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 Joseon

검색결과 590건 처리시간 0.028초

영건의궤로 살펴본 벽(壁)의 명칭에 관한 고찰 - 종묘 정전·영녕전의 갑벽(甲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me of the walls in YeonggeonUigwe Based on the gap wall of the Main Hall and Yeongnyeongjeon Hall of Jongmyo Shrine in the Joseon Dynasty)

  • 홍은기;곽이라;한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4-21
    • /
    • 2021
  • 본 연구는 조선시대 건축 공사 기록인 영건의궤에서 조선 후기 건물에 구성되었던 벽의 명칭과 유형을 살펴보고, 종묘 정전과 영녕전에 사용된 벽에 대해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벽의 명칭은 성격에 따라 방향·위치, 형상·기능, 재료, 복합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벽 앞에 성격을 의미하는 단어가 합쳐진 합성어로 사용되었다. 둘째, 벽의 유형 중 재료와 관련된 일부 벽은 사용 시기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18세기 이후 토벽의 사용은 줄고 목벽(판벽), 지벽의 사용이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셋째, 종묘 정전과 영녕전의 벽은 흙벽과 화방벽이 사용되었으며, 고주열 중인방 상부는 흙벽으로, 외부는 화방벽으로 구성되었다. 화방벽은 종묘 정전의 경우 기둥까지를 포함한 일체화된 모습으로 설치된 반면, 영녕전의 경우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만 설치되었다. 넷째, 갑벽은 의궤 내 사용된 용례들과 현재 건물의 비교를 통해 '종묘 내 건축물 구성 시 사용된 중인방 상부에 설치한 벽'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익숙한 까닭에 연구가 미비했던 벽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에 사용되었던 벽의 명칭들과 용례를 기록과 실제 건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 갑벽의 정의를 밝히기 위해 시도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이능화의 전통사상 연구와 그 의미 (A Study on the Research of tradition thought and its implications of Lee Neung Hwa)

  • 조한석
    • 한국철학논집
    • /
    • 제52호
    • /
    • pp.185-211
    • /
    • 2017
  • 이능화는 일제강점기 한국학 연구의 선구자로 잘 알려져 있는 인물이다. 그의 한국학 연구 분야는 유 불 도는 물론 기독교 등 종교 분야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민속학분야에까지 걸쳐있으며, 그 영향력은 현재도 유효하다. 이 논문에서 이능화의 종교 연구 가운데 전통사상으로서 유교와 불교에 대한 그간의 연구를 정리하고 그 의미에 대하여 재평가했고, 그가 주장했던 '조선민족 고유의 종교'인 '단군신교'의 의미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 볼 기회를 마련해보았다. 다른 구한말의 개화 지식인의 경우처럼 이능화도 근대화 실패에 대한 역사적 반성에 고뇌하였고, 그 원인을 조선후기 정권과 주자학에 돌리면서 '주자만능주의'라는 개념을 통해 '조선후기 주자학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역사적 반성을 시도하였다. 또한 이능화는 일제 강점기 거사불교 운동에 영향력을 미쳤던 불교인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불교계에서도 정치계의 경우처럼 친일행보를 보이며 현실적 이득과 세력을 넘보는 승려들이 더러 있었지만, 이능화는 이런 문제에 중립적 태도를 보이면서 학문적 성과를 세간에 선보이게 된다. 특히 그의 "조선불교통사"는 그의 대표적 업적으로 꼽힌다. 이능화는 조선불교를 거론하는 과정에서 조선불교의 일본 불교에 대한 독립성과 장점을 지적하면서 '민족주의적 성향'의 단초를 표출하였다. 한편 그의 조선민족의 정체성과 독립성에 대한 민족주의적 성향은 단군신교 연구를 통해서 여과 없이 표출된다. 이능화에게 있어서 건국신화와 문화적 정체성은 단순히 역사적 실증과 학문적 고증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와 국가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의 성립에 대한 이념적 문제였다. 이능화의 단군신교는, 건국신화와 조선민족의 문화적 독립성과 정체성을 확보하여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에 대응하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 구축의 측면에서 재평가해야 할 것이다.

