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roots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33초

투명표본에 의한 상악제3대구치의 근관형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oot Candl Morphology of Hyman Maxillary Third Molar With Transparent Specimens)

  • 이정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1권6호통권169호
    • /
    • pp.467-472
    • /
    • 1983
  • Thirty seven human maxillary third mooars were injected with china ink, decalcified, cleared, and used in vitro study to determine the number of root canals the frequency and location of lateral canals, canals per root, and frequency of apical delt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Less than half of the examined teeth showed 3 roots and 3 canals. 2. The mesiobuccal root was ound to contain a single primary canal in 65.4% of the teeth examined and two canals in 34.6% of the teeth studed. 3. In mesiobuccal roots with two canals, the separated apical foramen appeared 30.8% of the specimen concerned, but no common apical foramen appeared. 4. Of the 106 canals studied, 46.2% of the canals were found to contain lateral canals and these ramifications were mainly located in the apical third of the root.

  • PDF

Analysis of seismic behaviors of digging well foundation with prefabricated roots

  • Wang, Yi;Chen, Xingchong;Zhang, Xiyin;Ding, Mingbo;Gao, Jianqiang;Lu, Jinhua;Zhang, Yongliang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1권6호
    • /
    • pp.641-652
    • /
    • 2021
  • Digging well foundation has been widely used in railway bridges due to its good economy and reliability. In other instances, bridges with digging well foundation still have damage risks during earthquakes. In this study, a new type of digging well foundation with prefabricated roots was proposed to reduce earthquake damage of these bridges. Quasi-static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ilure mechanism of the root digging well foundation, and then to analyze seismic behaviors of the new type well foundation. The test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prefabricated roots could effectively limit the rotation and uplift of the digging well foundation and increase the lateral bearing capacity of the digging well foundation. The elastic critical load and ultimate load can be increased by 69% and 36% if prefabricated roots were added in the digging well foundation. The prefabricated roots drived more soil around the foundation to participate in working, the stiffness of the bridge pier with root digging well foundation was improved. Moreover, the root participation could improve the energy dissipation capacity of soil-foundation-pier interaction system. The conclusions obtained in this paper had important guiding significance for the popularization and application of the digging well foundation with prefabricated roots in earthquake-prone zones.

Influence of Initial Seedling Size and Root Pruning Intensity on Growth of Transplanting Seedling of Quercus acutissma

  • Na, Sung-Joon;Lee, Do-Hyung;Kim, In-Si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09-717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oot pruning intensity in combination with different initial seedling size on the growth of transplanting seedlings of Quercus acutissima. One-year-old seedling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ir height, i.e. small (< 15 cm), medium (25-35 cm) and large size (35 cm <). Root of seedlings was pruned by three intensity such as, leaving 5 cm (severe), 10 cm (medium) and 15 cm (light) of taproot from the root-collar. After one year, we investigated survival rate, height and root-collar diameter (RCD) increment and final shoot dry weight. Also we measured characteristics of newly developed lateral roots such as number, total length, dry weight and diameter. Severe root pruning showed the lowest survival rate in all seedling size. Height increment, RCD increment and shoot dry weight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intensity of root pruning. Seedlings of medium and light root pruning showed similar above-ground growth and dry weight of lateral roots. More large seedlings showed good survival rate, height increment and final shoot dry mass in all root pruning intensity. Therefore, one-year-old seedlings of Q. acutissima should be pruned taproot by 10 cm and transplanted to obtain excellent performanc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planting work.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hat applying to different root pruning intensity depending on initial seedling size for producing 2-year-old seedlings with excellent growth and high quality.

홍삼의 기능적 특성에 대한 볶음 조건 모니터링 (Monitoring of Roasting Conditions for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Lateral Root of Red Ginseng)

  • 전은주;김교연;이정은;;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96-404
    • /
    • 2008
  •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홍삼 지근의 볶음 온도와 시간에 따른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을 모니터링하고 최적 볶음조건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가용성 고형분, 총 페놀함량 및 항산화성은 볶음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산성다당체 함량은 볶음시간보다 볶음온도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홍삼 지근의 기능성 관련 성분을 고려한 최적 볶음조건은 볶음온도 $194.5{\sim}210.9^{\circ}C$와 볶음시간 $13.8{\sim}20.0$분으로 예측되었다.

