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ding teacher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7초

정보화사회의 교육 패러다임으로서 구성주의 -본질과 교육적 적용- (Constructivism : A Shifting Paradigm for Educational Practice in Information Society)

  • 황희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100-113
    • /
    • 1998
  • The informatio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rapidly increasing and changing information. Traditional models of learning and instruct on have emphasized forms of mastering the information in content domains. Storing information and being able to recall it has been central to formal education. But it is no longer possible to master content domains. This paper discusses constructivism as a shifting paradigm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in information society. Constructivism provides an alternative epistemological base to the objectivist tradition. Constructivism holds that there is a real world that we experience. However, the argument is that meaning is imposed on the world by us, rather than existing in the world independently of us. Meaning is seen as rooted in experience. The experience in which an idea is embedded is critical to the individual's understanding of that idea. From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learning is not a stimulus-response phenomenon. It requires self-regulation and the building of conceptual structures through reflection and abstraction. Problems are not solved by the retrieval of rote-learned right answers. The effective motivation to continue learning can be fostered by leading students to experience the pleasure that is inherent in solving problems chosen as one's own. Constructivism requires the change of the teacher's role from a knowledge transmitter to a coach or facilitator of student's understanding. Constructivist teachers inquire about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cepts before sharing their own understandings of those concepts, and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dialogue, both with them arid with one another. In Korea, the educational reform called open education has been spreading through out the country. There should be a paradigm shift in learning and instruction from objectivism to constructivism for better educational reform in Korea.

  • PDF

보육교사의 직무소명의식과 직무행동 간 영향관계에서 직무태도의 매개효과 분석 (The Effects of Job Vocational Calling on Job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Job Attitude of Child Care Teachers)

  • 이재무;조경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74-586
    • /
    • 2019
  •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의미가 크게 부각되고 있는 보육정책을 제일선에서 담당하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관리에 관한 유의한 정보를 취득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직무와 관련하여 특정한 사고나 의식이 태도를 구축하고 태도가 근원이 되어 행동이 이루어진다는 인과관계를 염두에 두고 연구를 기획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소명의식과 직무열의 직무소진 등 직무태도, 창의적 행동 적극적 행동 윤리적 행동 등 직무행동을 변수로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209명의 보육교사가 응답한 구조화된 설문지 내용을 기반으로 실시되었으며,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보육교사들은 근무시간이 초과될수록 직무소진이 심해졌으며, 직무소명의식은 직무태도 중 직무열의만, 직무행동 중 창의적 행동과 적극적 행동만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직무열의만이 직무소명의식과 적극적 행동 사이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학교 인구교육의 미래 방향 탐색: 제7차 교육과정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Future Direction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N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the 7th Curriculum through 2015-Revised Curriculum)

  • 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1-157
    • /
    • 2020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에서 전개되고 있는 학교 인구교육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국가수준의 총론 및 각론 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터하여 학교 인구교육의 미래 방향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는 총론 교육과정의 '범교과학습주제'로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의 인구교육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으나, 현행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각론 교육과정 분석의 결과(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안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해당하는 10개의 공통 교과 교육과정 문서 분석함), 중등의 기술·가정교과의 가정과 교육과정, 그리고 초등 및 중등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만 교과의 성격이나 목표, 또는 내용요소나 성취기준에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의 인구교육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다.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5가지 학교 인구교육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 인구교육의 목적은 출산에 개입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하게 확인하며, '저출생·초고령사회 대응'의 양성평등한 용어를 적용한다. 둘째, 인구교육을 교과의 목표와 내용요소, 그리고 성취기준으로 직접 다루는 교과에 인구교육의 주도교과로서 사명을 부여한다. 셋째, 융합학문적 특성의 인구교육을 융합교육의 적극적 소재로 활용한다. 넷째, 선택중심의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고등학교에서는 인구교육의 주요 내용을 다루는 주도교과의 선택을 정책적으로 지원해준다. 다섯째, 교원의 인구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교육을 강화한다. 민주시민의 역량은 사회의 기본적 집단인 가족의 사회화를 통해 출발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삶을 기반으로 하는 가정과교육에서 인구교육을 주도하여 삶, 즉 생활과 연계된 실천적 인구교육으로 학교 사회에 인구교육이 확대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학교 인구교육의 주도교과로서의 사명을 가정과교육에 맡겨서 이를 잘 수행해 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전체 교육과정에서 가정과교육의 이수를 강화시키는 교육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초(初)·중(中)·고(高) 학생(學生) 신체검사결과(身體檢査結果)에 대한 분석연구(分析硏究) (An Analytical Study on Student's Physical Examination of Elementing and Seconding School in Korea)

