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d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24초

가교화 ${\beta}-Cyclodextrin$에 의한 라드의 cholesterol 제거 최적 조건 확립에 관한 연구

  • 김송희;안정좌;곽해수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제35차 춘계 학술 발표대회
    • /
    • pp.169-17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beta}-CD$를 가교화 시켜 육가공 제품의 주원료인 lard의 cholesterol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최적조건 확립이다. 따라서 adipic acid로 가교화한 ${\beta}-CD$를 이용해 lard에서 cholesterol을 제거하고 더 높은 효율을 찾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가교화 ${\beta}-CD$를 이용해 lard에서 cholesterol 제거 실험결과의 최적 조건은 lard : distilled water=1:1, 가교화 ${\beta}-CD$ 5%를 첨가, 교반온도 $40^{\circ}C$, 교반시간 10분, 교반속도 150rpm으로 실험한 결과 cholesterol 제거율이 평균 81.6%이었다. 이 실험의 결과 가교화 ${\beta}-CD$로 lard의 cholesterol 제거 최적조건을 규명하고 이는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킨 육가공 제품의 생산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Cholesterol Removal from Lard with Crosslinked ${\beta}$-Cyclodextrin

  • Kim, S.H.;Kim, H.Y.;Kwak, H.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9호
    • /
    • pp.1468-1472
    • /
    • 2007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of different factors (ratio of lard to water, ${\beta}$-CD concentrations, mixing temperature, mixing time and mixing speed) on cholesterol reduction from lard by using crosslinked ${\beta}$-CD. Crosslinked ${\beta}$-CD was prepared with adipic acid. When the lard was trea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the range of cholesterol removal was 91.2 to 93.0% with 5% crosslinked ${\beta}$-CD,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In a recycling study, cholesterol removal with crosslinked ${\beta}$-CD in the first trial was 92.1%, which was similar to that with new crosslinked ${\beta}$-CD. In up to eight time trials, over 90% of cholesterol removal was found.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optimum conditions for cholesterol removal using crosslinked ${\beta}$-CD were a 1:3 ratio of lard to water, 5% crosslinked ${\beta}$-CD concentration, $40^{\circ}C$ mixing temperature, 1 h mixing time and 150 rpm mixing speed. In addition, crosslinked ${\beta}$-CD made by adipic acid resulted in an effective recycling efficiency.

Effect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on Inhibition of Lipid Oxidation in Lard-Pork Model System During Storage at $4^{\circ}C$

  • Park, Jae-Hee;Kim, Chang-So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753-758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aprika in the lard-pork model system adding ground fresh paprika (3%) and paprika powders (5%). Paprika powders were obtained through 4 drying methods (freeze, vacuum, far infrared-ray, and hot-air). In the lard and meat-fat mixture (containing lard 30%) containing paprika powders, the rate of increase in the peroxide value (POV)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decreased notably during the refrigerated storage ($4^{\circ}C$) compared to the control without paprika. Therefore, paprika powders showe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especially the freeze dried paprika powder revealed the most effective activity among them. However, its antioxidant activity was still lower than that of the fresh paprika because the addition of fresh paprika in the lard and meat-fat mixture merely increased the POV and TBA value. In linoleic acid oxidation, the addition of capsanthin 500 ppm to mixed linoleic acid and 10 ppm of $FeCl_3$ (LF) inhibited the formation of peroxides by 15.2% compared to LF, showing its iron scavenging ability. When mixed antioxidants (${\beta}$-carotene 200 ppm + ascorbic acid 100 ppm, capsanthin 200 ppm + ascorbic acid 100 ppm) were added in LF, synergistic effects were obtained with 57.7 and 60.4% of inhibition of peroxide formation, respectively.

피혁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폐돈지를 이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ionic Surfactant Using Waste Fleshing Scrap)

  • 신수범;민병욱;양승훈;박민석;원기천;백두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1-36
    • /
    • 2006
  • Study has been made for producing anionic surfactant using waste fleshing scraps from the leather making process through refining, esterification, sulfonation and blending processes. As a most optimum lard oil refining method, refining was carried out for 4 hours under temperature of $120^{\circ}C$ and approximately 200 mbar vacuum, which gave a recovery of more than 80% lard oil. Refined lard oil obtained thus was undergone methlyl-esterification, then sulfonated to make a degreasing agent. By methyl-esterification using lard oil, more than 85% of fatty acid and $12{\sim}13%$ of glycerine were extracted from the oil. Sulfonation of the extracted fatty acid ester lard oil has shown most optimum at $15{\sim}20%$ chlorosulfonic acid content, and the content of bonding sulfate at this time was higher than 3.5%. Finally the followed anionic surfactant having degreasing force of 80% and higher could be made by blending process.

Quenching Mechanisms and Kinetics of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in Photosensitized Oxidation of Lard

  • King, Robert;Lee, Hyung-Ok;Min, David B.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526-532
    • /
    • 2009
  • Quenching mechanisms and kinetics of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in photosensitized oxidation of lard were studied. Lard at 0.03, 0.07, 0.11, and 0.3 M in methylene chloride containing $4.4{\times}10^{-6}\;M$ chlorophyll and 0, 0.1, 0.3, and 0.6 mM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were stored under light for 4 hr, respectively. Oxidation was determined by headspace oxygen and peroxide value. Tocopherols prevented the photosensitized oxidation of lard (p<0.05). Steady state kinetic study showed that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prevented the photosensitized oxidation of lard by quenching singlet oxygen. Singlet oxygen quenching rates of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by headspace oxygen depletion were 1.86, 2.39, 2.47, and $2.11{\times}10^7/M/sec$, respectively. The quenching rates of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by peroxide value were 1.42, 1.11, 0.97, and $0.42{\times}10^7/M/sec$, respectively. The quenching rates of tocopherols we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asurements of oxidation.

