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chate control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초

Flyash를 이용한 일일복토재의 포설 사례 연구

  • 박상현;한완수;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386-389
    • /
    • 2002
  • It may be necessary to apply a daily fever to operate the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The daily cover helps to control nuisance factors such as the escape of odors, dusts and airborne emissions, and can control the population of disease vectors. Also it may be reduce the infiltration of rain, decreasing the generation of leachate and the potential for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Because of its usual availability and traditional usage as the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soil remains as the most common daily cover material. However, soil tends to reduce the volume of dumping waste c;3pacity in the landfill, it also reduces a period of using in the landfi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bout Alternative Daily Cover Materials (ADCMs)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landfill sites. Recently, The types of ADCMs are classified into geosynthetics, forms, spray-ons, indigenous materials. In this study, the authors have tested the spray type of Alternative Daily Cover(ADC) using by flyash, alum with cement. The development. of ADCMs will be highly effective in terms of prolongation using landfill.

  • PDF

복합차수층 조성기술을 이용한 폐기물매립지 바닥차수층 시공사례 (A Case Study of Bottom Liner Construction Using Composite Liner Technology in a Solid Waste Landfill)

  • 이규정;이남훈;박수영;전원표;이채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3호
    • /
    • pp.90-96
    • /
    • 2007
  • 폐기물 관리시설 중 하나인 폐기물매립지는 유해성분을 함유한 침출수와 가스로부터 발생되는 위생문제와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필요한 시설이며 이중에서 바닥차수층은 가스포집층과 더불어 반드시 설치되어져야 히는 공종이다. 매립된 폐기물에서 발생된 오염된 침출수는 지하수를 오염시키기 때문에 바닥치차수층은 내구성과 함께 $1{\times}10^{-7}cm/sec$ 이하의 저투수성을 확보해야만 한다. 본 고에서는 강원도 P군 폐기물 종합처리시설 중 "복합차수층 조성기술" 이 적용된 매립시설의 바닥차수층 공종과 관련하여 현장시공과정 상의 시험내용 및 품질관리 사항들을 요약, 정리하여 개발기술의 현장적용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시호 종자의 특성 및 발아촉진 방법 연구 (Seed Characteristics and Accelerating Method of Germination in Bupleurum falcatum)

  • 이은일;김석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84-394
    • /
    • 1996
  • 시호 종자의 발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과 종자의 특징을 연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호의 발아에 유리한 온도는 2$0^{\circ}C$이며, 호르몬 처리나 기타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해 발아율은 크게 증가되지 못했는데, 15$^{\circ}C$에서 발아시킬 경우 50~200 ppm의 GA$_3$을 처리했을 때 발아율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같은 온도에서 $10^{-2}$ ~$10^{-3}$M의 KNO$_3$을 처리한 경우에도 발아율은 3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2$0^{\circ}C$ 이상에서는 강력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호의 leachate를 상추의 종자에 처리했을 경우 발아율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므로 시호의 종자에는 발아저해제가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해부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종자의 배와 주공을 관찰한 결과 배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의 비율이 거의 50/50이며 주공 자체에는 문제가 없으므로 시호의 종자 발아율이 낮은 것은 근본적으로 배가 결여된 종자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안정화 처리된 비소오염토양의 장기 용출특성 (Long-Term Leaching Characteristics of Arsenic Contaminated Soils Treated by the Stabilization Method)

  • 유찬;윤성욱;백승환;박진철;이정훈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463-1474
    • /
    • 2008
  • In order to investigate stabilization effect and sustainability on As-contaminated farmland soils which were affected the abandoned mine site and stabilized by zerovalent iron(ZVI) and industrial by-products, batch-scale and pilot-scale tests were carried out. In batch tests, ZVI and industrial by-products(blast furnace slag, steel refining slag and oyster shell powder) were used in treatment materials to reduce the As leaching. Industrial by-products were mixed with As-contaminated soils, in the ratio of 1%, 3%, 5% and 7% on the weight base of dried soil. The results of batch-scale tests was shown that the reduction of As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all samples and it was expected that ZVI and steel refining slag were more effective than other treatment materials to stabilize As compounds. In pilot-scale tests, columns were filled with untreated soils and treated soils mixed with ZVI and steel refining slag in the same mixing ratio of 3%. Distilled water was discharged into the columns with the velocity of 0.3 pore volume/day. During the test, pH, EC, Eh and As concentration were measured in the regular term(1pore volume). after six months, pilot-scale tests were retested to investigate sustainability of treatment material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leachate from control column was continuously released during the test period and its concentration was greater than $100ug{\cdot}L^{-1}$ which was exceeded the national regulation of water discharged to river or stream ($50ug{\cdot}L^{-1}$). On the other hand, soil treated with ZVI and steel refining slag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leachate were lower than national regulation of water discharged to river or stream.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ZVI and steel refining slag could be applied to the farmland site as the alternative treatment materials.

