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emergence rate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 of Early Seeding on Seedling Establishment and Yield in Direct Dry Seeding Rice at Honam Plain Area of Korea

  • Kim, Sang-Su;Back, Nam-Hyun;Chot, Min-Gyu;Choi, Weon-Young;Park, Hong-Kyu;Kim, Bo-Kyeong;Shin, Hyun-Tak;Cho, Soo-Ye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6-242
    • /
    • 1999
  • To examine the seedling stand and growth as affected by early seeding dates of dry direct seeded rice in the Honam plain area of Korea, Dongjinbyeo was seeded at six seeding dates from early March to late April in rice fields of silty loam soil(Jeonbuk series) at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HAES) for two years, 1996 and 1998. Seedling stand decreased slightly. with an early seeding date, but it produced more than the optimum seedling number except for the seeding of 25 March in 1996. Days to emergence was significantly longer, as seeding date was earlier, and days to emergence by early seeding was shortened only by 8 days because the mean air temperature was lower in 1996 than average, while in 1998, the reduction effect was nine to twenty five days because the mean air temperature was higher than average. In early seeding, various weeds occurred at the emergence date of rice and dominant weeds were Alopecurus aequailis, Ludwigia prostata and Rorippa islandica. NH$_4$$^{+}$ -N content in the soil at the 5th leaf stage and maximum tillering stage were lower, as the seeding date was earlier when nitrogen was split applied as basal and top dressed in 1996, while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eeding dates when nitrogen was intensively applied as a top dressing in 1998. Tiller number at the maximum tillering stage and panicle number/m$^2$ were more, as seeding date was earlier in 1996, while it was not different in 1998. Filled grain rate and 1,000 grain weight was not different among the seeding dates. Milled rice yiel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eeding before the middle of March, but in the seeding after late March, it was not varied when compared with the normal seeding date in 1996, while in 1998,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seeding dates. From the above results, in consideration of seedling stand, weed occurance, rice growth and milled rice yield, the critical optimum early seeding time in the southern plain area may lie in early April. But it was suggested that when soil moisture is proper for seeding practices, seeding amount is increased and nitrogen is applied after plumule emergence of rice, milled rice yield may not be reduced in the seeding of middle or late March, compared with the seeding in April.l.

  • PDF

벼 담수직파 및 콩 재배시 Methiocarb 종자 분의에 의한 새 피해 경감 효과 (Effect of Methiocarb as a Bird Repellent in Water-Seeding Rice and Soybean Fields)

  • 이철원;정봉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3-377
    • /
    • 1997
  • 벼 담수 직파재배와 콩 포장에서 조류 기피제인 methiocarb 50% WP의 처리에 의한 새 피해 경감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화성벼와 태광콩을 공시하고 약제의 양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험 1> 벼 종자에 대한 methiocarb 처리에 따른 새 피해 경감 효과와 모의 생육 1) 벼 담수 직파재배에서 무처리구는 파종 후 2일에 12%, 3일 후에 37%, 5일 후에 50%의 새 피해가 발생하였으나, 벼 종자 5g 처리구는 4일 후에 35%, 5일 후에 39%의 피해가 있었고, 10, 15g 처리구는 파종 후 6일에 9% 정도이었다. 2) 벼 담수 직파재배에서는 파종 7일 후에는 초엽과 침엽이 출현함으로써 새에 의한 피해가 상당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서 새에 의한 피해방지는 파종 후 7일 이내가 중요하였다. 3) 약제 처리에 대한 벼 종자의 출아율은 종자 kg 당 methiocard 10g 처리구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15g 처리구에서는 유의하게 출아율이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파종 20일 후의 초장과 엽수는 종자 kg당 methiocarb 15g 처리구가 유의하게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실험 2> 콩에 대한 methiocarb 처리에 따른 새 피해 경감 효과 1) 콩 포장에서 새 피해 발생 정도를 경시적으로 조사한 결과 methiocarb 7.5g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콩 포장에 대한 methiocarb 처리에 의한 약해 정도를 경시적으로 조사한 결과 전 처리구에서 약해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염수선 종자 정선법에 따른 조의 발아 및 출현율 (Effects of Specific Gravity on Germination and Emergence of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Beauvois))

