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실재감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몰입은 사회적 실재감과 학업성취도 간 양적 상호작용효과를 유도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이러닝 콘텐츠 개발 유형에 따른 실재감 및 학업 성취도 연구 (Study on Academic Presence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Types of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 김나영;이동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211-217
    • /
    • 2023
  • 본 연구는 이러닝 콘텐츠 개발 유형에 따라 학습자가 느끼는 실재감 및 학업 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상호작용 중심형 콘텐츠인 HTML5 기반 콘텐츠와 영상 제시형 콘텐츠인 Flash 기반의 콘텐츠로 콘텐츠 개발 유형을 구분했다. B 지역에 소재한 G 고등학교 1개 학급을 두 개 그룹으로 나눠 HTML5 기반 콘텐츠와 Flash 기반 콘텐츠를 각각 학습하게 하고, 실재감에 대한 설문 및 성취도 평가를 실시했다. 실재감은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고, 성취도의 차이는 공변량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이러닝 콘텐츠 개발 유형에 따른 실재감과 학업 성취도 모두 HTML5 기반의 상호작용 중심형 콘텐츠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발될 이러닝 콘텐츠의 개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Blended e-Learning Strategies for Effective Teaching in Traditional Universities

  • LEE, Hye-Jung;KIM, In-Su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8권1호
    • /
    • pp.71-9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nstructional strategies applicable to Blended e-Learning. After examining how traditional universities utilized e-learning, it is attempted to have an interview with three working-level people and seven instructors, who widely applied e-learning to their classe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instructors had some wrong understanding of e-learning, and their wrong perception was rooted in their lack of experience of providing e-learning and their reliance on fragmentary, superficial information. It deterred them from putting e-learning into active practice. Besides, it's additionally attempted to describe how blended e-learning could respectively be applied to different types of lectures, how to improve its social presence and how it could be used for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