BA 처리 직후의 Aeration 온도와 기간이 콩나물의 생장과 세근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eration Temperature and Period after BA Treatment on Growth and Lateral Root Formation of Soybean Sprouts)

  • 강진호;전병삼;조용준;박철종;윤수영;전승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16-221
    • /
    • 2004
  • 콩나물 재배에서 생장조절제 BA 흡수량은 처리방법에 따라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BA 처리효과를 극대화하여 처리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BA 처리 직후 첫 관수까지 경과시간이 콩나물의 생장과 세근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 ppm BA용액에 5시간 침종한 풍산 나물콩, 소원콩 및 준저리의 종자를 재배시 첫 관수까지 20, 30 및 $40^{\circ}$로 aeration 온도를 달리하거나, $25^{\circ}$에서 1, 2, 3, 4시간으로 aeration기간을 달리하여 처리한 후에 6일간 재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침종과 첫 관수간 aeration온도 및 기간에 따라 각공시품종의 발아 및 생장 정도는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콩나물의 발아 및 생장, 세근발생 개체비율, 개체당 세근수 및 생체중은 BA 용액에 침종한 후 첫 관수까지의 aeration온도의 영향은 미미한 반면, 공시품종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세근발생 개체비율은 aeration기간을 4시간으로 길게 할수록 감소하였던 반면, 개체당 세근수는 3시간 이상의 aeration 기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하배축 및 뿌리의 길이는 1시간의 aeration을 가할 경우 가장 길었으나, 3시간 이상 aeration을 가할 경우 차이가 없었다. 5. 자엽, 하배측, 뿌리 및 전체 생체중도 1시간 aeration을 가할 경우 가장 많았으며, 3시간 이상 aeration을 가할 경우 차이가 없었다

옥수수(Zea mays) 원뿌리의 통기조직 발달에 미치는 에틸렌 전구체, 옥신, 메틸자스몬산의 효과 (Effects of Ethylene Precursor, Auxin and Methyl Jasmonate on the Aerenchyma Formation in the Primary Root of Maize (Zea mays))

  • 호종윤;맹소현;박웅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43
    • /
    • 2015
  • 옥수수(Zea mays) 원뿌리에서 에틸렌 전구체인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ACC), indole-3-acetic acid (IAA) 그리고 methyl jasmonate (MeJA)가 통기조직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물호르몬 처리는 원뿌리의 종단 구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control과 호르몬 처리된 뿌리의 비교 가능한 위치를 정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하여 원뿌리의 정단을 PR0, 기부를 PR100이라 정의하고 이 두 지점 사이를 길이에 비례하여 PR25, PR50, PR75로 구분하였다. 대조군 뿌리의 PR25와 PR50 부분에서는 통기조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PR75 부분에서는 드물게 통기조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PR75 부위의 통기조직 면적은 ACC 또는 IAA가 존재할 때 증가하였다. 반면, MeJA는 옥수수 원뿌리가 침수되지 않았을 때와 침수되었을 때 서로 다른 차등 효과를 나타내었다. 뿌리가 침수되지 않았을 때 MeJA는 통기조직의 발달을 억제하였다. 반면, 뿌리를 침수 시키면 통기조직의 면적이 증가하는데 그 면적은 MeJA에 의하여 더욱 증가되었다. 한편, 곁뿌리 원기는 그 주변 피층세포의 통기조직 발달에 수반되는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곁뿌리 원기에 의해 억제되는 통기조직의 발달은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통기조직의 발달을 촉진하는 세 가지 호르몬들에 의해서도 회복되지 않았다. 이는 발달하는 곁뿌리 원기가 억제하는 통기조직 발달 조절의 세부 단계는 식물호르몬들이 작용한 이후 단계일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초기 묘목크기와 단근강도가 이식 후 졸참나무의 지상부 및 뿌리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itial Seedling Size and Root Pruning Intensity on Above-ground and Root Development in Quercus serrata Seedlings after Transplanting)

