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ge subunit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16초

사람 암세포주들에서 아미노산 수송체 LAT1 mRNA 발현과 아미노산 L - Leucine 수송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Amino Acid Transporter LAT1 mRNA and the Amount of L - Leucine Transport in Human Cancer Cell Lines)

  • 김도경;송수근;김인진;국중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51-1456
    • /
    • 2004
  • 사람의 여러 암세포주들에서 아미노산 수송체 LAT1 및 그 보조인자 4F2hc mRNA의 발현과 LAT1의 대표적 기질인 L-leucine 수송을 조사하여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 암세포주들에서 northern blot analysis 및 uptake 실험 등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한 26 종류의 사람 암 유래 세포주들에서 LAT1 mRNA의 뚜렷한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 발현양에는 차이가 있었다. 조사한 26종류의 사람 암 유래 세포주들에서 4F2hc mRNA의 뚜렷한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LAT1의 경우에서와 같이 발현하는 정도가 조금씩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람의 암 유래 세포주들에서 아미노산 transporter에 의한 L-[$^{14}C$]leucine 수송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람의 암세포주들에서 LAT1 mRNA의 발현정도가 높을수록 L-[$^{14}C$]leucine의 수송능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사람의 암세포주들에서 4F2hc mRNA의 발현정도가 높을수록 L-[$^{14}C$]leucine 수송 능력이 증가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해 사람 암세포주들에서 아미노산 transporter LAT1의 발현과 아미노산 L-leucine의 수송 사이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아미노산 transporter LAT1의 특이적 억제에 의한 암세포의 성장 억제에 관한 또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진주담치 근육중의 적색 Carotenoprotein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Red Carotenoprotein from the Muscle of Blue Mussel, Mytilus edulis)

  • 양현필;이안종;김용태;김세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82-494
    • /
    • 1994
  • 우리나라에서 대량 생산되고 있는 진주담치 근육에서 Triton X-100를 사용하여 carotenoprotein을 추출, 정제하여 그 특성을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arotenoprotein(${\lambda}_{max}=462nm$)를 $20\%$(w/v) $(NH_4)_2SO_4$, DEAE-cellulose 이온교환수지 그리고 Sephacryl S-300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한 결과, 정제도는 5배 증가하였고 수율은 $1.85\%$였으며, carotenoprotein의 분자량은 약 372KDa(gel filtration)이었고, SDS-PAG 전기영동으로 단백질의 subunit를 확인한 결과, 60KDa($23.70\%$), 46.9KDa($9.14\%$), 26KDa($49.14\%$) 및 13KDa($18.02\%$)로 이루어져 있었다. Carotenoprotein의 안정성은 pH 4.0 이하의 강산 및 pH 10.0 이상의 강알칼리에서는 단백질이 불안정하였고, SDS 변성제를 $0.2\%$(w/v)되게 첨가하여 녹인 후 가시부 영역($400{\sim}600nm$)에서 최대파장 변화를 보면 462nm에서 456nm로 약 6nm 단파장 영역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arotenoprotein의 구성아미노산 조성은 threonine이 $35.90\%$로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함량이 높았으며, 필수아미노산과 소수성 아미노산의 함량은 전체아미노산 함량의 각각 $62.76\%$$25.02\%$를 차지하였고, methionine, histidine 및 proline은 존재하지 않았다. Carotenoprotein 1g당 총지질의 함량은 256mg였고, 그 구성지방산의 조성은 polyene산이 $62.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포화산($19.58\%$)및 monoene산($18\%$) 순이었다. 특히, 16:4n-3의 조성비가 $33.90\%$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EPA, DHA 등 w3 계의 장쇄(長鎖)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22.13\%$로 높게 나타났으며, 양적으로 많은 지방산은 포화산 중에는 palmitic acid($C_{16:0}$), monoene산 중에서는 palmitoleic acid($C_{16:1}$), polyene산 중에서는 hexadecatetraenoic acid($C_{16:4}$), eicosapentaenoic acid ($C_{20:5}$), docosahexaenoic acid($C_{22:6}$) 등이 함량이 많았다. Carotenoprotein으로부터 분리한 총 caroteoid 함량은 $8.80mg\%$였고, 주 carotenoid는 mytiloxanthin($74.79\%$), 3,4,3'-trihydroxy-7',8'-didehydro-${\beta}$-carotene($18.26\%$)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