  • 정기열;최영대;전현정;이상훈;전승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2호
    • /
    • pp.144-151
    • /
    • 2019
  • 본 연구는 토양환경 조건에 따른 입모율 변화가 높은 조종자의 발아활력 증진과 안정적인 생산을 위하여 염수선(비중) 종자정선을 활용한 우량종자 선발을 통한 발아율, 출현율 및 유모의 소질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1. 비중이 높아질수록 3품종 모두 천립중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비중 $1.040g\;L^{-1}$에서는 가장 무거운 천립중을 조사되었으며, 발아율에서도 비중선 $1.040g\;L^{-1}$에서 '황금' 88.3%, '삼다찰' 86.7%, '경관1호' 90.6%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2. 모 소질을 조사한 결과 비중선이 높을수록 모의 초장, 엽장, 경직경, 근장, 근중 및 경중 등이 증가하였으며, 비중선 $1.040g\;L^{-1}$에서 3품종 모두에서 길거나 무거운 것으로 보였다. 3. 염수선에 의해서 포장 발아활력 검정에서는 출아율 및 출아율지수에서 비중선이 높은 종자일수록 높아졌으며, 비중선 $1.040g\;L^{-1}$에서 가장 높은 85.3, 83.0, 87.0% 출아율이 나타났고, 출아율지수에서도 비중선 $1.040g\;L^{-1}$에서 2.82, 2.86, $2.87d^{-1}\;m^{-1}$ 이상의 높을 지수가 보였다. 4. 조 종자는 발아활력이 높은 종자선별을 위해서는 비중선 $1.040g\;L^{-1}$에서의 종자를 선별하여 파종하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3-(Benzothiazol-2-yl)-1-Methyl Urea 유도체(誘導體)의 합성(合成)과 생리활성(生理活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ynthesis of 3-(Benzothiazol-2-yl)-1-Methyl Urea Derivative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 홍무기;정영호;박영선;오세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3호
    • /
    • pp.227-233
    • /
    • 1987
  • Aniline 유도체(誘導體)로부터 thiocyanation에 의(依)해 2-aminobenzothiazole 유도체(誘導體)를 합성(合成)하였고, 이어서 mothylisocanate의 부가반응(附加反應)에 의(依)하여 3-(benzothiazol-2-yl)-1-methyl urea 유도체(誘導體) 6종(種)을 합성(合成)하여 IR, NMR, GC/MS 등(等)에 의(依)하여 물질(物質)의 구조(構造)를 확인(確認)하였다. 합성(合成)한 화합물(化合物)들의 바랭이, 강아지풀의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와 쇠비름, 명아주의 광엽(廣葉) 잡초(雜草)에 대(對)하여 50g, 200g, 800g a.i/10a로 발아전처리(發芽前處理)를 하여 살초효과(殺草效果)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합성(合成)한 화합물(化合物) 6종(種) 모두 발아전처리제(發芽前處理劑)로서 800g a.i/10a 살포량(撒布量)에서 화본과(禾本科) 또는 광엽(廣葉) 잡초(雜草)에 대(對)하여 살초효과(殺草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화합물(化合物) 번호(番號) ACRI-S-8416, ACRI-S-8411 및 ACRI-S-8413은 800g a.i/10a의 살포량(撒布量)에서 광엽(廣葉) 잡초(雜草)에 효과(效果)가 있었으며 ACRI-S-8412는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에 선택적(選擇的) 살초효과(殺草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화합물(化合物) 번호(番號) ACRI-S-8414 즉(卽), 3- (6-ethylbenzothiazol-2-yl)-1-methyl urea는 6종(種)의 화합물(化合物) 중(中) 가장 강력(强力)한 살초효과(殺草效果)를 나타내었으며 50g a.i/10a의 살포량(撒布量)에서도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에 60%의 선택적(選擇的) 살초효과(殺草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파종량 및 질소시비수준이 봄 연맥의 생육특성 , 사료가치 및 사초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Rates and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on the Agronomic Charicteristics , Nutritive Value and Forage Yield of Spring Oat)

