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shape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산 족도리풀속(Asarum)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에 의한 분류 (Taxonomy of Korean Asarum (Aristolochiaceae)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 임효선;오병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4-354
    • /
    • 2019
  • 한국산 족도리풀속(Asarum L.) 7종의 44개 질적형질 및 28개 양적형질을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였다. 질적형질 중, 27개 형질은 본 속의 모든 종에서 나타나는 공통형질이었으며, 28개 양적형질 중 단일형질은 인편엽의 수(2-4장), 잎의 수(2장), 악편의 수(3장), 수술의 수(12개) 및 암술의 수(6개) 등 5개였다. 잎 표면의 흰색 얼룩무늬는 개족도리풀과 무늬족도리풀을 다른 종들과 구분하는 유용한 형질이었으며, 금오족도리풀과 털족도리풀의 잎 이면에는 긴 연모가 다수 분포함으로써 짧은 털이 분포하는 다른 종들과 차별화되었다. 악통 내부 표면의 선모는 종에 따라 자루가 없는 선모(개족도리풀, 족도리풀, 자주족도리풀)와 자루가 있는 선모(금오족도리풀, 무늬족도리풀, 털족도리풀, 각시족도리풀)의 2가지 유형이 구분됨으로써 이들의 유연관계를 잘 반영해 주었다. 악편의 길이, 형태, 색 및 반곡 정도, 악통 입구(통인)의 직경 및 색 또한 유용한 분류형질로 확인되었다. 악편 표면에 발달하는 선모의 밀도는 드물게 분포하는 금오족도리풀과 밀생하는 자주족도리풀을, 중간 정도의 밀도를 보이는 다른 종들과 뚜렷하게 구분시켜주었다. 한편, 금오족도리풀의 화주돌기 길이는 나머지 종들의 그것과 뚜렷하게 차이가 났다. 연변족도리풀과 녹연변족도리풀의 실체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요구된다.

Puccinia carthami에 의한 잇꽃 녹병 (Rust of safflower (Carthamus thinctorius) caused by Puccinia carthammi)

  • 박경석;이순구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28-130
    • /
    • 2003
  • 잇꽃 녹병이 2001년 경상북도 의성군 일대의 dltRHc 재배농가에서 발생하였다. 조사지역의 발병엽율은 약 15%이었다. 병징은 잎에 흑갈색의 반점이 생기며 주변이 변색하였고 적갈색의 포자가 많이 형성되었다. 여름포자는 구형 또는 난형을 담갈색이며 크기는 21~23 x 21~25${\mu}m$ 이다. 겨울포자는 난형을 hghkdrkftor 내지 밤색이며 크기는 35~40 ${\mu}m$ 27~33${\mu}m$이며 격막에 의해 나누어진 두 개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자루부분은 무색으로 투명하며 길이는 15~30${\mu}m$ 이었다. 병징과 균학적 특성을 검정한 sruf과 이병을 Puccinia carthami에 의한 잇꽃 녹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자생지별 금강초롱꽃의 외부형태 및 수리분류 (External Morphology and Numerical Taxonomy of Hanabusaya asiatica Populations in Different Habitats)

  • 유기억;이우철;류승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0-88
    • /
    • 2000
  • 금강초롱꽃 자생지 6지역(오대산, 향로봉, 대암산, 화악산, 점봉산, 설악산)에 대한 형태적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외부형태, 주성분분석과 유집분석 등 수리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부형태형질 중 자생지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형질은 없었으며 형질의 연속성이 인정되었다. 조사된 6개 자생지의 71개체와 outgroup으로 사용한 검산초롱꽃 7개체, 총78개체 중 향로봉과 설악산 정상부에서 자라는 일부 개체들은 잎, 포엽의 형태 등 에서 다소 차이를 보여 구별이 가능하였다. Outgroup으로 사용된 검산초롱꽃은 꽃받침의 형태가 넓은 난형 으로 선형 또는 선상피침형인 금강초롱꽃과 구별되었으며 나머지 형질들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17가지의 양적 형질을 이용한 주성분분석 결과 주성분1(22.3%), 주성분2(15.7%), 주성분3(12.0%)이 총 50.07%의 기여율을 보였으며, 주성분 1과 2를 이차원공간에 도시한 결과 6개 자생지 집단은 서로 중복되어 나타나 구별이 불가능하였다. 평균연결방법과 Ward's법 에 의한 유집분석 결과도 주성분분석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여 유집이 불가능하였다.

