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roots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31초

투명표본(透明標本)에 의(依)한 하악제1대구치(下顎第1大口臼齒)의 근관형태(根管形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F THE ROOT CANAL MORPHOLOGY OF HUMAN MAXILLARY FIRST MOLAR WITH TRANSPARENT SPECIMENS)

  • 김계용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권1호
    • /
    • pp.12-16
    • /
    • 1977
  • One hundred human maxillary first molars were injected with china ink, decalcified, cleared, and used in vitro study to determine the number of root canals, the frequency and location of lateral canals, canals per root, and frequency of apical delt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siobuccal root was found to contain a single primary canal in 53% of the teeth studied and two canals in 47 % of the teeth studied. 2. In mesiobuccal roots with two canals, the seperated apical foramen appeared 32% of the specimens and the common apical foramen 15% of the specimens. 3. Of the 347 canals studied, 26.9% of the canals were found to contain lateral canals and these ramifications were mainly located in the apical third of the root.

  • PDF

근중 분포에 의한 포장된 백삼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by Root Weight Distribution in White Ginseng Package)

  • 밝훈;김영희;양차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219-223
    • /
    • 1993
  • Assessment of root weight grade system for the numeral definition in Korea ginseng was tried by investigation of 13 boxes of the 15-root-grade of 4-year-old white ginseng as a model. In this case satisfaction to theoretical value was 58% in root weight and 50% in root number.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was high (35%) for individual root weight in package. The CV of tap root weight 1 among package is low (7.1%)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ap root weight : and lateral root weight among roots. The mean percentage of tap root to root weight in each package ranged 61 to 74% with CV range of 16.5 to 33.2%. The CV was not much different between 1st and 2nd lateral root weight and the means was above 60%. Strict practice of numeral definition of root weight grade system will be prerequisite for chemical standardization of Korea ginseng.

  • PDF

투명표본(透明標本)에 의(依)한 상악제이구치(上顎第二臼齒)의 근관형태(根管形態)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AY ON THE ROOT CANAL MORPHOLOGY OF HUMAN MAXILLARY SECOND MOLAR WITH TRANSPARENT SPECIMENS)

  • 이정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6권1호
    • /
    • pp.83-86
    • /
    • 1980
  • Fifty human maxillary second molars were injected with china ink, decalcified, cleared, and used in vitro study to determine the number of root canals, the frequency and location of lateral canals, canals per root, and frequency of apical delt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siobuccal root was found to contain a single primary canal in 62% of the teeth studied and two canals in 38% of the teeth studied. 2. In mesiobuccal roots with two canals, the seperated apical foramen appeared 24% of the specimens and the common apical foramen 14% of the specimens. 3. Of the 169 canals studied, 23.1% of the canals were found to contain lateral canals and these ramifications were mainly located in the apical third of the root.

  • PDF

원료삼 부위별 사포닌함량 수준에 관한 연구 (Saponin Contents in Various Parts of Raw Red Ginseng)

  • 김만욱;이정숙;남기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8-14
    • /
    • 1984
  • A statistical analysis of saponin contents in various parts of raw red ginseng was studied. Saponin contents in main lateral and fee roots showe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each other. Saponin contents in raw red ginseng ha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oot diameter (r= -0.926**). The estimation of saponin contents at mixing ratios of parts of root appeared to be possible.

  • PDF

Lumbar foraminal neuropathy: an update on non-surgical management

  • Choi, Young Kook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2권3호
    • /
    • pp.147-159
    • /
    • 2019
  • Lumbar foraminal pathology causing entrapment of neurovascular contents and radicular symptom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foraminal stenosis. Foraminal neuropathy can also be derived from inflammation of the neighboring lateral recess or extraforaminal spaces. Conservative and interventional therapies have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foraminal inflammation, fibrotic adhesion, and pain. This update reviews the anatomy, pathophysiology, clinical presentation, diagnosis, and current treatment options of foraminal neuropathy.

고려인삼 신품종 특성 (Characteristics of New Cultivars in Panax ginseng C.A. Meyer)

  • 이성식;이장호;안인옥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2005년도 창립30주년기념 추계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18
    • /
    • 2005
  • 고려인삼 8개 신품종의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다경발생율이 연풍은 45%로 가장 높았고, 금품은 7%로 가장 낮았으나, 지상부생육은 금품이 가장 양호 하였고, 연풍이 가장 낮았다. 2) 종자결실율은 금품이 85.4%로 가장 높았으며, 천풍이 69.1%로 가장낮았다. 종자수확량은 연풍이 108.3개로 가장많았고, 천풍이 77.5개로 가장 적었다. 3) 엽소발생율은 천풍이 타품종보다 각년생에서 높았으나 연풍은 다소 낮았다. 4) 뿌리 부위별 무게분포비율에서 동체의 비율이 천풍 등 5품종은 49%-55.9%로 자경재래종 63,1%보다 낮았으나, 지근의 비율은 5개 신품종이 19,3%-23.3%로 자경재래종 13.2% 보다 높았고, 세근은 차이가 없었다. 5) 수량은 연풍>금풍>고풍>천풍=선풍>자경재래증 순으로 연풍이 가장 높았고,동장은 천풍이 8.0cm로 가장 길었으나 연풍이 6.4cm로 가장 짧았다. 적변삼 발생율은 신품종이 0.2-9,5%로 자경재래종 16.3%보다 현저히 낮았다. 6) 천삼의 생출율은 천풍>금풍>고풍>선풍>연풍>청선>자경재래종의 순서로 천풍이 높았으며, 천지삼의 생출율도 같은 경향이었다. 7) 품종별 동체의 단위무게 당 total ginsenosides 함량은 금풍 8.53mg, 연풍8.13mg, 고풍7.47mg로 높았으나, 천풍과 선풍은 각각 5.73mg과 4.87mg로 다소낮았다.

