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tea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Aerated Compost Tea on the Growth Promotion of Lettuce, Soybean, and Sweet Corn in Organic Cultivation

  • Kim, Min Jeong;Shim, Chang Ki;Kim, Yong Ki;Hong, Sung Jun;Park, Jong Ho;Han, Eun Jung;Kim, Jin Ho;Kim, Suk Ch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3호
    • /
    • pp.259-268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population during incubation of four kinds of aerated compost teas based on oriental medicinal herbs compost, vermicompost, rice straw compost, and mixtures of three composts (MOVR). It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aerated compost tea (ACT) based on MOVR on the growth promotion of red leaf lettuce, soybean and sweet corn. Findings showed that the pH level and EC of the compost tea slightly increased based on the incubation time except for rice straw compost tea. All compost teas except for oriental medicinal herbs and rice straw compost tea contained more ${NO^-}_3-N$ than ${NH^+}_4-N$. Plate counts of bacteria and fungi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itial compost in ACT. Microbial communities of all ACT were predominantly bacteria. The dominant bacterial genera were analyzed as Bacillus (63.0%), Ochrobactrum (13.0%), Spingomonas (6.0%) and uncultured bacterium (4.0%) by 16S rDNA analysis. The effect of four concentrations, 0.1%, 0.2%, 0.4% and 0.8% MOVR on the growth of red leaf lettuce, soybean and sweet corn was also studied in the greenhouse. The red leaf lettuce with 0.4% MOVR had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on growth parameters in foliage part. However, 0.8% MOVR significantly promoted the growth of root and shoot of both soybean and sweet corn. The soybean treated with higher MOVR concentration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root nodule formation by 7.25 times than in the lower MOVR concentrations Results indicated that ACT could be used as liquid nutrient fertilizer with active microorganisms for culture of variable crops under organic farming condition.

차밭에 설치된 차광망의 동해경감 효과 (Effect of Shade Net on Reduction of Freezing Damage at a Tea Garden)

  • 황정규;김용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6-154
    • /
    • 2014
  • 월동기간 동안의 차나무에 대한 차광망 색상과 차광율에 따른 동해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차광율 변화에 대한 효과는 차광율이 높아질수록 차나무생육이 불량하고 동해 피해율이 높았으며, 무처리구 대비 55% 차광율에서 신초 및 생엽수확량이 좋게 나타났다. 차광망 색상별로 보면, 투명망(차광망 55% 수준) 처리구와 녹색 차광망 처리구가 무처리구와 검정 차광망 처리구에 비해 생엽수확량과 피해면적이 감소하였다. 투명망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동해 피해율이 50%이상 감소하고, 생엽수확량은 무처리구보다 투명망 처리구에서 단위면적당(10a) 68kg 더 많았다. 차광망의 색상별 동해경감은 검정<녹색<투명 색상 순으로 동해 경감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처리구간의 미기상변화를 보면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평균기온은 $0.7^{\circ}C$ 낮았으며, 평균상대습도는 14.9% 높게 관측되었고, 지중온도는 $0.6^{\circ}C$ 낮은 반면에 토양수분은 4.6% 높게 관측 되었다. 또한 차광망 피복물 설치에 의한 평균풍속은 무처리구 대비 0.7m/s 감소하여, 바람에 의한 과잉 증발산과 토양의 건조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었으며, 동해경감의 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녹차잎, 뽕잎, 마테잎 추출물이 S. mutans에 미치는 항균효과 (Anti-bacteria effect of green tea, mulberry, and mate leaves extracts on S. mutans)

  • 김성숙;원지혜;이고은;이루리;이선미;이진희;강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347-353
    • /
    • 2017
  • 본 연구는 일상에서 흔히 차로 음용되고 있는 녹차잎, 마테잎, 뽕잎이 치아우식원인균으로 알려진 S. mutans에 미치는 항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S. mutans를 추출물이 첨가된 배지에 1%씩 접종하고 $37^{\circ}C$에서 6시간과 10시간동안 배양한 후 흡광도 및 세균 집락수를 측정하였다. 녹차잎, 마테잎, 추출물은 0, 0.5, 1.0, 2.0, 4.0%의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였다. S. mutans의 성장억제효과를 확인한 결과, 농도가 높을수록 colony의 수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2% 추출물을 첨가하고 10시간 후 세균 집락수를 측정하였을 때 녹차잎은 99.0%, 뽕잎은 97.1%, 마테잎에서는 89.6%의 높은 성장억제율을 나타내었다.

