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area estimation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초

Comparison of Two Nondestructive Methods of Leaf Area Estimation

  • Woo, Hyo-Jin;Park, Yong-M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1호
    • /
    • pp.61-65
    • /
    • 2009
  • We compared two nondestructive methods for leaf area estimation using leaves of 16 common plant species classified into six types depending on leaf shape. Relatively good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actual leaf area (LA) and leaf length (L), width (W), or the product of length and width (LW) were found for ordinary leaves with lanceolate, oblanceolate, linear and sagitttate shapes with entire margins, serrate margins, mixed margins with a entire form and shallow lobes, and ordinary incised margins. LA was better correlated with LW than L or W, with $R^2$ > 0.91. However, for deeply incised lobes, LA estimation using LW showed low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indicating low accuracy. On the other hand, a method using photographic paper showed a good correlation between estimates of area based on the mass of a cut-out leaf image on a photographic sheet (PW) and actual leaf area for all types of leaf shape. Thus, the PW method for LA estimation can be applied to all shapes of leaf with high accuracy. The PW method takes a little more time and has a higher cost than leaf estimation methods using LW based on leaf dimen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searchers should choose their nondestructive LA esti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ir research goals.

Burley종 담배의 생엽 장폭 측정에 의한 건엽면적과 건엽중의 추정 (Estimation of Cured Leaf Area and Leaf Weight Based on Leaf Length and Width in Burley Tobacco Plant)

  • 이용득;조장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02-606
    • /
    • 1994
  • 담배엽 수량 구성 요인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엽면적이나 엽중을 용역하게 측정 할수 있는 방법을 모색코자 담배 생엽장${\times}$생엽폭의 값과 생엽면적, 건엽면적, 건엽중과의 관계 또는 생엽면적과 건엽면적, 건엽중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 본엽의 생, 건엽장과 폭은 KB103이 가장 크고 KB101과 Burley21은 비슷하였다. 2. 중, 본엽의 생, 건엽면적과 생, 건엽중은 KB103 > Burley21 > KB101 순이었다. 3. 생엽장${\times}$생엽폭의 값과 생엽면적, 건엽면적, 건엽중과의 사이에는 1% 수준의 고도 유의성 관계가 3개 품종 중, 본엽에서 모두 인정되었다. 4. 생엽면적과 건엽면적, 건엽중과의 사이에는 1% 수준의 고도 유의성 관계가 3개 품종 중, 본엽에서도 모두 인정되었다.

  • PDF

일계성 딸기 5품종의 비파괴적 방법을 사용한 엽면적 추정 및 검증 (Estimation and Validation of the Leaf Areas of Five June-bearing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Cultivars using Non-destructive Methods)

  • 조정수;심하선;정수빈;문유현;조원준;우의정;김성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8-103
    • /
    • 2022
  • 엽면적의 비파괴적 추정은 잎 절단에 의한 방법에 비해 간단하고 시간을 절약하므로 다양한 원예 작물에 대한 잎 면적 예측 모델이 개발되었습니다. 그러나 딸기 잎 면적 추정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국내산 딸기 5품종('아리향', '죽향', '금실', '매향', '설향')의 3복엽의 잎길이와 폭을 이용한 비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잎면적을 예측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제 잎 면적과 전개식을 통해 추정된 잎 면적의 관계에 대한 결정계수(R2)는 0.923에서 0.973까지 다양하였다. R2 값이 0.96 이상인 '죽향', '설향' 및 '매향' 3 품종의 잎면적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을 사용하여 비파괴적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반면 묘의 상태가 좋지 못하고 과한 생장을 했던 '아리향'과 '금실'은 각각 0.938, 0.923으로 약간 낮은 R2 값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품종별 잎 면적 추정 모델을 Python으로 코딩하여 본 논문에 첨부하였다. 개발된 추정 모델은 많은 딸기 관련 연구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엽장, 엽폭, 엽신장을 이용한 토마토의 엽면적 추정 (Estimation of Leaf Area Using Leaf Length, Leaf width, and Lamina Length in Tomato)

  • 이재면;정재연;최효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25-331
    • /
    • 2022
  • 토마토의 생육과 수확량을 예측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엽면적이다. 이러한 엽면적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토마토 식물 생장 평가 모델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토마토 잎의 측정을 통해 엽면적(LA)을 추정하는 효과적인 모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마토 식물 잎 조사를 위해 2주 간격으로 5개체의 토마토 식물체의 전개된 모든 잎에 대해 엽면적(LA), 엽장(L), 엽폭(W), 엽신장(La)를 측정하였다. LA와 토마토 잎 독립변수의 상관관계는 La × W, L × W, La + W, L + W의 식이 강한 양의 관계를 나타냈다. LA 추정은 LA = a + b(La2 + W2)을 사용하는 선형 모델이 가장 정확한 추정치를 나타내었다(R2 = 0.867, RMSE = 88.76). 9월부터 12월까지 토마토 잎의 위치에 따른 상, 중, 하 엽의 모델을 살펴본 결과, 상, 중, 하로 잎 위치에 따른 모델별 결정계수(R2) 값은 각각 0.878, 0.726, 0.794였다. 상위엽을 바탕으로 추정된 모델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10월 이후 토마토 재배 농가에서 중위엽과 하위엽에 실시한 반적엽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산오리나무 고립목의 표면적성장에 대하여 (On the Growth of the Surface Area of Isolated Young Trees, Alnus tinctoria Sargent)