몽산 어록 조선본의 간행과 유통에 대한 연구 - 『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尙法語略錄)』과 『몽산화상육도보설(蒙山和尙六道普說)』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Mengshan analects in Joseon Dynasty Focusing on two books of Mengshan, Mengshan Heshang Sermons Abstract and Mengshan Heshang Liudao Pushuo)

  • 김은진;송일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1-84
    • /
    • 2019
  • 이 연구는 중국의 송 원대 임제종 양기파의 승려, 몽산 덕이의 대표 어록인 "몽산화상법어약록"과 "몽산화상육도보설" 조선본을 분석한 것이다. 그의 어록과 저술은 고려 말에 전해져 우리나라 불교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법어약록은 39종, 육도보설은 24종이 현존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63종을 연구대상으로 간행 시기별, 간행 지역별, 간행 참여자를 분석하였다. "법어약록"은 대부분 16~17세기에 간행되었다. 1467년 간경도감본이 최초의 판본이며 한문본이 1525년에 처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1467년 간경도감에서 세조와 신미에 의해 처음 편찬된 책이다. 육도보설은 모두 15~16세기에 간행되었는데 언해본은 1종만 존재하며 모두 한문본으로 고려 말에서 조선 전기 몽산 어록의 유통 가능성을 보여준다. 두 책은 모두 전국적으로 유통되었으며 "법어약록"은 국가에서 간행되었다는 점에서 몽산의 어록이 매우 중요하게 다뤄졌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두 어록 모두 지리산 지역에서 활발히 간행되었으며 임진왜란 이후 대규모 불사에 "법어약록"도 함께 간행되었다. 몽산 어록의 간행에 있어 참여자로 화주는 71명, 각수는 109명이 참여하였다. 화주는 다른 사찰에서의 불서 간행에 참여한 경우가 거의 없으나 각수는 대부분이 참여한 것이 확인된다. 몇몇은 활발한 간행활동을 보이는데 이들은 각 지역의 대표 각수로 활동했던 것으로 보인다. 63종의 "법어약록"과 "육도보설" 판본은 조선 전기 불서 간행의 모습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몽산의 어록은 조선 전기 불교계의 개혁과 유불도의 공존을 모색하는 상황 속에서 적극적으로 수용 및 유통되었던 것이다.

서지학적 분석을 통한 임원경제지 섬용지 영조기사의 구성과 특징 연구 (A Bibliographical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s Dealing with Architecture in the Chapter of Seomyongji of Imwongyeongjeji)

  • 이강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59-69
    • /
    • 2010
  • Imwongyeongjeji, Administration of Our Daily Life in Woods and Fields, is a sort of encyclopedia compiled by Seo, Yoo Goo in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This voluminous work is made up of 16 chapters with various references including many articles dealing with architecture. The chapter Seomyongji covering the daily necessities contains a number of methods and materials of building construction.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se articles is that they are mostly from Joseon's books. It is not similar to other chapters which are made of quotations from Chinese books. Especially, he quoted many of articles about architecture from his own work Geumhwagyeongdokgi, Record of Plowing and Reading in Geumhwa. In addition, He selected only empirical knowledge, put it in the book, and commented on it in his judgment. These article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architectural knowledge in late Joseon period.

한국 건축에 장식된 태극의 시원과 변천 (The Beginning and Transition for the Emergence of Taegeuk Pattern in Korean Buildings)

  • 구욱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7호
    • /
    • pp.107-118
    • /
    • 2018
  • Taegeuk is Korea's flagship pattern, which has been handed down over centuries. During the Joseon era, it had an influence on all places such as the left side of the building and arrangement. In addition, Taegeuk was a bowl which contains the philosophy of right now. In Neo-Confucianism, it was understood that yin and yang were divided into five elements and created the universe. In buildings, Taegeuk was mostly used as decoration on the stylobate and doors. Taegeuk contains the fundamental thoughts about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In architecture, it plays the role of a bridge between spaces. In ancient times, it was used as byeoksa. Entering the Joseon era, it played a role as a bord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important in protecting the country. A Taegeuk pattern varies in diverse shapes to represent its dynamic aspects. After passing through many different stages, it developed into the pattern of today.

조선 산학서 《주서관견》의 도해적 추론 (Diagrammatic Reasoning in Joseon Mathematics Book 'JuseoGwangyeon')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1-78
    • /
    • 2023
  • By virtue of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diagrams, diagrammatic reasoning has potential and limitations that distinguish it from general thinking. It is natural that diagrams rarely appeared in Joseon mathematical books, which were heavily focused on computation and algebra in content, and preferred linguistic expressions in form. However, as the late Joseon Dynasty unfolded, there emerged a noticeabl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employing diagrams, due to the educational purposes to facilitate explanations and the influence of Western mathematics. Analyzing the role of diagrams included in Jo Taegu's 'JuseoGwangyeon', an exemplary book, this study includes discussions on the utilization of diagrams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자동차 경음 기술이 식민지 조선의 도시소음에 미친 영향 (An Influence on the City Noise of Colonial Joseon by the Motor Vehicle Horn)

  • 신명호;손정현;채영희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1-122
    • /
    • 2013
  • After the port opening in 1876, the western people made joseon image as the land of morning calm. there was a conception that joseon was a uncultivated country in the meaning of the land of morning calm. famous modernists such as gil-jun yu, kwang-su lee also had same conception. but such conception began to change in 1930's. the number of motor vehicle began to increase rapidly in 1930's. and also many of motor vehicle were equipped with air horn or electronic horn instead of bulb horn. bulb horn made thick and low rubber sound. but air horn or electronic horn made sharp and high metallic sound. city people of colonial joseon began to recognize air horn or electronic horn as city noise. so they tried to control the use of air horn or electronic horn. finally, in late 1930's, the use of air horn and electronic horn were prohibited.