한국(韓國) 자생차(自生茶)의 생육지 토양과 엽중 무기성분 함량 (Studies on Growth Enviromental and Inorganic Components of Korean Native Tea Plants(Camellia sinensis O. kuntze))

  • 박장현;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2
    • /
    • 1998
  • 한국 자생차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15개 지역에서 시료를 채취해 차나무 생장환경 및 차엽의 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차 자생지역의 토양 pH는 4.22~6.15, 유기물 함략 23.9~72.6g/kg, 유효인산 300mg/kg 이하, K 0.8~2.5, Na 0.02~0.17, Ca 1.0~6.2, Mg $0.4{\sim}2.1cmol^+/kg$였고, Fe와 Mn은 수십~수mg/kg, 중금속인 Ni, Cr, Zn, Cu. Pb, Cd는 수 mg/kg이었다. 그리고 대부분 지역의 토양이 사양토나 양토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자생차 대부분이 죽림이나 수림하에서 자생하고 있었고, 엽의 크기는 $6.85{\pm}1.75{\times}2.6{\pm}0.5cm$이고, 측맥수는 $14.2{\pm}2.7$개, 거치수 $58.5{\pm}11.2$개였으며, 염색은 담녹색~농녹색이었다. 다엽에서 $NH_4{^+}$, $Na^+$, $K^+$, $Mg^{2+}$, $Ca^{2+}$ 함량은 30.5~47.7mg/kg, 45.5~164.5mg/kg, 16,998~25.431mg/kg, 1,590~2.392mg/kg, 1,085~1,958mg/kg범위였고, $F^-$, $Cl^-$, $NO_3{^-}$, $PO_4{^{3-}}$, $SO_4{^{2-}}$는 21.2~63.2mg/kg, 126.4~257.7mg/kg, 108.5~185.9mg/kg, 1,445~1,819mg/kg, 954~1,670mg/kg 범위였다. 순천 창천리, 화순 쌍봉사, 보성 대원사 및 남해 보리 암에서 자생하는 차나무는 장원산업에서 재배되는 차나무 종인 yabukita 만큼 대엽이였다.

  • PDF

녹차생엽의 자숙 및 튀김에 의한 화학성분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Green Tea Leaves during Blanching and Frying)

  • 김성수;이미경;한억;오상룡;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29-233
    • /
    • 1990
  •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green tea leaves at different cooking conditions-blanching and frying-were surveyed as a method of utilizing low graded green tea leaves which missed appropriate plucking tim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tein content during cooking. But contents of chlorophyll, tannin, vitamin C and caffeine were decreased during cooking, contents of chlorophyll and caffeine showed a greater decrease in frying than blanching. Content of total amino acid of green tea leaf was 15.8% and blanching showed bigger diminution of its content in comparision with frying during cooking.

  • PDF

Effect of Natural Extracts on Oral Care Probiotics Weissella cibaria CMU and Periodontal Pathogens

  • Yeu, Ji-Eun;Kim, Hyun-Jin;Kang, Mi-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3권4호
    • /
    • pp.193-20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f natural extracts could be used as an additive in oral health food made with Weissella cibaria CMU (oraCMU). Natural extracts of green tea, mulberry leaf, licorice, and propolis, which are reported to have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selected and used in this study.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of extracts on periodontal pathogens such as Fusobacterium nucleatum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their synergy effects with oraCMU by the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ethods were measured. From the results obtained, all the extracts showed no effect on the growth of oraCMU. Green tea extract showed the best antibacterial activity with MIC of 1.8 mg/ml against both F. nucleatum and P. gingivalis. In addition, green tea extract had a synergistic effect with oraCMU against F. nucleatum.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reen tea extract is available as an additive in oral health food made with oraCMU.