  • PDF

토마토 수경재배에서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센서를 활용한 무배액 시스템에 적합한 코이어 배지의 Chip과 Dust 비율 구명 (Scheduling Non-drainage Irrigation in Coir Substrate Hydroponics with Different Percentages of Chips and Dust for Tomato Cultivation using a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Sensor)

  • 최은영;최기영;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8-255
    • /
    • 2013
  • 본 연구는 토마토 수경재배에서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FDR) 센서를 활용한 무배액 시스템에 적합한 코이어 배지의 chip과 dust 비율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 실험으로 chip 함량에 따른 일일 급액량, 배액량, 배지의 용적당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 식물생육, 과실 수량과 수분이용효율 측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시판 코이어 슬라브 중 chip과 dust 부피비율이 0 : 100%, 30 : 70%, 50 : 50%, 70 : 30%인 것과 대조구로 시판 rockwool 배지와 2층 슬라브, 즉 1층에 chip함량과 2층에 dust함량이 15 : 85%, 25 : 75%, 35 : 65%인 것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배지 중 0 : 100%와 rockwool 배지는 전 생육기간 동안 배액이 배출되지 않았고 나머지 모든 배지에서도 극소량의 배액이 배출되었다. 일일 평균 급액량은 시판 슬라브와 2층 슬라브 배지 모두에서 chip 함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식물 생육, 상품과 수량 및 수분이용효율은 chip과 dust의 비율이 0 : 100%인 시판 슬라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FDR센서에 의한 자동급액 방식으로 토마토 작물을 재배 할 때 chip과 dust 부피비율이 0 : 100%인 코이어 배지를 사용할 경우 식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수분을 이용하여 생산량이 증가되면서도 배액을 최소화하거나 배액을 창출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FDR 센서에 의해 자동 급액되는 시스템에서 1회 급액량과 급액간격 기능을 생육단계별로 조정하여 배지의 물리성에 따른 급액 일정에 대한 세밀한 실험이 앞으로 수행될 계획이다.

토양개량제와 수크령 식재에 따른 고농도 염화칼슘 염분저감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High Concentration Calcium Chloride(CaCl2) Salt Reduction Effect of Soil Amendment Agent and Planting Pennisetum alopecuroides)

  • 양지;박재현;윤용한;주진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45-354
    • /
    • 2020
  • 본 연구는 고농도 염화칼슘 처리 토양에서 토양개량제인 하이드로볼, 활성탄의 처리와 수크령 식재 유무에 따른 토양침출수의 화학적 특성과 토양 내 염분 저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고농도 제설제처리 염분토양에서 토양개량제 하이드로볼, 활성탄의 염분 저감 효과 및 수크령의 식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유리온실에 직경 10 cm, 높이 9 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수크령을 식재하고 무처리 (Cont.), 하이드로볼 (H), 활성탄 (AC), 수크령식재 (P), 하이드로볼 + 수크령식재 (H + P), 활성탄 + 수크령식재 (AC + P) 총 6개의 처리구로 나누었다. 염화칼슘 (CaCl2) 처리는 10 mg/L 농도의 수용액을 조제하여 2주 간격 1회 200mL씩 분주하였다. 토양침출수 분석은 pH와 EC, 염류계치환성양이온 (K+, Ca2+, Na+, Mg2+) 함량을 측정하였고, 수크령의 생육은 초장, 엽장, 엽폭, 엽수를 측정한 뒤 실험종료 후 생체중, 건물중, 건물률, T/R률을 조사 분석하였다. 토양침출수 화학성 분석결과, 토양산도는 처리구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모든 처리구에서 약산성을 띄었으며, 전기전도도는 H + P, P, AC + P, H, AC, Cont.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류계 치환성양이온함량에 있어서 토양 염류도의 지표라 할 수 있는 Ca2+ 항목에서 Cont., P, H, AC, H + P, AC + P 순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크령의 생육변화는 H + P, AC + P, P 순으로 초장, 엽장, 엽폭, 엽수 모든 항목에서 상대생장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하이드로볼과 활성탄은 제설제 피해지역 토양개량제로 활용가치가 높으며 수크령은 토양 내 고농도 염화칼슘 염분저감 식물소재로 적합한 수종이라 판단된다.

자주달개비 미세핵 분석법을 이용한 청주공단주변 토양침출수의 유전독성 평가 (Study on the genotoxicity of soi1 leachate from two polluted sites in Cheongju with Tradescantia-micronuclus assay)

  • 김진규;이병헌;신해식;이진홍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
    • /
    • pp.119-122
    • /
    • 2002
  • Soil contaminants are common in industrialized sites, They can affect directly soil and indirectly ground water and food. Soil mutagens and carcinogens are of great interest due to their potentially hazardous effects on human heal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genotoxicity of contaminated soils, Soil leachates were collected from two polluted sites and one control site in Cheongju. Tradescantia BNL 4430 clone was used as experimental matierials. Chromosomal damages induced by soil leachates were detected by the Tradescantia-micronucleus assay. It is known from the result that Tradescantia-micronucleus assay is an excellent botanical tool for detection of biological risk due to environmental toxicants.