  • PDF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정자의 미세구조 (Sperm Ultrastructure of Bombina orientalis)

  • 이정훈;권중균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4호
    • /
    • pp.42-54
    • /
    • 2005
  • 본 연구는 무당개구리과 (Discoglossidae)의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정자의 형태적 특징을 광학현미경과 주사 및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정자두부는 전 후방의 끝이 뾰족하고 다소 유연성을 갖는 초생달 혹은 버들 잎 모양의 특이한 구조를 취하고 있었다. 핵은 전 후방이 가늘고, 중앙 부분은 굵은 원뿔형이었다. 염색질은 완전하게 농축되어 있지 않고, 마치 널빤지를 겹쳐 놓은 듯한 지붕모양과 같은 형태로 불규칙하게 배열되어져 있었다. 핵 내에는 불규칙한 형태의 nuclear lacunae들이 흩어져 있었다. 정자경부와 중편부는 발달 되어 있지 않았다. 편모는 9+2 구조의 axoneme, axial rod 그리고 undulating membrane을 가지고 있었다. 미토콘드리아들은 핵의 상단부를 둘러싸고 있는 protoplasmic bead내에만 국한되어 존재하고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핵의 전방부에서 중앙 부위로 주행하는 nuclear rod는 섬유성 다발로 구성되었으며, 마치 사람의 속눈썹 모양과 같은 형태를 취하며, 핵의 2/3까지 뻗쳐져 있었다.

명당장부도(明堂臟腑圖)에서 기원한 간장도(肝臟圖) 29종의 비교 (Comparison of 29 Diagrams of Liver originated from Mingtangzangfutu(明堂臟腑圖))

  • 조학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1-54
    • /
    • 2016
  • Objectives :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what affected diagrams of liver originated from Mingtangzangfutu while they were changed. Methods : Diagrams of liver in Traditional Chinese and Japanese medical books had been gathered as many as possible. After they were divided into ones which were originated from Mingtangzangfutu and the others, diagrams originated from Mingtangzangfutu, were again classified into 4 filiations according to Huang Longxiang(黃龍祥)'s standard. Apart from his classification, they were analysed by 4 form factors, e.g. shape, number, veins and petiole of leafs. Results : Reliability of this methods had been confirmed by the correspondence with Huang's 14 standard books, before 29 diagrams of liver were derived from 33 books including 13 books that Huang had already suggested. The lobes of liver in most of diagrams resembled 7 lanceolate or long oval leafs, or a maple leaf with 6 indentations, 4 left lobes and right 3 ones. In most of diagrams, veins of leafs were described variously, and petioles of leafs were drawn more shortly or longer. Analysing 29 diagrams by 4 form factors proved that Huang's classification had crossing features among 4 filiations. This phenomenon implied the painters or doctors drawing diagrams might not convince if the shape of liver was correct or not. Although veins and petiole of leafs in diagrams of liver could be compared with tissues in liver in modern human anatomy, diagrams were not been affected by dissection from Yuan(元) to middle Qing(淸) dynasty. Conclusions : Lingshu(靈樞), Nanjing(難經) and Wang Bing would had constantly acted on 29 diagrams of liver, since diagram of liver originated from Mingtangzangfutu, appeared first in Zhenjiujuying(鍼灸聚英). But they did not come from dissection during same periods.

