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blade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8초

가막살나무속 5 수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bivory of Five Species of the Genus Viburnum)

  • 김갑태;김회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62-366
    • /
    • 2012
  • 목본식물의 초식에 대한 방어 전략을 알아보고자 가막살나무속 5수종의 잎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응애 서식 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원주시, 평창군, 태백시, 태안군, 봉화군, 산청군 및 진주시에 생육 중인 나무에서 엽시료를 채취하여 2009년 5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관찰, 조사하였다. 포식응애와의 상리공생을 위한 domatia에 있어서는 아왜나무는 쌈지형, 분꽃나무는 호주머니형이었고, 산분꽃나무, 가막살나무 및 산가막살나무는 털북숭이형 domatia를 발달시키고 있었다. 엽당 domatia 평균 갯수는 산분꽃나무에서 24.0개/엽으로 가장 많았고, 분꽃나무에서 4.9개/엽으로 가장 적었다. 엽 표면의 털은 아왜나무를 제외한 가막살나무속 4수종의 엽신과 엽맥의 성모와 강모가 가장 많았으며, 분꽃나무, 산분꽃나무 및 가막살나무에서는 잎 생장이 완성될 때까지 잎의 표면에서도 성모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엽연부의 엽맥 끝에 넥타를 분비하는 화외밀선(EFN)은 가막살나무 5 수종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가막살나무, 산가막살나무에서는 잎 뒷면 선점(pellucid dot)이 분포하는 것이 좋은 방어전략이라 판단된다. 가막살나무의 선점에서 넥타를 먹는 포식응애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엽당 응애의 개체수는 수종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엽당 응애 개체수 평균은 산분꽃나무가 8.1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아왜나무가 2.6마리로 가장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온대 활엽수종은 생존을 위하여 초식에 대한 다양한 방어전략을 발달시키면서 생육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지속가능한 산림생태계를 위한 수목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에 대한 많은 연구가 요청된다고 사료된다.

농작물(農作物)에 대(對)한 납(pb)의 흡수(吸收) 및 피해경감(被害輕減)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사경용액중(砂耕溶液中) 납(pb)농도(濃度)가 수도체흡수(水稻體吸收)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Uptake by Crops of Lead and Reduction of It's Damage -I. Effects of the Lead Uptake and Yield of the Rice Plant Related to Concentration of Lead in Sandy Liquid Culture)

  • 김복영;김규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7-151
    • /
    • 1986
  • 환경오염물질(環境汚染物質)의 하나인 납(pb)을 배양액중(培養液中)에 농도(濃度)를 달리하고 수도(水稻)에 대(對)한 pot사경시험(砂耕試驗)을 실시(實施)하여 수량(收量), 생육상황(生育狀況) 및 식물체내(植物體內) 납 축적정도(蓄積程度)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사경액중(砂耕液中) 납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수(減收)되였다. 2. 유의성(有意性)있는 감수최저농도(減收最低濃度)는 13.6ppm이었다. 3. 납 농도증가(濃度增加)에 따라서 수도체중(水稻體中) 납 함량(含量)은 엽신(葉身) 현미(玄米)에서 유의성(有意性)있는 증가(增加)를 보였고 엽초에선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4. 식물체(植物體) 부위별(部位別) 납 함량(含量)과 감수율(減收率)과의 관계(關係)는 엽신(葉身)에서는 유의성(有意性)있는 증가(增加)를 보였으나 엽초에서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 PDF

벼 자포니카와 통일형 품종간 광전역에 따른 엽신의 광합성특성 차이 (Effect of Light Pretreatment on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Leaf Blade in Japonica and Tongil Type Rice)

  • 허훈;류경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7-316
    • /
    • 1994
  • 광전역이 수도엽신의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져 일반형 2품종(추청벼, 화진벼)과 통일형 2품종(삼강벼, 칠성벼)에 대하여 분얼기에서 출수기에 이르는 기간동안 무처리, 30%, 70% 차광처리하여 분얼기와 출수기에 고저 광도 조건하에서 광합성 특성 및 이와 관련한 생리, 생태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차광처리에 의한 건물중의 감소는 70% 차광처리구에서 많았으며, 분얼기보다 출수기가 현저하였고, LAR 및 SLA도 출수기에 높았다. 2. 분얼기 저광도(5Klux)하의 개체의 광합성 능력은 낮은 편이며, 무처리<30%<70% 차광처리의 순이었고, 고광도(33Klux)하에서는 무처리구 보다 30% 차광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3. 출수기에 단엽의 광합성 능력은 무처리에 비하여 70%차광처리구가 오히려 높았다. 4. 광합성에 대한 호흡비율(Respiration/Photosynthesis${\times}$100)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차광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낮았다. 5. CGR, RGR, NAR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차광정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6. 차광처리는 수량 구성요소중 특히 1수 영화수를 감소시켜 정조수량이 감소되고, 따라서 수확지수도 저하되었다.