  • 임양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6권1_2호
    • /
    • pp.1-5
    • /
    • 1973
  • Six young trees of Alnus tinctoria grown in isolation, each having different growing stage, were selected and the surface area of their roots, stems and leaves was determined. Each of the roots of more than 0.2mm in diameter and stems was cut at intervals of 10cm and their surface area was calculated with 2$\pi$rl from the average diameter (2r) of both sections (upper and lower) by making cylindrical estimation of the cut pieces. The leaf area measured was only one side area, and the volume of cut piece and amount of dry matter of each organ were also measured. The percentage to the surface area of the whole plant body by each organ was 4-12% in root, 7-9% in stem and 69-89% in leaf, respectively. There was relatively a little individual difference. However, the surface area ratios of root and stem showed a slightly increasing tendency while that of leaf decreasing according to the growing stage. The ratio of sum leaf area index (LAIi) was 2.3-4.0$m^2$/$m^2$-and that of the surface area index(SaIi) was 0.16-0.33$m^2$/$m^2$, respectively. It has been known that the stem surface area(SAI) to the leaf area index(LAI) is within the range of 31-53%, but the SAIi is within the range of 8-11% of the LAIi.

  • PDF

분광반사특성과 엽면적지수 및 SPAD를 이용한 벼의 성장단계별 생육상태의 평가 (Evaluation of Growth Diagnosis in Rice Field using Spectral Characteristics, LAI, and SPAD)

  • 박종화;신형섭;박진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05-809
    • /
    • 2008
  • Measurement of leaf area index (LAI) is useful for understanding rice growth, water use, and canopy light interception. The top nitrogen content(TNC) per unit area is an important quantitative index of the condition of nitrogen nutrition in rice production. The rapid and simple method of estimation of TNC, with the use of the existing nondestructive analyzing instruments chlorophyll meter SPAD-502 and plant canopy analyzer (PCA) LAI-2000, was scrutinized. Destructive measurement is time consuming and labor intensive. Our objective was to evaluate sampling procedures using the Li-Cor LI-1800, LAI 2000 plant canopy analyzer (PCA) for nondestructive estimation of rice LAI, and SPAD-502 on the Northern Plains of Cheongju. The LAI estimated by PCA tended to underestimate the LAI determined by actual measurement by about 20%. The estimation of LAI by PCA was judged to have a sufficient accuracy as a practical technique.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obtained between the values of the SPAD reading and LAI. NDVI and LAI also showed a very high correlation. The values of the SPAD reading and LAI, and NDVI gave a high positive correl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thod describ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as a simple and rapid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rice growth.

  • PDF

지리산(智異山) 주요(主要) 활엽수종(闊葉樹種)의 엽면적(葉面積) 추정식(推定式)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quations of Estimating the Leaf Area of Broad-Leaf Species in Mt. Jiri)

  • 김시경;이경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0권1호
    • /
    • pp.103-108
    • /
    • 1985
  • 지리산(智異山) 국립공원내(國立公園內)의 천연혼효림(天然混淆林)을 구성(構成)하고 있는 주요(主要) 13개(個) 활엽수종(闊葉樹種)을 대상(對象)으로, 잎의 기하학적(幾何學的) 형태(形態)에 따른 엽면적(葉面積)(A), 엽장(葉長)(L), 엽폭(葉幅)(W)간(間)의 통계적(統計的)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규명(糾明)함으로써 신뢰(信賴)할 수 있는 엽면적(葉面積) 추정식(推定式)을 찾고자 하였다. 정확(正確)한 추정(推定)이 특별(特別)히 요구(要求)되지 않을 때는 A=bLW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一般的)이다. 이 식(式)에서 계수(係數)b의 값은 수종(樹種)에 따라 고유(固有)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全體的)으로는 0.579~0.717의 범위내(範圍內)에 분포(分布)하였다. 그러므로 지리산(智異山) 천연림(天然林)의 경우(境遇) 임분(林分) 전체(全體)의 직략적(職略的)인 엽면적(葉面積) 추정시(推定時)에는 A=2/3LW의 추정식(推定式)을 사용(使用)하여도 무방(無防)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좀 더 정확(正確)한 추정(推定)을 요(要)할 시(時)에는 회귀방정식(回歸方程式)을 이용(利用)한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9가지 형태(形態)의 식(式)에 적용(適用)하여 결정계수(決定係數)($R^2$)를 기준(基準)으로 엽면적(葉面積) 추정식(推定式)에 가장 적합(適合)한 식(式)의 형태(形態)를 찾아 보았다. 그 결과 단엽(單葉)을 가진 활엽수(闊葉樹)에서는 이제까지 많이 사용(使用)하지 않았던 ${\log}A=b_0+{\log}LW$가 8가지 수종(樹種)에서 가장 적합(適合)한 형태(形態)로 나타났다. 이 식(式)의 계산은 조금 복잡(複雜)하나 컴퓨터를 이용(利用)하면 정확(正確)하고 실용적(實用的)인 추정식(推定式)이 될 수 있다. 그 밖에 $A=b_0+b_1LW$$A=b_0+b_1L^2+b_2W^2$도 좋은 형태(形態)로 나타났다. 이 두 가지를 비교(比較)해 볼 때 결정계수(決定係數)는 비슷하나 F값은 전자(前者)가 월등히 큰 값을 보임으로써 이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더 간편(簡便)하며 신뢰도(信賴度)가 높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Allometric Modeling for Leaf Area and Leaf Biomass Estimation of Swietenia mahagoni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Bangladesh