  • 한건준;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66
    • /
    • 1992
  • 본 시험은 봄 연맥(Avena sativa L.)에 대한 파종량및 질소시비수준이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사초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987년 9월부터 11월 까지 약 2개월간에 걸쳐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솔은 파종량이 ha당 120,160 및 200kg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93.4, 71.4 및 70.6%로 낮아졌다(P<0.01) 2. 분벽솔 발생은 파종량의 증가에 대하여 유의적인 감소가인정되어(P<0.05), ha당 파종량 120kg, 질소시비수준 200kg인 구가 3.3개로 가장많았던 반면 파종량이 200dkg으로 높아지면 2.1개로 낮아졌다.3. 엽폭은 파종량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엽폭은 감소하였으며 (P<0.05), 엽신장은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의해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파종량이 낮을수록 엽신장은 약간 증가되는 경향만을 나타내었다. 4. 초장은 질소시비수준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파종량의 증가에 대하서는 유의성을 나타내어(P<0.05), 파종량이 높아질수록 초장은 깅어졌다.5.파종량이 낮고 질소시비량이높은 시험구가 조단백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P<0.05).질소시비효과가 커서 질소시비수준이 ha당 100,150,200kg으로 높아짐에 따라 19.3,20.2,및 21.4%로 조단백질 함량이 높아졌다. ADF와 NDF는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함량의 변화가 없었지만 MDF함량에서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의한 상호작용만이 인정되었다. In vitro 건물소화솔은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만을 나타냈다.6. 파종량이 120,160, 및 200kg/ha로 증가되면 건물수량도 ha당 3,197,3.583 및 3.713kg로 증가되었으나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건물수량 증가는 그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7. 조단백질수량은질소시비수준 증가에 의해서만 고도의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어(P<0.01), 질소시비수준이 ha당 100,150,및 200kg일때 증가되었다.8. In virto 가상화건물수량은 파종량이나 질소시비량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지 않았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청예리용을 위한 봄 연맥의 파종량은 연맥의 가을철 청예로서의 이용적 측면을 고려해 볼 때 ha 200kg 정도로 높여주고 질소시비수준은 ha당 100kg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 PDF

주요작물의 한발저항성에 관한 연구 제1보 맥류 유묘기의 수분부족이 초장, 유묘건물종, 엽침소, 상대팽압도, 단백질 및 환원당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Drought-Resistance of Major Food Crops I. Effect of Water Stress on the Plant Height, Seedling Dry Weight, Relative Turgidity, Protein and Reducing Sugar in Barley and Wheat Seedling Stage)

  • 최원열;민경수;김용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4-310
    • /
    • 1981
  • 맥류의 한발저항성 반응과 정도 그리고 생리학적 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발아 후 10일된 맥류 유묘기(본엽3매시)에 8일간 단수처리하여 초장 유묘건물중 엽녹소 상대팽압도 단백질 환원당의 변화를 조사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품종의 평균 감소율은 초장 14%, 유묘건물중 24%, 엽녹소 31%, 엽상대팽엽도 27%, 단백질 28%였으며 유일하게 환원당만은 대조구에 비하여 단수구가 4배나 증가하였다. 2. 유묘건물중 감소율을 품종별로 보면 호맥이 가장 낮고, 백동, 목포5005, 이조대맥이 가장 높았으며 또한 맥종별로는 호맥<소맥<대맥<라맥<이조대맥의 순이었다. 3. 엽녹소의 감소율이 가장 낮은 품종은 호맥, 청계밀, 을밀이었고 가장 높은 것은 밀양1002, 방사006, 향맥, 사천004였다. 4. 엽상대팽엽도의 감소율이 가장 낮은 품종(22-25%)은 호맥, 청계밀, 동보리 001였고 가장 높은것(30-33%)은 백동과 이조대맥이었다. 맥종별로 보면 호맥<소맥<라맥<대맥ㆍ이조대맥의 순이었다. 5. 단백질의 감소율을 보면 후광, 그루밀, 동보리 001, 목포5005가 가장 낮은 품종(14~17%)들 이었고 이조대맥이(40%) 가장 심하였으며 맥종별로 보면 소맥<호맥ㆍ대맥<근맥<이조대맥의 순이었다. 6. 환원당의 증가비는 호맥과 소맥이 4~5배였고 이맥과 이조대맥이 약 2배 증가되었다. 맥종별 증가를 보면 호맥<소맥<대맥<라맥<이조대맥의 순이었다. 7 한발저항성 과정에서 생리적 대사작용의 관점에서 볼 때 호맥<소맥<대맥<라맥<이조대맥의 순으로 한발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인삼 우수계통 KG101의 생육과 홍삼품질 (Red Ginseng Q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KG101 a Promising Line of Panax Ginseng C.A. Meyer)

  • 권우생;강제용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244-251
    • /
    • 1998
  • KG101 was developed by the Korea Ginseng & Tobacco Research Institute. We reported about yield trials and local adaptability test. Growth characteristics and red ginseng quality of KG101 in local performance tes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erial parts growth, stem and leaf, was similar about KG101 and Jakyungjong, 4-year old and 6-year old ginseng. Emergence rate of KG101 was higher than Jakyungjong in the 3 location of local performance test. Taproot diameter of KG101 was smaller than Jakyungjong and taproot shape of KG101 had fitted characteristics, radish type and human body type, to manufactured red ginseng. Raw ginseng grade, 1st and 2nd of KG101 was higher than Jakyungjong's. Chun, Jeesam ratio to manufacture of 2nd grade of raw ginseng of KG101 was 25%, Jakyungjong was 6-13% in 3 location of local performance test. Distribution of red ginseng weight of Jakyungiong was heavier than KG101 in 2 location, Kongju and Jungup, but KG101 was heavier than Jakyungjong in Ichon. Red ginseng quality of KG101 was better than Jakyungiong. Main degrade factor of red ginseng quality was inside cavity and inside white, was not different lines and location.

