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n hea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건자재활용을 위한 축열용 다공성 미립자 상변환 물질 흡착 특성 (Charateristics on the PCM absorbed porous media as thermal storage applicable for construction material)

  • 이효진
    • KIEAE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107-112
    • /
    • 2017
  • Purpose: Both silica gel and activated carbon black particles were adopted for use as PCM absorbed porous media applicable as construction materials. To investigate usable methods for absorbing PCM into the media, they were soaked into PCM and also tested for enhancement of PCM absorption into them. Method: To test PCM absorption into some porous media such as both ${\varphi}1{\sim}2mm$ and $10{\mu}m$ silica gels, and $50{\mu}m$ activated carbon black, $43^{\circ}C$ PCM was used as a laten heat material. The method, soaking into PCM was applied to this study, and the media were moderately rotated by centrifuge to have the extra PCM flow out. DSC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lting and solidifying of the PCM absorbed into the porous media. Result: It was found that PCM was absorbed into the porous media by over 85 wt% of all particles. In addition, it was noted that the ultrasonic vibrator was accelerating the PCM absorption into the particles to three times higher speed than simple soaking. Centrifuge was adopted to remove extra PCM sticking on the particle surfaces and extra PCM was moderately removed from the surfaces of the particles. DS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latent heat of the absorbed PCM particles was 160 J/g, and the melting temperature was approximately $40^{\circ}C{\sim}50^{\circ}C$.

축열건축자재 적용을 위한 Hexadecane/xGnP SSPCM 제조 및 열적특성 (Preparation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Hexadecane/xGnP Shape-stabilized Phase Change Material for Thermal Storage Building Materials)

  • 김석환;정수광;임재한;김수민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73-78
    • /
    • 2013
  • Hexadecane and exfoliated graphite nanoplate (xGnP)composite was prepared as a shape-stabilized phase change material (SSPCM) in a vacuum to develope thermal energy storage. The Hexadecane as an organic phase change material (PCM) is very stable against phase separation of PCM and has a melting point at $18^{\circ}C$ that is under the thermally comfortable temperature range in buildings. The xGnP is a porous carbon nanotube materi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Fourier transformation infrared spectrophotometer (FT-IR)were used to confirm the chemical and physical stability of Hexadecane/xGnP SSPCM. In addition, therm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by De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he specific heat of Hexadecane/xGnPSSPCM was $10.0J/g{\cdot}K$ at $21.8^{\circ}C$. The melting temperature range of melting and freezing were found to be $16-25^{\circ}C$ and $17-12^{\circ}C$. At this time, the laten heats of melting and freezing were 96.4J/g and 94.8J/g. The Hexadecane was impregnated into xGnP as much about 48.8% of Hexadecane/xGnP SSPCM's mass fraction.

서해 중부 해상 대기의 연직구조 분석 (Analysis of Vertical Structure of Atmosphere on the Middle Part of the Yellow Sea)

  • 윤용훈;임주연;김백조;김태희;서장원;조하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2-22
    • /
    • 2000
  • 상층과 하층의 대기구조 특성을 알아내기 위하여, 해양의 특성을 잘 표현한다고 사료되는 섬(충남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을 관측지점으로 선택하여 라디오존데를 이용하여 대기의 연직구조를 관측하였다. 관측결과를 이용하여, 저 고기압이 통과할 때의 상대습도, 기온과 바람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경우에 대해 결과치들을 비교하였다. 해양과 육상에서의 대기구조를 비교하기 위하여 오산의 관측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대습도가 고 · 저기압의 통과에 따라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저기압이 다가올 때는 상대습도는 하층보다 상층에서 먼저 증가하였으나 고기압이 다가올 때는 상층에서 10%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또, 상대습도는 변화폭이 육상에서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 해양과 육상에서의 수증기간의 관계를 계절별, 그리고 일별로 동시간 관측을 통해 찾고자 한다. 가하였으나 고기압이 다가올 때는 상층에서 10%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또, 상대습도는 변화폭이 육상에서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 해양과 육상에서의 수증기간의 관계를 계절별, 그리고 일별로 동시간 관측을 통해 찾고자 한다.

서해 중부 해상 대기의 연직구조 분척 (Analysis of Vertical Structure of Atmosphere on the Middle Part of the Yellow Sea)

  • 윤용훈;임주연;김백조;김태희;서장원;조하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39
    • /
    • 2000
  • 상층과 하층의 대기구조 특성을 알아내기 위하여, 해양의 특성을 잘 표현한다고 사료되는 섬(충남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을 관측지점으로 선택하여 라디오존데를 이용하여 대기의 연직구조를 관측하였다. 관측결과를 이용하여, 저 고기압이 통과할 때의 상대습도, 기온과 바람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경우에 대해 결과치들을 비교하였다. 해양과 육상에서의 대기구조를 비교하기 위하여 오산의 관측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대습도가 고 저기압의 통과에 따라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저기압이 다가올 때는 상대습도는 하층보다 상층에서 먼저 증가하였으나 고기압이 다가올 때는 상층에서 10%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또, 상대습도 변화폭이 육상에서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 해양과 육상에서의 수증기간의 관계를 계절별, 그리고 일별로 동시간 관측을 통해 찾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