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yngeal disease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3초

정상인과 성대용종 환자에서의 공기역학적 검사 (Aerodynamic Study in Normal Korean and Patients with Vocal Polyp)

  • 서장수;송시연;정유선;김정수;지덕환;이무경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11
    • /
    • 1999
  • 최근 음성장애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성대질환 내지는 후두질환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발성기능의 측정이 더욱 중요시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 한국인 남자 81명, 여자 76명과 성대용종 환자 남자 78명, 여자 65명을 대상으로 공기역학적 검사 중 컴퓨터화된 측정기구와 기류저지법으로 최대발성지속시간, 발성기류량, 평균호기류율, 및 성문하압을 연령별 및 성별에 따라 평균치를 측정,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최대발성지속시간은 정상인 남자가 20.6${\pm}$6.34초, 여자가 17.2${\pm}$4.20초였고, 성대용종 환자에서 남자가 13.1${\pm}$4.26초, 여자가 11.6${\pm}$4.43초였다. 평균호기류율은 정상인 남자가 170.0${\pm}$67.00ml/sec, 여자가 131.1${\pm}$49.03ml/sec였고, 성대용종 환자에서 남자가 255.7${\pm}$216.52ml/sec, 여자가 183.24${\pm}$107.16ml/sec였다. 발성기류량은 정상인 남자가 3179.0${\pm}$648.94ml. 여자가 2144.1${\pm}$650.81ml였고, 성대용종 환자에서 남자가 2905.8${\pm}$1295.35ml, 여자가 1904.4${\pm}$1068.59ml였다 성문하압은 정상인 남자가 4.0${\pm}$1.88cm$H_2O$, 여자가 3.5${\pm}$4.20cm$H_2O$였고, 성대용종 환자에서 남자가 4.2$\pm$1.48cm$H_2O$, 여자가 3.9${\pm}$1.12cm$H_2O$였다. 성대용종 환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게 최대발성지속시간은 감소하고, 평균호기류율은 증가하였으며, 발성기류량과 성문하압은 여자환자에서만 의미 있게 각각 감소하거나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정상인과 성대용종 환자에 있어서 객관적인 공기역학적 검사결과를 보여주며 이는 성대용종 환자의 음성이상에 대한 상태판정이나 치료 후 효과 판정에 기본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초기 상후두암종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내시경하 상후두부분절제술의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Endoscopic Laser Assisted Supraglottic Partial Laryngectomy in Early Supraglottic Cancer)

  • 최종욱;권기환;오준환;한승훈;이승훈;최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4-168
    • /
    • 1998
  • 레이저를 이용한 내시경하 상후두부분절제술은 술전에 정확한 병기판정으로 초기 국소병변의 선택을 신중하게 하고 경부 림프절전이의 치료를 효율적으로 시행하는 경우 기존의 수술법과 유사한 생존율을 얻을 수 있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충분한 수술시야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병변의 위치에 따라서 술중 절제연의 확인이 힘들다는 제한점을 고려해야 하며, 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출혈, 부종, 오연 등의 합병증에 대비하기 위하여 술 전 기관절개술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비강수술로 호전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1 례 (One Case of Nasal Surgery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최지호;이흥만;권순영;이상학;신철;이승훈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1호
    • /
    • pp.64-67
    • /
    • 2005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이비인후과영역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질환 중 하나로 수면 중에 상기도의 폐쇄로 인한 호흡정지가 주요한 병인이며 상기도를 구성하는 비강, 구강, 인두, 후두 중 어느 한 부분에서 폐쇄가 일어나도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비폐색의 가능한 원인들로는 주로 비중격 만곡, 비용, 기포성 갑개, 후비공 폐쇄, 종양, 이물, 술 후 또는 외상 후 발생한 유착, 여러 가지 비염, 기타 질환 등이 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수술적 치료에는 비강수술, 구개인 두수술,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 설부 축소수술, 기관절개술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문헌들을 고찰한 결과 지금까지 성인에서 수면무호흡증 치료로 시행한 비강수술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는 상태이다. 최근 저자들은 비폐색과 동반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비폐색과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비중격 만곡증 및 비후성비염을 교정하기 위해 비중격 교정술 및 하비갑개 절제술을 시행한 결과 수술 전, 후의 증상 및 수면 다원검사 비교에서 뚜렷한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성문하 협착 소아 환자에 대한 내시경적 기도 확장 시술 후 치료 실패 위험 요인 분석 (Risk Factor Analysis of Endoscopic Dilation Procedure for the Management of Subglottic Stenosis in Pediatric Patients)