『역시만필』에 기록된 조선 후기 외감병 치료에 대한 소고 - 온병학적 관점에서 본 - (View on Treatment of Exogenous Disease in Yeoksimanpil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rom the Viewpoint of the Theory on Epidemic Febrile Disease -)

  • 김상현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3-143
    • /
    • 2017
  • Objectives : This paper summarizes results from review of 36 cases and medical records extracted from Yeoksimanpil, involving treatment of exogenous disease in the last Joseon dynasty, and considers significance of treatment protocols. Methods : About 130 medical records from Yeoksimanpil related to exogenous disease were reviewed, and 36 cases were extracted for closer investigation. The autho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xogenous diseases treated in Yeoksimanpil during the Joseon dynasty, employing Yi Suki's theory about exogenous febrile disease, and analyzed the theory from the viewpoint of epidemic febrile disease (溫病學). Results : The majority of exogenous diseases recorded in Yeoksimanpil include Sanghan (傷寒); Seo (暑); Ryeohwan (厲患); and Hongjin (紅疹). Sanghan was found to be prevalent among the exogenous diseases, but diseases caused by warmth and epidemic are recognized separately from Sanghan. Yi Suki's theory about exogenous febrile disease is similar to the basic theory of modern epidemic febrile disease, although his theory was developed independently during the last Joseon dynasty. Conclusions : Although some exogenous diseases in Yeoksimanpil were recognized separately, Yi Suki did not specify each feature nor did he focus on each symptom. Instead, the author's research suggests that Yi Suki was able to identify and treat a variety of various exogenous diseases due to his accumulation of medical knowledge and skill.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표지 및 내지의 비파괴적 특성 연구 (Non-Constructive analysis for the cover and inner paper in the Taebaeksan volume of Joseon Dynasty annals)

  • 조정혜;김강재;엄태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3호
    • /
    • pp.28-36
    • /
    • 2010
  • Today We have three full series of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Taebaeksan volume which is one of them shows comparatively good maintenance but Taebaeksan volume also decomposed in patches. The size of cover and inner paper were increased in late Joseon Dynasty, but the weight, thickness and basis weight bears no relation to each other. The oxidation index of paper in annals of pre-periods of King Sunjo shows very high value. After the annals of King Sunjo, the oxidation index of paper is very similar to today's Hanji. L.a.b values of inner paper in the Taebaeksan volume are similar generally. The average length of fiber using image analysis soft ware is 8.08~9.92 mm, that like immediate value of measurement. The air fraction of fiber's range is 1.20~2.12%. It lower than today's Hanji. After considering the factors of the length of fiber, air fraction and FE-SEM, we reached that no difference between raw material of inner paper in the Taebaeksan volume.

강진 병영 영기(令旗)에 그려진 별자리 연구 (A STUDY OF THE CONSTELLATION MAPS IN THE FLAGS OF BARRACKS IN GANGJIN)

  • 양홍진
    • 천문학논총
    • /
    • 제31권3호
    • /
    • pp.65-76
    • /
    • 2016
  • We study a manuscript that includes 28 oriental constellations in the flags of barracks in Gangjin. According to the Joseon Chronicles, the constellation flags in the manuscript are thought to have originated from Seon-Pil Kim (金善弼) who first made 28 constellation flags for the barracks in 1878 during the Joseon Dynasty. Seon-Pil Kim was a commander and he used the 28 constellation flags for communications in a military camp. The flags also contain 28 animals and letter-like symbols with constellation maps. We examine the constellation maps in flags in terms of shapes and number of stars, and compare them with those of constellations in the Korean and Chinese star charts such as CheonSangYeolChaBunYaJiDo (天象列次分野之圖), Joseon-Butienge (朝鮮步天歌), Suzhou (蘇州) Star Chart, and Tang-Butiange (唐步天歌). Finally, we found that the shape of constellations in the flags might be similar to those in the Chinese Tang-Butienge. We also found several errors such as the shape, connecting pattern, and number of constellations drawn in the flags. It seems that the constellation flags were unofficially used in military camps in the late Joseon dynasty. Meanwhile, the 28 constellations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each group has its own color and direction. We suppose that the constellation flags might represent the positions of military camps and each group of flags has their own color based on their cardinal 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