  • 윤종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4-132
    • /
    • 1988
  • Aiming to appraise student's health status and recommend improvement and strengthening of the school health service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of health examination were done with summarized data which were collected nation-wide thr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 After analysis of data obta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summarized as follows; 1) Requested Adequate care Requested Adequate care showed from 5 % to 3% in 1962 and 1984 respectively. In sexes, Requested Adequate in girls (2.8%) more apparent than in boys (2.5%) 2) Eyes i) Weak vision, abnormal refraction of eyes (myopia, hypermetropia and astigmatism), eye diseases (trachoma, others) were found as shown in the Table 2, Figure 3. Weak vision and abnormal refraction of eyes showed from 2 % (Elementary), 5 % ( Secondary) to 4 % (Elementary), 14 % (Secondary) in 1962 and 1984 respectively. In both sexes, the older the age of students the more weak vision and abnormal refraction of eyes had rapidly increased especially in over 15-year old. ii) Eye diseases (trachoma, others) showed from 2% to age of students the more diseases had students. 3) Ear, nose and pharynx Hearing disturbance, ear diseases (otitis mediae, others), nose (empyema, hypertrophy) and pharynx diseases were found as following 1) Hearing disturbance was found from 0.3%(Elementary), 1 %(Secondary) to 0.05 % (Elementary), 0.4 % (Secondary) in 1962 and 1984 respectively, however, recently the older the age of students the more had students. ii) Ear diseases showed from 1.7 % (Elementary) 1.0 % (Secondary) to 0.3 %(Elementary), 0.5%(Secondary) in 1962 and 1984 respectively. iii) In diseases of the nose and pharynx, tonsilitis showed from 2.5% (Elementary), 3.5 % (Secondary) to 1.8 % ( Elementary). 2.5% (Secondary) in 1962 and 1984 respectively. 4) Skin Infectious skin diseases and other skin diseases were found from 1.5% to 0.6% in 1962 am 1984 respectively. 5) Teeth Dental caries (in milk and permanent teeth) and otner oral diseases are shown from 12 % (Elementary), 8%(Secondary) to 75%( Elementary), 25% (Secondary) in 1962 and 1984 respectively. 6) Other defects and diseases A relatively higher morbidity was shown in the tubercular diseases, in anemia, and in heart diseases among the tuberculous diseases, nodular diseases, Pleurisy, heart diseases, anemia, beriberi, hernia, neurasthenia, speech difficulty, mental disorders, bone dysformity, motion difficulty of extremities. In both sexes, tuberculous diseases were found almost equally in both sexes and anemia in girls was more apparent than in boys. Trying to provide more effective health services in schools : i) A better and more effective physical examin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each school and prior to the physical examination, the qualified daily observation of children by teacher should be keenly practiced. ii)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quired annual physical examination the leading cause of morbidity were dental caries, myopia, angina and otitis mediae and fore these diseases follow up should be carried out. iii)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and defects health education for students in the classroom as well as to parents is urgently requested.

  • PDF

호주 국가교육과정 예술과목 'Media Art' 에 나타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Australian Curriculum: Media Art)