고려인삼엽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 조성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Leaf Tea)

  • 장현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3-71
    • /
    • 2005
  • 인삼의 생산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인삼엽을 건강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인삼엽차를 건조법(DRT), 숙성법(AGT), 열처리법(HPT)등 3가지 방법으로 제조하고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삼엽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일반성분 함량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조지방, 환원당 함량은 HPT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함량은 DRT가 6.07%로 가장 많았으며 sucrose, fructose, glucose순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serine 이 309.6∼336.6 mg%로 가장 높았으며 valine, leucine, isoleucine, aspartic acid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DRT에 비하여 ACT, HPT에서 감소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Ca 가 2,115 mg%로 가장 많았고 K, Mg, P, Na, Mn, Fe, Zn, Cu 순으로 제조방법 사이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찻물의 무기질 함량을 좌우하는 침출율은 HPT가 가장 우수하였다. 특히 Zn, Mn, Mg등은 면역체계를 유지하며 체내 유해 활성산소의 제거에 관여하는 무기질로서 이들 함량이 높다는 점은 인삼엽차의 우수성의 하나로 평가된다. 인삼엽차의 총 비타민 C 함량은 HPT가 424.4 mg%로 가장 많았으며 침출율도 가장 높았다. 지방산 조성은 제조방법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palmitic acid가 가장 높았고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순이었다. 한편 인삼엽차의 색도는 DRT에 비해 AGT, HPT 에서 L값이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여 갈색 물질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인삼엽차의 제조방법은 열처리법(HPT)에서 가장 우수한 품질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한다.

조직배양(組織培養)에 의(依)한 국산다(國産茶)(다수(茶樹))의 증식(増殖)에 관(關)한 연구(研究) (Studies on the Propagation of Korean Tea-plant by Tissue Culture)

  • 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5권1호
    • /
    • pp.25-31
    • /
    • 1986
  • 다(茶)나무의 증산(增産)으로 우리나라의 다문화(茶文化)와 다산업발전(茶産業發展)에 기여(寄與)할 목적(目的)으로 다(茶)나무의 약(葯)과 잎, 줄기 등(等)을 각(各) 기관별(器管別)로 나누어 조직배양(組織培養)을 실시(實施)하였다. 배양재료중(培養材料中) 약(葯)은 대개(大槪) 4분자기(分子期)에서 소포자기(小胞子期)의 것을 사용(使用)하였으며 배지(培地)는 modified Murashige and Skoog의 배지(培地)를 기본배지(基本培地)로 하여 여기에 NAA 와 2,4-D, Y.E., Kinetin 등(等)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을 농도별(濃度別)로 사용(使用)하였으며 재료(材料)의 취급(取扱)은 상법(常法)에 따라 멸균작업(滅菌作業)과 microtoming, paraffine method 등(等)에 의(依)해 소포자(小胞子)의 변화상태(變化狀態)와 조직학적(組織學的)인 관찰(觀察)을 하였고, 잎과 줄기, 뿌리 등(等)은 각각(各各) 절편(切片)을 만들어 약(葯)과 동일(同一)한 방법(方法)으로 멸균작업(滅菌作業)하여 modified Murashige and Skoog의 기본배지(基本培地)에 접종(接種)하여 여기에서 발생(發生)되는 callus와 뿌리의 발생상태(發生狀態)를 조사관찰(調査觀察)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약(葯)에서는 접종(接種)한 100개중(個中) $M_2$ 배지(培地)에서 2n callus인 체세포성(體細胞性) callus가 30%로서 제일(第一) 많이 발생(發生)되었다. 2) 뿌리의 발생(發生)은 잎에서는 접종(接種)한 잎 전체(全體)의 절편중(切片中)에서 1.7 본(本) (29.5%)이 발생(發生)되었으며, 줄기에서는 6.8 본(本)(50.2%) 뿌리에서는 2.5 본(本)(44.0 %)으로서 줄기에서 제일(第一) 많이 발생(發生)되었다. 3) 줄기의 분화상태(分化狀態)를 절간별(節間別)로 보면 4 절간중(節間中) 제이절간(第二節間)이 0.61 본(本)(8.8%)으로서 제일(第一) 많이 발생(發生)되었다. 4) callus의 발생경향(發生傾向)을 보면 약(葯)에서는 약벽(葯壁)에서, 잎에서는 엽맥(葉脈)에서 기원(起源)된 것이 제일(第一) 많았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다(茶)나무의 유묘(幼苗)는 제삼절(第三節)의 줄기로서 조직배양(組織培養)함으로써 더 많은 증식(增殖)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생산비(生産費)에 대(對)한 노력(努力)과 경비(經費)도 절감(節減)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思料)된다.