딸기 역병균 Phytophthora nicotianae var. nicotianae의 균학적 특성 및 딸기 품종간 저항성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hthora nicotianae var. nicotianae Causing Phytophthora Rot of Strawberry and Resistance of Strawberry Cultivars to the Pathogen)

  • 송주희;노성환;박현철;문병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46-650
    • /
    • 1998
  •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hthora nicotianae var. nicotianae SPC10 (A1 type) causing Phytophthora rot of strawberry and the resistances of 11 strawberry cultivars against the pathogen were examined.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ycelial growth of the pathogen was obtained in the range of 30~35$^{\circ}C$, and the growth was completely stopped under 13$^{\circ}C$ or over 42$^{\circ}C$. Aerial mycelia were abundant on oatmeal agar (OMA), V-8 juice agar (V8A) and lima bean agar (LBA) medium, although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however, on cornmeal agar (CMA) medium, it was a shape of stellate without aerial mycelia. The colony shape on potato dextrose agar (PDA) medium was rough and irregular whereas the mycelial growth was slow, and some aerial mycelia were only produced in the middle of PDA medium. Optimum temperature for sporangial formation was 3$0^{\circ}C$, and zoospores were mostly released at $25^{\circ}C$ from the sporangia. Sporangia were more produced in C/Z solution with pH 5. 0~6.$0^{\circ}C$ than sterilized distilled water (DSW) and distilled water (DW), and zoospores were also released much more than other solutions. Eleven strawberry cultivars such as Reiko, Hokowase, Eyeberry, Akaneko, Sistakara, Toyonoka, Nyoho, Sulhong, Suhong, Myhong and Wonkyo #3104 revealed the disease incidence up to 88.9~100% by the leaf inoculation with mycelial disk. However, Nyoho and Suhong showed higher level of resistance against the pathogen by root inoculation.

  • PDF

한국산 사초과(Cyperaceae) 식물의 규소체(Silica body) 형태에 의한 분류 (Morphology of Silica bodies on Cyperaceae in Korea)

  • 오용자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3-335
    • /
    • 2005
  • 식물규소체는 토양과 물에 용해된 규소가 이산화규소($SiO_2$)의 형태로 식물체내의 여러 기관 또는 표피세포에 축적되면서 형성되어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식물의 규소체에 관한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사초과 (Cyperaceae) 식물 13속 228종 중, 12속 136종의 잎의 표피형에서 밝힌 규소체의 형태를 검토하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사초과 식물은 규소체의 모양에 따라 2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제 1 그룹은 원추형(conical body)의 규소체를 나타내고, 골풀아재비속(Rhynchospora), 검정방동산이속(Fuirena), 너도고랭이속(Scleria), 사초속(Carex)과 황새풀속(Eriophorum)이 이에 속한다. 제 2 그룹은 규소체의 모양이 원추형을 중심으로 많은 위성형을 보이며, 방동산이속(Cyperus), 올챙이골속(Scirpus), 바늘골속(Eleocharis), 하늘지기속(Fimbristylis), 파대가리속(Kyllinga), 모기골속(Bulbostylis)과 세대가리속(Lipocarpha.)이 속한다.

한국(울릉도)의 1신종: 울릉바늘꽃 (A new species of Epilobium (Onagraceae) from Ulleungdo Island, Korea, Epilobium ulleungensis)