  • 박민혜;최나연;송복현;정한신;손영익;정만기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26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Endoscopic airway dilation is the primary treatment for pediatric subglottic stenosis (SGS) due to its feasibility and non-invasivenes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the failure of endoscopic airway dilation in pediatric patients with SG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38 pediatric patients had endoscopic dilation from a single and tertiary referral center, retrospectively. The success of the endoscopic dilation procedure was defined as no dyspneic symptom without tracheostomy or laryngotracheal reconstruction. Demographic profiles, underlying disease, and Myer-Cotton SGS severity grade were recorded. Success rates and risk factors for the failure of treatment were analyzed. Results The SGS patients with severity grade I was most common. After mean 1.8 numbers of procedures, there were 23 patients (60.5%) in the success group and 15 patients (39.5%) in the failure group. Age, sex, underlying diseases, and SGS severity grad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In patients who had multiple endoscopic procedures, the failure group showed SGS deteriorated after procedures in 66.7%, compared to 11.1% of the success group. In multivariable analysis, a long-term intubation (≥1 month) was identifie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failure of endoscopic dilation procedure. Conclusion Although endoscopic dilation procedure is safe and effective for the management, repetitive endoscopic dilation may not give clinical benefit in patient with long-term intubation. Other airway procedures must be considered in those group of patients.

Revised Korean Cough Guidelines, 2020: Recommendations and Summary Statements

  • Joo, Hyonsoo;Moon, Ji-Yong;An, Tai Joon;Choi, Hayoung;Park, So Young;Yoo, Hongseok;Kim, Chi Young;Jeong, Ina;Kim, Joo-Hee;Koo, Hyeon-Kyoung;Rhee, Chin Kook;Lee, Sei Won;Kim, Sung Kyoung;Min, Kyung Hoon;Kim, Yee Hyung;Jang, Seung Hun;Kim, Deog Kyeom;Shin, Jong Wook;Yoon, Hyoung Kyu;Kim, Dong-Gyu;Kim, Hui Jung;Kim, Jin Wo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4권4호
    • /
    • pp.263-273
    • /
    • 2021
  • Cough is the most common respiratory symptom that can have various causes. It is a major clinical problem that can reduce a patient's quality of life. Thus, clinical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cough were established in 2014 by the cough guideline committee under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From October 2018 to July 2020, cough guidelines were revised by members of the committee based on the first guidelines. The purpose of these guidelines is to help clinicians efficiently diagnose and treat patients with cough. This article highlights the recommendations and summary of the revised Korean cough guidelines. It includes a revised algorithm for the evaluation of acute, subacute, and chronic cough. For a chronic cough, upper airway cough syndrome (UACS), cough variant asthma (CVA),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should be considered in differential diagnoses. If UACS is suspected, first-generation antihistamines and nasal decongestants can be used empirically. In cases with CVA, inhaled corticosteroids are recommended to improve cough. In patients with suspected chronic cough due to symptomatic GERD, proton pump inhibitors are recommended. Chronic bronchitis, bronchiectasis, bronchiolitis, lung cancer, aspiration, intake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intake of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 habitual cough, psychogenic cough, interstitial lung disease,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factors, tuberculosis, obstructive sleep apnea, peritoneal dialysis, and unexplained cough can also be considered as causes of a chronic cough. Chronic cough due to laryngeal dysfunction syndrome has been newly added to the guide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