  • PDF

아메리카잎굴파리에 의한 거베라 피해잎의 조직학적 관찰 (Anatomical Observation of Leaf of Gerbera hybrida Hort. Injured by Liriomyza trifolii)

  • 정용모;김진기;안동춘;빈철구;이동우;손흥대;권오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4호
    • /
    • pp.485-488
    • /
    • 1999
  • 아메리카잎굴파리에 의해 피해를 입은 거베라 잎의 피해부위인 흡즙 부위 및 식해흔의 내부조직 구조를 광학현미경(LM)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아메리카 잎굴파리에 의한 피해 잎의 내부조직 관찰 결과, 피해의 진행과정은 대개 3단계로 관찰할 수 있었다. 첫째, 초기 단계로 흡즙 후 산란하는 부위는 비교적 세포조직이 치밀한 책상조직이었으며, 둘째,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주위의 책상 조직만을 식해하면서 잎조직 속에서 굴을 만들기 시작하고, 세째, 성장한 유충은 점점 굴을 크게 하면서 성장하여 잎의 표피층을 뚫고 나오기 직전에는 1층의 책상조직과 책상조직에 연결된 2층의 해면조직까지 식해하면서 잎의 내부에 피해를 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PDF

옥수수의 형태적 변화와 생장 발육 단계 (Growth Stages of Maize (Zea mays, L.))

  • 박병훈;양종성;강정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5-191
    • /
    • 1981
  • 옥수수 생장발육의 한 Scheme을 작성하기 위하여 조생종 MIC-1과 만생종 수원 19호를 공시하여 1980년 4월 25일부터 6월 24일까지 12일 간격으로 6파종기를 두고, 휴폭 60cm에 주간 15cm로 파종하여 본시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작물체의 주요기관 즉 엽, 기, 자종의 형태적 변화를 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신의 발육을 그 전개정도에 따라 10등액으로 구분하여 Leaf Development Index(LDI)를 정의하였다. 2. 엽출현율(LAR)은 평균 3일로써 품종간, 재배시기간 큰 차가 없었다. 3. 출현 후 약 1개월 후에 절간이 신장하기 시작하여 절위별로 신장하며 지상부 제 1절이 벽출되는 시기는 제 8-9엽기에 해당되었다. 4. Silks의 형태적 변화는 종실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표 4참조). 5. 영양생장기간은 품종간 및 재배시기간에 차이가 현저하였지만 생식생장기간은 별차이가 없었다. 6. 완전전개된 엽수, 비대된 절수 그리고 Silks의 형태적 변화 및 종실발달 등으로 옥수수의 Scheme을 제시하였다.

  • PDF

백수 벼의 부위별 아미노산 조성 변화 (Changes of Amino Acid Contents in White Panicled Rice (Oryza sativa L.))

  • 최기춘;류재혁;정민웅;박형수;김천만;임영철;김다혜;최기준;김원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3-1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간척 논에서 재배된 벼의 백수를 조사료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백수 벼의 아미노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분석된 벼 시료는 전남 신안군 비금도 벼 백수 피해가 일어난 약1,000 ha의 벼에서 채취하였다. 총체 벼의 조단백질 함량은 엽 > 알곡 > 잎집 > 줄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백수정도에 따른 총 아미노산 함량은 가장 심한지역>중간지역>정상생육 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한지역, 중간지역 및 정상생육지역 모두 엽, 알곡, 잎집 및 줄기 내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methionine이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따라서 벼 백수 피해가 일어난 지역의 벼와 정상생육이 진행된 벼의 아미노산 함량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지만 벼 백수피해 정도에 따라 조사료원으로써 영양적인 가치가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조사료의 영양적 측면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Oxyfluorfen에 대한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의 생리활성(生理活性) 기구(機構) - II. 잎 표면(表面), 해부(解剖) 및 미세구조(微細構造) 반응(反應) (Different Physiological Activity of Selected Rice Cultivars to Diphenylether Herbicide, Oxyfluorfen - II. Different Anatomical and Ultrastructural Responses)

  • 국용인;구자옥;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4-63
    • /
    • 1996
  • Oxyfluorfen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감수성(感受性)인 피에 대하여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잎 표면구조(表面構造) 및 해부(解剖) 특성(特性)과 미세구조(微細構造) 반응(反應)을 관찰하였으며, 유이제초제(類似除草劑)에 대한 해부학적(解剖學的) 변화를 비교 관찰하였다. 1.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들은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잎 면적(表面)의 구조적(構造的)인 피해를 볼 수 없었으나, 감수성(感受性)인 벼품종(品種)은 납질(蠟質)의 손상이 크고, 감수성(感受性)인 피는 조직이 불규칙하게 붕괴되는 현상까지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피에서는 엽신(葉身)의 두께 감소도 컸다. 2.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들은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해부학적(解剖學的)인 변화가 적었으나,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피에서는 표피세포(表皮細包), 엽육세포(葉肉細包) 및 유관속초세포의 파괴가 컸으며 특히, 처리 후 24시간의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에서는 조직이 완전히 붕괴되었다. 3. Oxyfluorfen 처리에 의해 chloroplast 모양의 불규칙성과 chloroplast envelope의 distortion이 전반적으로 관찰되었고, 전분(澱粉)도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이와 같은 구조적(構造的) 손상은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보다는 감수성(感受性)인 벼품종(品種)과 피에서 더 심했다. 4. Oxyfluorfen과 유사한 제초제(除草劑) 처리에 의하여서도 엽신(葉身)의 두께 감소는 oxyfluorfen > acifluorfen > bifenox > oxadiazon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보다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에서 더 커지는 경향이었다. 특히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은 oxyfluorfen과 bifenox 처리 후 24시간에 이미 표피세포(表皮細包) 및 유관속초세포 손실 등으로 조직이 상하게 붕괴되는 현상을 보였다.