  • 나성준;김인식;이도형;이위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03-510
    • /
    • 2013
  • 본 연구는 졸참나무의 건전한 1-1 조림용 묘목을 생산하기 위해 초기 묘고가 다른 묘목에서 적절한 단근의 강도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1-0 노지묘의 크기를 구분하여 단근(5, 10, 15 cm)을 실시하였다. 1년의 생육기간이 지난 시점에서 묘고를 비롯한 지상부 생장량과 주근 및 측근의 발달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상부의 생장은 초기 묘목 크기와 단근에 의해 다양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측근의 발달은 묘목 크기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묘고가 큰 묘목군에서는 15 cm로 단근된 묘목이 가장 우수한 지상부 생장량을 나타내었으며, 초기 묘고가 작은 묘목군에서는 15 cm와 10 cm로 단근된 묘목이 우수한 생장량을 나타내었다. 묘목 크기에 따른 생장은 초기 묘고가 큰 묘목이 작은 묘목보다 우수한 지상부 생장을 나타내었으며, 주근의 재생산량과 새롭게 발달된 측근의 수도 많았다. 하지만 측근의 길이 및 무게 생장은 작은 묘목이 더 많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품질의 묘목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묘고가 큰 1-0묘를 생산하는 것이 다양한 장점을 가지며, 초기 묘고가 26 cm 이상의 큰 묘목은 15 cm로 단근하고, 초기 묘고가 24 cm 이하의 묘목은 10 cm로 단근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단근길이라고 판단된다.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처리(處理)가 콩나물의 생육(生育) 및 세근발생(細根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 I.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의 단용(單用) 및 혼용처리(混用處理)가 콩나물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on the Growth and Lateral Root Formation in Soybean Sprouts - I.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on the Growth in Soybean Sprouts)

  • 강충길;이정명;판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6-68
    • /
    • 1989
  • 콩나물의 생육(生育) 및 세근발생(細根發生)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의 처리효과(處理效果)에 관(關)하여 연구(硏究)한 중요(重要)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콩나물 신장(伸長)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를 보면 침종(浸種) 3일후(日後)부터 활발(活發)히 이루어져 이후(以後) 9일(日) 까지는 일평균(日平均) 3.8cm씩 거의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부위별(部位別)로는 침종(浸種) 7일(日) 이후(以後)부터는 하배축(下胚軸)의 신장(伸長)이 둔화(鈍化)되고, 뿌리신장(伸長)은 오히려 더 촉진(促進)되었다. 세근(細根)은 침종(浸種) 5 일후(日後)부터 발생(發生)하기 시작(始作)하여 9일(日)까지 매일(每日) 4.4개(個) 정도(程度)의 증가(增加)를 보였다. 2. auxin 류(類)는 고농도(高濃度)로 처리(處理)되었올 때는 콩나물의 하배축(下胚軸) 신농(伸農)과 세근발생(細根發生)을 억제(抑制)하고 비대(肥大)를 촉진(促進)하였으나 근장(根長), hook 비대(肥大) 등(等)에는 뚜렷한 효과(效果)를 보이지 않았으며, 자엽중(子葉重)은 약간 증가(增加)시키는 경향(傾向)이었다. auxin 류(類)(IAA, IBA, NAA, 2,4-D) 중(中)에서는 2,4-D가 가장 강(强)한 하배축(下胚軸) 비대촉진(肥大促進) 및 세근발생(細根發生)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보였다. 3. cytokinin 류(類)인 kinetin, BA, 4PU-30, zeatin, zeatin riboside의 효과(效果)를 동일처리농도(同一處理濃度)에서 비교(比較)하면 4PU-30이 신장억제(伸長抑制), 비대촉진(肥大促進), 세근발생(細根發生) 억제효과(抑制效果)가 가장 현저(顯著)하였으며, 다음이 BA였고, kinetin 등(等)은 그 효과(效果)가 매우 낮았다. 4PU-30 처리(處理)는 자엽(子葉)이 틀어지는 등(等)의 약해(藥害)를 보였다. 4. auxin과 cytokinin의 처리효과(處理效果)를 비교(比較)할 때 하배축(下胚軸)의 비대(肥大)에는 auxin 류(類)인 2,4-D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인데 비(比)해 발근억제(發根抑制)에는 cytokinin의 효과(效果)가 현저(顯著)하였는데 특(特)히 4PU-30이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5. BA의 처리농도별(處理濃度別)(5, 10, 12.5, 15, 20, 25ppm) 효과중(效果中) 세근발생(細根發生)이 효과적(效果的)으로 억제(抑制)될 수 있는 최저농도(最低濃度)는 12.5ppm 이었다. 콩나물의 생산(生産)에는 BA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이며 그 농도(濃度)는 12.5ppm 이나 15ppm이 적당(適當)할 것으로 생각되며, BA 단용처리(單用處理)로서 인돌비의 효과(效果)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6. abscisic acid는 콩나물의 비대(肥大) 및 신장(伸長)에 뚜렷한 영향(影響)을 주지는 못하였으나 고농도(高濃度) 처리(處理)에서만 세근발생(細根發生)이 약간 억제(抑制)되었다. 7. ethephon 처리(處理)는 콩나물의 전장(全長), 하배신장(下胚伸長), 근장(根長)의 신장(伸長)을 억제(抑制)하고 하배축(下胚軸)의 비대(肥大)를 촉진(促進)하였는데,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을수록 그 효과(效果)가 현저(顯著)하였다. 8. cytokinin과 ethephon의 혼용처리(混用處理)는 cytokinin의 단용처리(單用處理) 효과(效果)와 유사(類似)하였으나 ethephon의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을수록 최대직경(最大直徑)과 자엽중(子葉重)은 증가(增加)하고 근중(根重)은 오히려 억제(抑制)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In vitro Induction of Tetraploid Roots by Various Pretreatments from Anther of Panax ginseng C. A. Meyer