  • PDF

Assessing the impact of nanoclay on the permeability and geotechnical properties of fine-grained soils in landfill liners

  • Mahdi Nikbakht;Fariba Behrooz Sarand;Rouzbeh Dabiri;Masoud Hajialilue Bonab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19-35
    • /
    • 2024
  • Presented Article evaluates the effect of nanoclay on permeability, compressive strength, and plasticity behavior of fine-grained soil related to the Tabriz landfill site. In this regard, comprehensive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on taken soil samples (42 specimens) with aim of design high-performance liners for Tabriz landfill. The samples was mixed by 0% (control) 3%, 6% and 9% nanoclay and prepared in 1, 7, 14 and 28 days before testing stage. Index tests like particle-size, permeability, atterberg limits,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UCS) was conducted on samples. The results show that studied soil is classified as CL in USCS classification and atterberg limits measured as LL is 37, PL is 20.67, and PI is 16.33 which increase into 75, 45, and 30. The assessment presented the LL was increased about 20.27% based on increasing in nanoclay from 0% to 9%. These variations for PL and PI were 21.77% and 18.37%, respectively. Also, the and soil's compressive strength is increase from 120 kPa to 188 kPa and permeability is estimated as 4.25×10-6 m/s which reduced into the 6.34×10-9 m/s with respect the naboclay content increases form 0% to 9%.

난지도 매립지 주변 지하수환경의 오염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of the Nanji Uncontrolled Landfill and its Surrounding Hydrogeologic Environment)

  • 이철효;한정상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7-36
    • /
    • 1996
  • 난지도 매립지는 바닥차수재나 침출수 차집시설과 같은 오염방지시설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표적인 불량 매립지로써 투수성 충적층상에 조성되어 현재 그 인근 지하수와 지표수환경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침출수에 의해 오염된 주변 지하수환경의 오염운(구간) 탐지시 사용할 수 있는 오염지시인자를 결정하고 난지도 매립지를 중심으로 거리별로 설치된 10개의 관측정과 1개의 BTMW*정을 이용하여 물시료를 채취 분석하거나 Electric data logger를 이용하여 그 오염물질의 수직 및 수평적인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온도와 전기전도도는 매립지에서 가까운 지점일수록 높았으며 침출수는 지표하 85 m 지점까지 거동하였다. 오염성분중 전기전도도와 온도는 매립지 인근지에서 오염지시인자임이 판명되었다. 완전스크린설치정(Fully screened well)에서 측정한 오염물질의 심도별 농도는 공내 전구간을 통해 일정하거나 하부구간이 약간 높은데 반해 BTMW에서 측정한 오염물질의 농도는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점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상하구간이 완전히 관통된 완전스크린설치정에서는 오염물질의 온도나 밀도차이 혹은 침출수의 수직흐름 때문에 농도가 공내에서 평준화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립지 인근지역에서 침출수의 수직 및 수평분포상태나 그 거동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BTMW나 다점시료 채취정(multi level sampling well)을 이용하여 물시료를 채취 분석한 값을 이용해야 한다.

  • PDF

고온성 박테리아를 이용한 섬아연석의 용출 특성 (The Bioleaching of Sphalerite by Moderately Thermophilic Bacteria)

  • 박천영;정경훈;김봉주
    • 자원환경지질
    • /
    • 제43권6호
    • /
    • pp.573-587
    • /
    • 2010
  • 고온성박테리아를 이용하여 섬아연석으로부터 유용금속이온을 효과적으로 용출시키기 위하여 $42^{\circ}C$, $52^{\circ}C$, $62^{\circ}C$에서 미생물용출실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이때 미생물용출실험이 진행되는 10일 동안, 용출액의 pH는 2.40에서 2.5 범위를 유지하였으며 미생물 용출실험이 종료될 때까지 막대 모양의 박테리아들이 섬아연석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계속해서 관찰되었다. 용출온도를 $42^{\circ}C$, $52^{\circ}C$, $62^{\circ}C$로 증가시키면, 비교시료에서 용출 함량이 증가되는 금속은 Zn과 Pb이고, 박테리아 용출 시료에서는 Fe 용출 양이 증가하였다. 용출 온도를 $42^{\circ}C$, $52^{\circ}C$, $62^{\circ}C$로 증가시켰을 때, Zn 이온은 비교시료에서 보다 박테리아 용출 시료에서 각각 9.5배, 2.8배, 2.9배 이상으로 높게 용출되었고, Pb 이온은 비교시료에서 보다 박테리아 용출 시료에서 각각 14.8배, 7.4 배, 3.8배 이상으로 높게 용출되었다. Fe 이온의 비교시료에서 용출 온도를 $42^{\circ}C$, $52^{\circ}C$, $62^{\circ}C$로 증가시켜도 전혀 용출되지 않았지만, 박테리아 Fe 함량이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