  • PDF

Effects of Cadmium and Arsenic on Physiological Responses and Copper and Zinc Homeostasis of Rice

  • Jung, Ha-il;Chae, Mi-Jin;Kim, Sun-Joong;Kong, Myung-Suk;Kang, Seong-Soo;Lee, Deog-Bae;Ju, Ho-Jong;Kim, Yoo-Ha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397-403
    • /
    • 2015
  • Heavy metals reduce the photosynthetic efficiency and disrupt metabolic reaction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Moreover, by replacing the metal ions in metalloproteins that use essential metal ions, such as Cu, Zn, Mn, and Fe, as co-factors, heavy metals ultimately lead to the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se, in turn, cause destruction of the cell membrane through lipid peroxidation, and eventually cause the plant to necrosis. Given the aforementioned factors, this study was aimed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rice to cadmium (Cd) and arsenic (As) toxicity and the effect of essential metal ions on homeostasis. In order to confirm the level of physiological inhibition caused by heavy metal toxicity, hydroponically grown rice (Oryza sativa L. cv. Dongjin) plants were exposed with $0-50{\mu}M$ cadmium (Cd, $CdCl_2$) and arsenic (As, $NaAsO_2$) at 3-leaf stage, and then investigated malondialdehyde (MDA) contents after 7 days of the treatment.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Cd and As, the MDA content in leaf blade and root increased with a consistent trend. At 14 days after treatment with $30{\mu}M$ Cd and As, plant heigh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d and As, with an identical reduction. However, As caused a greater decline than Cd for shoot fresh weight, dry weight, and water content. The largest amounts of Cd and As were found in the roots and also observed a large amount of transport to the leaf sheath. Interestingly, in terms of Cd transfer to the shoot parts of the plant, it was only transported to upper leaf blades, and we did not detect any Cd in lower leaf blades. However, As was transferred to a greater level in lower leaf blades than in upper leaf blades. In the roots, Cd inhibited Zn absorption, while As inhibited Cu uptake. Furthermore, in the leaf sheath, while Cd and As treatments caused no change in Cu homeostasis, they had an antagonist effect on the absorption of Zn. Finally, in both upper and lower leaf blades, Cd and As toxicity was found to inhibit absorption of both Cu and Zn. Based on these results, it would be considered that heavy metal toxicity causes an increase in lipid peroxidation. This, in turn, leads to damage to the conductive tissue connecting the roots, leaf sheath, and leaf blades, which results in a reduction in water content and causes several physiological alterations. Furthermore, by disrupting homeostasis of the essential metal ions, Cu and Zn, this causes complete heavy metal toxicity.

수도(水滔)에 있어 전엽(剪葉)이 등숙(登熟)에 미치는 영향(影響)(예보(豫報)) (Effect of Leaf Blade-cutting on Ripening of Rice)

  • 박준규;김영섭;이종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5-128
    • /
    • 1968
  • 엽(葉)의 차광(遮光)을 피(避)하고, 근부(根腐)를 피(避)하는 일방(一方) 양분(養分)을 적정(適正)히 공급(供給)할 수 있는 수경재배(水耕栽培)의 조건하(條件下)에서 출수이후(出穗以後)의 엽(葉)의 잔존수(殘存數)가 후기생육(後期生育) 및 탄수화물(炭水化物)의 전류(轉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檢討)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出穗期)에 전엽전엽(全葉剪葉), 지엽(止葉) 1 매잔류(枚殘留), 토위엽(土位葉) 2 매잔류(枚殘留) 및 토위엽(土位葉) 3 매잔류(枚殘留) 등 처리(處理)에 있어 등숙비율(登熟比率)은 각각(各各) 38.8, 74.7, 83.9 및 87.0%이였으며 정조천립중(精租千粒重)은 전엽전엽(全葉剪葉)이 21.3g로 가장 낮고 기타처리(基他處理)는 28.7g로 차이(差異)가 없었다. 2. 전엽수(剪葉數)의 증가(增加)에 따라 출수기(出穗期)에 축적(蓄積)된 탄수화물(炭水化物)의 전류(轉流)는 증가(增加)되며 간기중(稈基重)은 감소(減少)된다. 3. 출수기(出穗期) 이후(以後) 지엽(止葉)과 차엽(次葉)2매(枚)가 건재(健在)하면 등숙비율(登熟比率) 80% 정도(程度)로 유지(維持)시킬 수 있으리라 추정(推定)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