  • Lee, Jung-Hye;Kim, Yu-Jin;Jung, Dae-Young;Shim, Ju-Sun;Kim, Ik-Hwan;Yang, Deok-Ch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65-71
    • /
    • 2009
  • This experiment was done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induction of tetraploidy in Panax ginseng C. A. Meyer using bud length, temperature and plant growth regulator pretreatments. Highest callus formation was obtained when the medium was inoculated with flower bud in the size of 2-3 mm in length.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callus formation was high when treated at $4^{\circ}C$ for 4-5 days. Among the treatments of growth regulators and different concentration, highest callus formation was observed in combination of 5 mg/L 2,4-D and 1 mg/L kinetin for P. ginseng. As a result of flow cytometer analysis, all 7 adventitious roots were confirmed as tetraploidys. Cytolog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chromosome number of tetraploid roots was 96, while that of diploid roots was 48. Tetraploid ginseng roots were inoculated to flower bud size of 2-3 mm in length. The callus formation was optimum when treated with 1 mg/L 2,4-D at $4^{\circ}C$ for 5 days. Compared with control roots, tetraploid roots were thicker and longer and had few lateral branches. Fresh weight of tetraploid root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control roots.

간척지에서 수도 및 기타작물의 내염성에 관한 연구 11. 수도의 염분묘 및 수묘근의 조직학적 차이와 염분지에서의 발근에 관하여 (Study on the Salt Tolerance of Rice and Other Crops in Reclaimed Soil Areas 11. On the Hist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Roots of the Salt, Land and Water Bed Seedlings of Rice and their Rooting in Saline Soil)

  • 임형빈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3권4호
    • /
    • pp.13-22
    • /
    • 1970
  • The rice variety, Kwanok, was reared in the water, land and salt seed beds and transplanted to the reclaimed soil area having an average of 0.48% salt content (0.67% at the end of April). The plant height of land bel seedlings at transplanting stage was short but the dry-weight/plant-height ratio was large and the rooting ability was vigorous remarkably after transplantation in the salty area. The central cylinder, vessels, sclerenchyma, endodermis and other mechanical tissues of the root of land bed seedlings were well developed while the size of cortical cell layers were small. The cytoplasm of the cortical parenchyma at the root tips seemed to be most abundant in the land bed seedlings. The formation of the aerial cavity in the cortex of primary root was rapid and it seemed that the developmental mechanism of the aerial cavity in the rice plant roots wa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lateral roo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