  • 정재민;신재권;선은미;김회원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0-105
    • /
    • 2017
  • 경상북도 울릉군에서 바늘꽃과 바늘꽃속의 신종인 울릉바늘꽃(Epilobium ulleungensis J. M. Chung)을 발견하여 기재 및 도해하였다. 울릉도에 분포하는 바늘꽃속 4분류군(바늘꽃, E. pyrricholophum; 돌바늘꽃, E. amurense subsp. cephalostigma; 큰바늘꽃, E. hirsutum; 울릉바늘꽃, E. ulleungensis)중에서 울릉바늘꽃의 주두는 4각형으로서 곤봉형인 바늘꽃 또는 두상형인 돌바늘꽃과 4개로 깊게 갈라지는 큰바늘꽃의 중간 형태를 보이고 있다. 중요하게도, 울릉바늘꽃은 200 cm 이상의 큰 키와 비스듬히 누운 줄기, 잎의 형태, 식물체 전체의 짧은 밀모, 그리고 꽃의 크기와 진분홍색 또는 붉은 자주색의 꽃 색은 울릉도에 분포하는 다른 3분류군과 명확하게 구별된다. 주두의 형태와 다른 분류학적 형질들에 의해 울릉바늘꽃은 큰바늘꽃과 바늘꽃 또는 돌바늘꽃과의 잡종으로 추정되었다. 신종의 자생지가 울릉도인 점을 고려하여 'ulleungensis'이라 신칭하였다.

Effects of Prohexadione-Ca, Ethephon, and Water Stress on Growth and Productivity of 'Golden Delicious'/M.9 Apple

  • Guak, Sunghe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1호
    • /
    • pp.38-49
    • /
    • 2013
  • Prohexadione-calcium (Pro-Ca), ethephon and transient water stress were evaluated in a factorial design, as potential inhibitors of early-season shoot growth of high density orchard management of apple (Malus domestica Borkh.) trees. In the experiment, water stress was imposed to one-half of the 7-year-old 'Golden Delicious'/M.9 apple trees in each of 5 blocks, by stopping irrigation for 3 weeks between 35 and 56 days after full bloom (AFB). Within each whole unit, the following Pro-Ca and ethephon treatments were randomly allocated at $2{\times}2$ factorial: a) 0 or 250 $mg{\cdot}L^{-1}$ a.i. Pro-Ca applied at 28 days AFB and b) 0 or 300 $mg{\cdot}L^{-1}$ a.i. ethephon applied twice (35 and 71 days AFB). All trees were hand thinned to king flowers prior to treatments. Vegetative shoot growth was markedly reduced by Pro-Ca, with its effect being obvious within 14 days after application, while ethephon and water stress treatments were less effective. Pro-Ca had no effect on fruit set and yield but slightly increased fruit size. Ethephon substantially reduced the fruit size and yield but had no effect on fruit set. Water stress reduced fruit set, fruit size and yield. With regard to fruit quality, Pro-Ca did not influence fruit shape, flesh firmness and soluble solids contents (SSC) but slightly reduced titratable acidity. Ethephon had no effect on fruit shape but increased firmness, SSC and acidity, while water stress did not influence these fruit quality attributes. Dry weight of dormant spur buds was reduced by both Pro-Ca and water stress, while increased by ethephon. The larger dormant buds led to the larger spur flowers at the tight cluster stage the following spring. Return flowering was promoted only by ethephon, especially on previous season's shoots.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Pro-Ca and ethephon or water stress on most variables observed in this study.

한국산 미기록 식물: 주걱비름 (돌나물과)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n flora: Sedum tosaense Makino (Crassulaceae))

  • 송관필;송국만;현화자;김찬수;김문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9-364
    • /
    • 2004
  • 제주도 산굼부리 분화구내에 생육하는 돌나물과(Crassulaceae)에 속하는 주걱비름(Sedum tosaense)을 채집하여 국내 미기록 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말똥비름(S. bulbiferum)과 땅채송화(S. orizifolium)와 유사하지만 말똥비름은 포복경을 내지 않는 1년생 또는 2년생 초본이고, 잎은 거치가 없으나 엽신 윗부분이 다소 불규칙하며, 원두 또는 둔두이고, 엽액에 주아를 만드는데 비해서 본 종은 포복경을 갖는 다년생 초본이며, 잎은 거치가 없고 요두이며, 엽액에서 주아를 만들지 않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땅채송화는 모든 잎은 원주상 또는 다소 편평한 선형에서 좁은 장타원형인데 비해서 이 종은 잎이 뚜렷하게 편평하고, 꽃이 피지 않는 줄기의 잎은 주걱형이라는 점에서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