  • 박유신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8호
    • /
    • pp.271-310
    • /
    • 2017
  • 이 논문은 호주의 국가교육과정 ACARA의 예술교육과정인 미디어 아트 과목의 구성 및 그 내용을 살펴보고, 한국의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한다. 미디어 아트과목에서 다루는 미디어는 TV, 영화, 비디오, 신문, 라디오, 비디오 게임, 인터넷 및 모바일 미디어 등을 포괄하는 복합 양식적 미디어 전반과 그 콘텐츠이다. ACARA에 나타난 미디어 아트 교육과정의 목표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목적과 청중을 대상으로 한 의사소통기술의 창조적 사용, 지식, 이해,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에 있다. 미디어 아트 과목을 통해 학생 개인과 공동체는 자신들을 둘러싼 풍부한 문화와 실제적 의사소통에 참여하고, 이를 실험하면서 언어, 기술, 제도, 청중, 재현의 5개 핵심개념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발전시키게 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ACARA의 미디어 아트 교육과정은 독립적 예술교육과정으로 개발되어 호주 교육과정 내에서 특별히 중요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CARA의 미디어 아트 교육과정은 독립적인 교과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실행에 있어서 다른 과목들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지도되도록 교육과정상에서 제안되고 있다. 교육과정 구성상의 체계성과 정교함은 교사 차원의 교수 학습 설계 및 평가 측면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ACARA의 미디어 아트 교육과정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국가 및 주 차원에서 선도적으로 실행해 온 호주의 사례라는 점에서 한국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향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특수아동(特殊兒童) 복지제도(福祉制度)에 관(關)한 고찰(考察) (A Review of Literature on the Welfare Delivery System of Exceptional Children in Korea)

  • 이소희
    • 아동학회지
    • /
    • 제1권
    • /
    • pp.94-106
    • /
    • 1980
  • The issue present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1. Legislative actions of welfare-related law for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legislative base for the evolution has been yet weak and ambigous at best for a formalization of what should be considered accepted practice and effective action in providing handicapped child and their parents educational rights and equal protection of the law. And they are under remote control of partial factor subject to social welfare law for children, and public law for education, promotion law for the exceptional child education, protection law for public aids. 2. Organization of government for the welfare services for the exceptional children. There is no sing of a push toward consolidation of effort for the welfare service of the exceptional children in this country that seeks to recapture a sense of unity, of coherence, of completeness from a reality made up of discontinuous fragments of humanitarian effora This presently that. as for the education of the exceptional child, by the section of the exceptional education in MOE (Ministry of Education), and/or as for welfare services and promotion actions, by the section of child welfare in MHSA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One door type operation rooted in the specialization, and limited resources to evolve multi-purpose agencies that undertake to provide a broad range of tangible and concrete services, as well as supportive counselling and assessment, under a single management which plans and directs the allocations of resources, should be followed. 3. Facilities and recruitment of teachers for the exceptional children. In this country there are 54 facilities for special services, 56 schools for the exceptional education, and 3 colleges and equavalents that provide teacher training services leading to certification with IIO annual graduates. However, curriculum for exceptional children should be rearranged and reconstructed. Conclusion; Only as fo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community, this country produced a succession of specific purpose activities, over period of time, that accumulated to form the present network of hundred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Periodically major efforts were launched to revitalize or to improve the help-giving system. But they lack specialization to be effective, and the nature of multi-purpose center tends to be vague for the classified handicapped. Therefore, there, should be linkage between policy maker and community services to maintain some coherenty in preventive care, treatment, and after cares. At last, the effects of the current concept "the exceptional child" involved with their families, and their neighborhood should be considered in view of the people who consist about 25% of the total population.

  • PDF

10학년의 화학반응속도 학습에서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코스웨어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Courseware Instruction Using Scaffolding Strategy on 10th Grade Students' Learning Chemical Reaction Rate)

  • 조향숙;최병순;박국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3-290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개념 학습 환경에서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코스웨어와 활동지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코스웨어 수업이 개념 이해도와 노력, 자기 점검 등을 포함한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충북 청원군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10학년 2개 반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코스웨어와 활동지를 이용한 수업을, 통제집단에는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을 화학반응속도 단원에 대해 3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 전에 사전 문제 해결 능력 하위 변인 검사를 실시하고, 중간고사 과학 성적을 조사하였다. 수업 처치 후에는 개념 이해 검사와 사후 문제 해결 능력 하위 변인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코스웨어와 활동지로 학습한 실험집단은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과 통계적으로 비슷한 수준의 개념 이해 점수를 획득하였다. 이는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코스웨어가 학습자의 개념 발달을 위한 개별화 수업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준다. 한편, 문제 해결 능력 하위 변인 검사에서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노력과 자기 점검 그리고 인지전략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는데, 이는 스캐폴딩 전략이 학습의 책임을 학습자에게 이양함으로써 자기 조절력이 향상된 것으로,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의 향상을 위해 스캐폴딩 전략을 수업에 활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준다.

