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length and breadth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목본식물의 엽순에 따른 잎의 생장과 이형성 (Growth and heteromorphism of Leaves along Leaf Rank (Plastochron) of Woody Plants)

  • 민병말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1호
    • /
    • pp.63-72
    • /
    • 1995
  • 온대지방의 수 종 목본식물에서 생육초기 동일 줄기로보터 동시 개엽하는 잎들의 생장과 크기 및 형태의 차이를 조사하고 이를 나타내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조사된 12종에서 조사기간 중에 동일 줄기로부터개엽한 총엽수는 3~7개이며, 이중 동시 개엽한 엽수는 2~6개이었다. 동시 개엽한 잎의 엽면적 생장은 조사시기의 마지막인 6월 10일에 거의 완료되었지만 잎의 무게는 계속 증가하였다. 그리고 동시 개엽한 잎들의 비엽면적의 최대치는 유사한 시기에 나타났다. 굴참나무를 제외한 11종에서 엽순에 따라 엽신의 길이와 폭의 차이에 유의성이 있었고, 진달래를 제외한 10종에서 전후엽 사이에서 0.1% 혹은 5%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가 존재하였다. 엽순에 따른 잎의 이형성지수는 엽신의 길이와 폭으로부터 산출한 값인 엽신의 $길이{\times}폭$과 길이/폭에서 각각 평균 편차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이 결과 잎의 이형성 지수는 12종 중 개서나무, 쪽동백나무, 느릅나무, 짝짜래나무 및 노린재나무 등이 큰 것으로, 팥배나무와 피나무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실제 잎의 형태적 차이를 유사하게 표현하였다. 그리고 잎의 이형성 지수는 그 종의 생장형태나 잎의 다른 특징과 관계가 없었고, 환경에 대한 적응의 한 형태로 사료되었다.

  • PDF

대기오염으로 산상화된 공업단지 주변 토양의 개량 (Amelioration of Soil Acidified by Air Pollutant around the Industrial Complexes)

  • 이창석;김진영;유영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3호
    • /
    • pp.313-320
    • /
    • 1998
  • Ameliorating effects of dolomite and sludge on the polluted soil sampled from Ulsan and yeocheon Industrial Complexes were investigated. Ameliorating effects were analysed by changes of soil properties and plant growth after treatment of dolomite and sludge. Soi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analysing organic matter, N, P, K, Ca and Mg contents and pH. Growth of sample plants was investigated by leaf area calculated from length and breadth of leaves and by biomass from diameter and height of sample plants. Quercus serrata and Celtis sinensis selected as tolerant plants in field survey were used as experimental plants. Treatment with dolomite showed ameliorating effects by increassing n, Ca, and Mg com\ntents, and pH of soil and by decreasing Al content. Treatment of sludge showed similar effects by increasing N, Ca, Mg and organic matter contents, and by decreasing A1 content. But treatment of sludge did not show any effect on pH. Both soil ameliorators showed accelerating effects on the growth of experimental plants in Ulsan soil. But those effects in Yeocheon soil were somewhat different. Treatment of sludge showed accelerating effects of the growth of both sample plants but dolomitic liming did not so. From those results, we confirmed availability of sludge, a kind of industrial waste, as one of ameliorators of the polluted soil. In addition, we recognized that soil properties had to be considered to select soil ameliorators suitable for restoration of degraded ecosystems.

  • PDF

Leaf Blight of Ailanthus altissiman Caused by Phytophthora boehmeriae

  • Kim, Jeom-Soon;Kim, Byung-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106-109
    • /
    • 2004
  • A leaf blight disease was found on Ailanthus altissiman growing in the Manchon Mountain Park in Daegu city. When isolated, the causal fungus readily formed sex organs, being homothallic. Oogonia were spherical, 19.5-42.9 ${\mu}{\textrm}{m}$ in diameter with an average of 29.4$\pm$4.2 ${\mu}{\textrm}{m}$. Antheridia were amphigynous, round to ovoid, and measured 11.3-15.0 ${\mu}{\textrm}{m}$ long and 12.5-14.5 ${\mu}{\textrm}{m}$ wide. Oospores in the oogonia were spherical, 26.1-29.0 ${\mu}{\textrm}{m}$ in diameter. Sporangia that formed in water were spherical to sub-spherical with a conspicuous papilla and measured 19.5-56.6 ${\times}$ 15.6-44.9 ${\mu}{\textrm}{m}$ with an average of 44.0$\pm$8.7${\times}$32.7$\pm$6.3 ${\mu}{\textrm}{m}$. The mean length/breadth (I/b) ratio was 1.35. Papillae were 3.9-11.7 ${\mu}{\textrm}{m}$l high and 3.9-9.8 ${\mu}{\textrm}{m}$ wide. Sporangia formed slowly on V8 juice agar medium when cultured under fluorescent light at 12-hour alternation. The sporangia that formed on the agar medium were more spherical and measured 26.5-39.0${\times}$23.4-35.1 ${\mu}{\textrm}{m}$ with an average of 33.6$\pm$3.4${\times}$28.2$\pm$3.2 ${\mu}{\textrm}{m}$ and I/b ratio of 1.19. Disease symptom was repro-duced by artificial inoculation of the healthy plants with the isolate. The causal organism was identified as Phyto-phthora boehmeriae on the basis of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방글라데시 경사지 산림토양의 경제적 이용을 위한 생강 재배기술 개발 (Ginger Cultivation Under Multipurpose Tree Species in the Hill Forest)

  • Aslam Ali, M.;Jamaluddin, M.;Mujibur Rahman, G.M.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8-221
    • /
    • 2005
  • 본 연구는 임산자원과 유실 수자원이 복합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방글라데시 Chittagong 지역 경사지 산림토양에서 경제작물인 생강의 재배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생강의 적정 재식거리를 산정하기위해 총 4개 처리구를 다음과 같이 설치하였다. T1: 100% 채광이 가능한 나대지 (open field), T2: Gamar tree (꾸지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90{\times}90cm$로 생강재배, T3: Guava tree (구아바 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180{\times}180cm$로 생강을 재배하였다. 각 처리구는 3반복으로 난괴법에의해 임의배치되었다. 생강의 외관적 생육특성을 비교구 T1과 비교 할 때 Gamar 나무와 Guava 나무하에서 재배된 T2와 T3 처리구에서 양호하였다. 생강뿌리 무게는 수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성립하였다. Guava 나무가 재배되고 비교적 재식거리가 크고 ($180{\times}180cm$) 부분적으로 그늘이 형성된 T3 처리구에서 생강수량은 $23.63Mg\;ha^{-1}$로 가장 많았으며, Gamar 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90{\times}90cm$으로 밀식 재배되어 채광이 차단된 조건에서 재배된 T2 처리구의 생강수량은 $15.64Mg\;ha^{-1}$로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생강은 100% 채광조건이나 채광이 완전히 차단된 조건보다는 부분적 차광이 가능한 수종 하에서 재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