  • PDF

간척지의 숙답화에 따른 수도근군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oot Development of the Rice Plants (Oryza sativa L.) in Accordance with Salt- diminution at the Saline Paddy Field)

  • 정원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9-304
    • /
    • 1983
  • 간척지에서 생육된 수도의 근군형성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염해의 정도가 서로 다른 3구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고염지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은 저염지에서 생육된 수도의 근군보다 천근성을 나타냈다. 2. 고염지에서 생육된 수도의 근군을 구성하는 관근수는 저염지에서 생육된 수도의 근군을 구성하는 관근수보다 적었다. 3. 각 요소에서 출근된 관근수도 고염지에서 생육된 수도가 저염지에서 생육된 수도보다 적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이앙후 출근하는 요소에서부터 나타났다. 4. 각 처리구의 관근에 형성된 분지근의 밀도는 고염지에서 생육된 수도가 저염지에서 생육된 수도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5. 각 처리구의 관근에 형성된 근모의 형성양상은 고염지에서 생육된 수도가 저염지에서 생육된 수도에 비하여 근모형성율이 낮고 또 근모장도 짧은 경향을 나타냈다.

  • PDF

배양토(培養土), 균근접종(菌根接種) 및 질소시비(窒素施肥) 수준(水準)이 2년생(年生) 해송묘(海松苗) 생장(生長)과 균근형성(菌根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Soil Mixtures, Nitrogen Levels and Ectomycorrhizal Inoculation on Formation of Mycorrhizae and Growth of Two - Year - Old Black Pine Seedlings)

  • 오광인;박화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3호
    • /
    • pp.309-315
    • /
    • 1990
  • 본(本) 실험(實驗)은 배양토(培養土), 모래밭버섯버섯균(菌) 접종(接種) 및 질소시비(窒素施肥)가 1년생(年生) 해송분묘(海松盆苗)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다. 1. Vermiculite 구(區)에서는 사질양토구(砂質養土區)에서 보다 세근(細根) 및 균근수(菌根數)의 증가(增加)를 볼 수 있었고 묘고(苗高) 및 총건중(總乾重)이 증가(增加) 하였다. 2. 모래밭버섯균(菌) 접종구(接種區)가 무접종구(無接種區)보다 2년생(年生) 해송묘(海松苗)에 있어서 제일차(第一次) 측근수(側根數), 세근수(細根數) 및 총건중(總乾重)이 증가(增加)가 현저(顯著)하였다. 3. 2년생(年生) 해송분묘(海松盆苗) 생장(生長)은 전년도(前年度) 균근균(菌根菌) 접종(接種) 및 시비수준(施肥水準)에 크게 영향(影響)을 받았다.

  • PDF

Resilon을 이용한 근관충전 시 레진계열의 근관실러와 자가-접착 레진시멘트에 따른 미세누출 (MICROLEAKAGE OF RESILON BY METHACRYLATE-BASED SEALER AND SELF-ADHESIVE RESIN CEMENT)

  • 함선영;김진우;신혜진;조경모;박세희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8년도 Spring Scientific Meeting(the 129th) of Korean Academy if Conservative Dentistry
    • /
    • pp.204-21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Resilon을 이용한 근관충전시 methacrylate-based root canal sealer와 자기-접착 레진시멘트의 사용에 따른 치근단 미세누출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70개 단근치를 ProFile NiTi rotary instrument와 GG drill을 이용해 근관성형 하였다. 치근을 4개의 실험군 (n = 15)과 2개의 대조군 (n = 5)으로 분류하여 측방가압법으로 충전하였다 <1군: GP + AH-26, 2군: Resilon + RealSeal primer&sealant, 3군: Resilon + Rely-X Unicem, 4군: Resilon + Biscem> 7일간 1% 메틸렌블루 용액에 침적 후 수직절단하여 치근첨부터 색소의 침투도를 측정하였다. 1 군에서 가장 적은 미세누출값이 측정되었고, 2, 3, 4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자가-접착 레진시멘트는 Resilon을 이용한 근관충전시 sealer로 사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

Resilon을 이용한 근관충전 시 레진계열의 근관실러와 자가-접착 레진시멘트에 따른 미세누출 (MICROLEAKAGE OF RESILON BY METHACRYLATE-BASED SEALER AND SELF-ADHESIVE RESIN CEMENT)

  • 함선영;김진우;신혜진;조경모;박세희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3호
    • /
    • pp.204-21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Resilon을 이용한 근관충전시 methacrylate-based root canal sealer와 자가-접착 레진시멘트의 사용에 따른 치근단 미세누출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70개 단근치를 ProFile NiTi rotary instrument와 GG drill을 이용해 근관성형 하였다. 치근을 4개의 실험군 (n = 15)과 2개의 대조군 (n = 5)으로 분류하여 측방가압법으로 충전하였다. <1군: GP + AH-26, 2군: Resilon + RealSeal primer&sealant, 3군: Resilon + Rely-X Unicem, 4군: Resilon + Biscem > 7일간 1% 메틸렌블루 용액에 침적 후 수직절단하여 치근첨부터 색소의 침투도를 측정하였다. 1군에서 가장 적은 미세누출값이 측정되었고, 2, 3, 4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자가-접착 레진시멘트는 Resilon을 이용한 근관충전시 sealer로 사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