좋은 환경 수업의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환경 수업 학습 상황 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Situation in Environment Class at High School with View of Good Environment Class)

  • 안재정;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4호
    • /
    • pp.1-1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ing of the good class, and based on this,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high school is researched. Through those above processes, desirable direction of the environment class is suggested. For this study, we are trying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general good classes, and from this, the meaning of good environment class is known. Moreover, for this study, we choose environment classes from four high schools leading by environment major teacher. From those four classes, we analyzed these things: educational situation of environment class, teachers' interviews. All of these are for analyzing environment class with the view of good environmental class. A well-formed environment class manifests the features of environment education in all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cluding learning objectives, learning materials, procedures, and evaluations. Furthermore, it should be 'student-centered' class in which active interaction among the learners or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is considered most important. Students are not the passive receiver, but rather, they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earning process by reorganizing the knowledge as they experience and become independent learners who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In this way, we can generate a great deal of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which in turn makes the class interesting, enjoyable, full of energy and still effective. If there is the class reflecting the factor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bove good class' ways, it will be the good environment class. In the current situation of environment class, the rate of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and study activity was low. This tendency is not too different between four groups except students' support to teachers. This result means that learners' will to participate in their classes actively is not high. Moreover, about 46.3% of students did not understand some parts of new knowledge and about the parts, students' solution was 'does nothing' and the rate was also so high. Teachers tried to make their class with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and focusing their learner's real life. However, learners are all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 students, so teachers have aversion about making their students heavy activities.

  • PDF

학생 맞춤형 수업을 위한 학교 공간 분석: 스웨덴 비트라 텔레폰플랜(Vittra Telefonplan) 학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chool Space for Students' Customized Classes: Focused on Vittra Telefonplan School in Sweden)

  • 신진수;조향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433-445
    • /
    • 2019
  • 본 연구는 스웨덴 비트라 텔레폰플랜 학교(Vittra Telefonplan school)의 학교 공간 구성과 학생 맞춤형 수업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학교 공간 혁신 방안은 무엇인지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문서분석, 영상분석 등의 방법으로 선행연구 탐색, 비트라 학교 공간과 학생 맞춤형 수업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오픈스페이스에서 학생 개인별 필요와 성장에 필요한 수업을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오픈스페이스 형태의 학교 공간은 학생 삶의 공간으로서 역할을 다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는 학생들의 적극적 안내자와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넷째, 학생 개별 학습 관리는 IT 기반 학습 플랫폼을 활용하면서 코딩 수업을 활발하게 진행하였다. 다섯째, 학생 주도적 학습으로 자신의 학습에 자율성과 책임감을 갖도록 하고 있었다. 비트라 학교가 우리나라 교육과정 운영 및 학교 공간 구성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신설학교를 설계할 때에는 가급적 작은 규모의 학교를 설계하며, 학급이 아닌 학년 단위로 오픈된 공간을 구성하고 교육과정도 학년 중심으로 운영하는 것이 좋다. 기존 학교를 재구조화할 경우 여유 교실이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규격화된 교실을 개조하여 가변형으로 크고 작은 학습 공간을 만들고 학년 단위의 프로젝트 중심 수업을 실천할 것을 제안한다.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인식 및 요구도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through Demonstration of Simulated Instruction)

  • 박소윤;서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70-381
    • /
    • 2021
  •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김해 지역에 소재한 3-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원양성기관에서 모의수업을 지도하는 교수자들에게 예비유아교사의 현재 수준에 근거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모의수업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모의수업은 교원양성교육에서 필요하며 수업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모의수업 횟수를 늘리는 것에는 찬성하지 않고 있었으며 교수자의 모의수업 지도 방법에 대해서도 매우 만족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경력을 바탕으로 한 실제적 수업지식과 기술이 있는 교수자에게 모의수업 준비단계와 평가단계의 최소 2회의 피드백을 받길 원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교육계획안 작성 원리 및 방법과 유아와 효과적 상호작용 및 발문에 대해 지도받고자 하였다. 피드백은 학급 구성원 모두와 교수자가 함께 참여하는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교수자 피드백 이외에는 영유아가 함께 참여하는 모의수업 경험을 요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