  • PDF

삼지구엽초의 근주저장방법에 따른 맹아 및 초기생육 (Effect of Root Preservation of Epimedium koreanum on Bud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 박병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5-168
    • /
    • 1997
  • 1. 맹아의 지상부 출현율은 외관상 눈이 있었던 근경의 경우 노천매장 후 $25^{\circ}C$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 가장 높은 맹아출현율(95%)을 보였으며 외관상 눈이 없었던 근경의 경우에 노천매장 후 $15^{\circ}C$의 생장상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이 75%로 가장 높은 맹아출현율을 나타냈다. 2. 외관상 눈의 유무에 관계없이 노천매장 후 $15^{\circ}C$의 생장상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는 근경당 1개의 맹아가 출아되는 경향이었으며 노천매장 후 $25^{\circ}C$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외관상 눈이 있었던 근경에서 근경당 2개 이상의 맹아가 출아되는 경향이 현저하였다. 3. 외관상 눈의 유무와는 관계없이 층적매장 후 $25^{\circ}C$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 출현한 개체의 초장이 가장 길었으며 외관산 눈이 있었던 근경의 경우에 충적매장 후 $25^{\circ}C$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 출현한 개체가 최대의 엽면적을 나타냈다. 4. 외관상 눈이 있었던 근경의 경우에 노천매장 후 $25^{\circ}C$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 출현한 개체의 뿌리가 가장 길었으며 이들 뿌리에서 새로 생성되어 출아한 신아수는 외관상 눈이 있었던 근경의 경우에는 무처리에서, 눈이 없었던 경우에는 층적매장에서 가장 많은 경향을 보였다.

  • PDF

유색칼라 기내배양묘의 순화재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limatization culture of the tissue cultured seedings in Zantedschia spp.)

  • 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5권1호
    • /
    • pp.20-27
    • /
    • 2003
  • 유색칼라 조직배양묘의 순화재배 용토선발실험에서 초기생육 출엽율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생육 6개월 후의 괴경비대는 모래(50%)+Peatmoss(50%) 처리에서 가장 좋았다. 순화재배 시기별 순화율은 8월 20일 정식에서 64%~70.4%로 가장 저조하였고, 3월 20과 4월 20일은 90%이상의 순화율을 나타냈다. 괴경비대은 3월 20일 정식에서 구중이 가장 무거웠다. 순화 재배시 배양묘의 재식거리 10×10cm에서 괴경중이 가장 양호했다.

논토양에서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재배방법이 인삼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tion Using Plastic-Film House on Yield and Quality of Ginseng in Paddy Field)

  • 김동원;김종엽;유동현;김창수;김희준;박종숙;김정만;최동칠;오남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0-216
    • /
    • 2014
  • The average and maximum temperature were $29.5^{\circ}C$ and $33.2^{\circ}C$ at 2:00 p.m. respectively, in the plastic-film house covered with shade net, and both of temperature were lower $0.6^{\circ}C$ and $1.3^{\circ}C$ than those of conventional shade. Light transmittance was 14% in the plastic-film house, while 9.9% in conventional shade during growing season from May to October. Withering time of aboveground part was on October 3rd in conventional shade with 60% of withering leaf, while it was on November 10th with 3.7% of withering leaf in the plastic-film house, about 40 days longer survival. The main disease incidence were 15% of anthracnose, 17% of leaf spot, 5% of phytophthora blight and 3% of gray mold in the conventional shade, while 0 ~ 0.1% disease incidence and 95% of emergence rate in the plastic-film house. The growth in the aboveground and underground part of ginseng was totally better, particularly characteristics affecting yield such as root length, main root length and diameter in the plastic-film house. The fresh weight was increased by 128%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ade and harvested roots per $3.3m^2$ were 36 roots in the conventional shade and 58 roots in the plastic-film house and futhermore yield per $3.3m^2$ was increased by 216%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ade. As covering materials, the rice straw in the plastic-film house was excellent. The ginsenoside contents affecting the quality of ginseng were higher in the plastic-film house indicating 0.333% of Rg1, 0.672% of Rb1, 0.730% of Rc and rate of red rusty root was less than 4.0 ~ 6.1%. Above the results, the quality of ginseng grown in the plastic-film house covered with shade net was improved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h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