  • PDF

Development of a natural plant-nutrient from wasted tea leaves and stems

  • Kim, Jong-Cheol;Kim, Ru-Mi;Cho, Kyoung-Hwan;Kim, Yong-Duck;Hwang, Jung-Gyu;Han, Jae-Yoon;Lee, Jong-Gug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17-20
    • /
    • 2011
  • Plant biomass is a huge carbon-complex that has potential as a nutrient. Therefore we extracted and separated useful materials for plant growth from tea leaf and stem. The pre-treatment process including high temperature ($200^{\circ}C$) and pressure (20-40 kgf/$cm^2$) was treated for several minutes and extracted at $120^{\circ}C$ for 30-60 minutes. After that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ingredients were analyzed from that plant-nutrient. As a result of mineral contents, calcium and magnesium concentrations are higher than other minerals. Also the result of carbohydrates analyses has shown that the sugar oligomer consists of xylose(95.3%) and glucose(4.7%), and the sugar monomer consists in the order of xylose (52.7%) > manose (22.8%) > arabinose (10.8%) > galactose (10.2%) > glucose (3.5%). Before applied to field, in vitro plant growth system and formulation were exami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nutrients, both strawberry green-house and persimmon fields were used in this test. The treated persimmons were heavier than controls scored at 13-22%. In addition, the storage-period was extended in the treated strawberries. Interestingly in the treated strawberry, the contents of polyphenols were increased (38-57%).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lant-nutrient can afford to help for plant growth and storage, and it can be substituted for other commercial nutrients. In conclusion, this plant-nutrient may help to extend eco-friendly or organic farming in Hadong-gun area.

국내 시판 잎차 형태 녹차의 이화학 특성 및 산화방지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oose-leaf Green Tea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 이란숙;김상희;박종대;김영붕;김영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19-424
    • /
    • 2015
  • 제주, 보성, 하동산 차엽의 우전, 세작, 중작 및 대작 상품명을 쓰고 있는 시판 잎 녹차의 색은 녹차 등급이 높을수록 즉 채엽시기가 빠를수록 L값과 녹색도인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산 녹차가 보성 및 하동산 녹차에 비해 L값과 b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테킨 분석 결과 EGC 함량은 차엽 산지에 관계없이 채엽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카테킨, GCg, ECg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카테킨류 중 EGCg 함량이 95.39-116.25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보성산 녹차가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카페인, 테오브로민 및 테아닌 함량은 모든 차엽에서 채엽시기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제주산 우전의 카페인, 테오브로민 및 테아닌 함량은 각각 33.43, 17.84, 20.84 mg/g으로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산화방지 활성은 측정방법에 상관없이 등급이 높은 우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 및 하동산 녹차의 경우 채엽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보성산 녹차는 채엽시기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녹차의 주요 산화방지 성분인 개별 카테킨 함량과 산화방지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DPPH 활성은 EGCg, ECg 및 총카테킨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BTS 활성은 EGC 함량과는 음의 상관관계 그리고 카테킨, GCg 및 ECg 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