  • Das, Niamjit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4호
    • /
    • pp.351-361
    • /
    • 2014
  • Leaf area ($A_0$) and leaf biomass ($M_0$) estimation are significant prerequisites to studying tree physiological processes and modeling in the forest ecosyste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llometric models for estimating $A_0$ and $M_0$ of Swietenia mahagoni L. from different tree parameters such as DBH and tree height of mahogany plantations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Bangladesh. A total of 850 healthy and well formed trees were selected randomly for sampling in the five study sites. Then, twenty two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different statistical criteria that propose reliable and accurate models for estimating the $A_0$ and $M_0$ using non-destructive measurements. The results exposed that model iv and xv were selected on a single predictor of DBH and showed more statistically accuracy than other models. The selected models were also validated with an additional test data set on the basis of linear regression and t-test for mean difference between observed and predicted values. After that, a comparison between the best logarithmic and non-linear allometric model shows that the non-linear model produces systematic biases and underestimates $A_0$ and $M_0$ for larger trees.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bias-corrected logarithmic model iv and xv can be used to help quantify forest structure and functions, particularly valuable in future research for estimating $A_0$ and $M_0$ of S. mahagoni in this region.

군락구조계를 이용한 벼 엽면적 측정 (Estimation of Leaf Area Index by Plant Canopy Analyzer in Rice)

  • 박홍규;최원영;백남현;김상수;김보경;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63-467
    • /
    • 2004
  • 식물 군락구조계를 이용하여 벼의 품종 및 생육단계별로 엽면적지수를 측정하여 실측치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비파괴적 방법으로 엽면적을 측정하고자 동진벼 등 4품종을 공시하여 2년간$('01\~'02)$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군락구조계로 측정한 엽면적지수 값(추정치)과 엽면적측정기로 측정한 엽면적지수 값(실측치)과는 고도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2. 군락구조계로 측정한 엽면적지수와 엽면적기를 이용한 엽면적지수와는 공시품종 모두 고도의 상관이 있었으며 품종간에는 동진벼>소비벼>다산벼> 합천 1호의 순으로 두 측정치가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품종에서 엽면적지수가 4내외일 때 두 값이 가장 잘 일치하였다. 3. 비엽중과 엽면적 비율은 생육이 경과함에 따라 적어지는 경향이었고, 품종간에는 다산벼>소비벼$\fallingdotseq$극동진벼> 합천1호의 순으로 컸으며 합천1호는 단위 무게당 엽면적이 $160m^2/kg$내외로 두 측정치 모두 현저히 적었다.

상엽수확고 측정에 관한 연구 제 2 보 상수각형질간의 상호관계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Leaf Production in Mulberry Trees II. Correlations among Various Characters)

  • 한경수;장권열;안정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9권
    • /
    • pp.15-19
    • /
    • 1969
  • 상엽의 수확량을 규정하기 위하여 수량에, 관계하는 형질을 알고자 우리나라 상엽의 중요품종인 개량서반, 일지뢰, 노상, 수원상 4 호의 4품종을 재료로 각형질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본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관계수를 계출하기 위하여 각형질의 분산 및 공분산을 계산한바 그 결과는 제1표와 같고 형질에 따라서 그 값은 매우 다르나 품종에 따라서는 큰 변동을 보이지 아니한다. 2. 각형질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본바 그 결과는 제2표와 같고 각형질상호간에 고도의 상관관계가 보이나 특히 엽중즉수량과 기조장, 기조직경, 엽수. 엽면적, 절수, 지총중, 지중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보였다. 3. 형질상호간의 상관의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알기 위하여 형질상호간의 편상관계수를 계출한바 그 결과는 제3표와 같고 이들 편상관계수의 값은 형질의 조합. 품종에 따라서 동일하지 아니하나 엽면적과 수량간에는 어느 품종에 있어서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상엽의 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형질은 수량과도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수거전 상전에서 쉽게 측정할수 있는 형질 즉 기조장, 기조직경, 엽수, 엽면적의 4개형질이라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