다양한 지방원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도체특성, 분내 미생물 조성 및 혈액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arious Fat Source Feeding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Fecal Microflora and Blood Profiles in Broilers)

  • 조진호;곽용철;이장형;노환국;김인호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6권1호
    • /
    • pp.93-103
    • /
    • 2014
  • 본 연구는 급이 지방원의 차이가 육계의 생산성, 도체특성, 혈액특성 및 분내 미생물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1일령 ROSS 308 768수로 공시하였고, 시험 개시 체중은 39.68 ± 0.14 g으로 32일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1) SBO, basal diet + soybean oil, 2) PF, basal diet + poultry fat, 3) TAL, basal diet + tallow 및 4) LARD, basal diet + lard로 4개 처리구로 나누고 처리당 12반복, 반복당 16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1-14일령의 생산성에 있어서는 증체량에서 TAL 처리구가 PF 및 LARD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사료섭취량에서 TAL 처리구가 SBO, PF 및 LARD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체 시험기간동안의 증체량에서 SBO 및 TAL 처리구가 LSRD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중 LDL cholesterol 함량은 우지 처리구가 돈지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도체 특성은 가슴육의 적색도에서 PF 및 TAL 처리구가 LARD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그러나 명도 및 황색도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장기 무게에 있어서 또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분내 미생물 조성에서도 Lactobacillus 및 Escherichia coli에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중 LDL cholesterol 함량에 있어서 TAL 처리구가 LARD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혈중 AST, total triglycerides 및 HDL cholesterol 함량에 있어서는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시험에서는 육계 사료내 대두유 및 우지 첨가시 증체량을 향상 시키고, 또한 우지 급여시 가슴육의 적색도를 유의적으로 낮춰 주고, 혈중 LDL cholesterol 함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육계 사료내 식물성 지방원인 대두유 첨가가 증체량을 개선시켜 주고, 혈중 LDL cholesterol이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고추씨유, 캡사이신 및 토코페롤의 첨가가 돈지와 대두유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t Pepper Seed Oil, Capsaicin, and Alpha-Tocopherol on Thermal Oxidative Stability in Lard and Soy Bean Oil)

  • 이치호;한규호;김아영;이슬기;홍고은;변장원;최강덕;양철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60-66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식용유지로 사용되는 돈지, 대두유 및 고추씨유를 $100^{\circ}C$에서 3일간 저장하면서 열안정성을 비교하고, 캡사이신의 첨가가 대두유 및 돈지의 산화안정성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돈지>대두유>고추씨유의 순서로 고추씨유가 가장 열에 안정적임을 밝혔다. 가장 열에 안정한 고추씨유를 돈지와 대두유에 혼합했을 때의 저장기간에 따른 산화 정도를 비교하였는데, 돈지에서는 고추씨유 30% 이상에서 산화가 억제되지만, 대두유에서는 그보다 많은 60% 이상이 혼합되어야 산화가 억제되었다. 또한 고추씨유의 주요 성분인 캡사이신을 고추씨유에 함유된 양만큼을 대두유와 돈지에 각각 첨가하여 열처리 했을 때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도 검토하였다. 그 결과 1,200 ppm과 2,400 ppm의 캡사이신, 또는 0.3% 알파-토코페롤을 대두유에 첨가하였을 때 캡사이신은 대두유의 산화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알파-토코페를은 오히려 산화를 촉진시켰다. 하지만 돈지에 동량의 캡사이신이 첨가되었을 때에는 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고추씨유 또는 캡사이신은 돈지를 소재로 하는 튀김유나 분말유지의 가공에 이용하면 매우 좋은 산화억제 효과를 얻을 것으로 사료된다.

죽초액의 팜유와 돈지의 저장 중 산패 억제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Bamboo Smoke Distillates in Palm Oil and Lard during Storage)

  • 이범수;박근형;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05-910
    • /
    • 2004
  • 저장기간 동안 죽초액을 첨가한 팜유와 돈지는 뚜렷한 산패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과산화물가, 산가, TBA가 등 항산화효과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중에서 죽초액 1.0%를 첨가하였을 때의 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그 정도는 BHT 0.02% 첨가하였을 때와 유사하였거나 더 좋았고 ${\alpha}-tocopherol$ 0.02% 첨가한 것보다는 월등히 높은 산화억제 효과를 보였다. 각 식용유지에 죽초액의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때 유도기간과 상대적 항산화효과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죽초액 1.0% 첨가가 팜유와 돈지에 대하여 유도기간은 각각 21.24일과 12.37일이었고 상대적 항산화효과는 각각193.97%와 1671.62%로 나타나 죽초액은 돈지에 대한 산화안정성이 팜유에 비하여 컸다.

율피, 솔잎, 호프의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cetone Extracts of Chestnut Inner Shell, Pine Needle and Hop)

  • 오승희;김용욱;김명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99-406
    • /
    • 2004
  • 율피, 솔잎, 호프로부터 70% 아세톤 추출물을 획득하여 대두유, 돈지, 대두유 유탁액, 돈지 유탁액에 대한 항산화력을 토코페롤과 비교하였다. Rancimat의 유도기간에 따른 항산화력 비교에서는, 대두유에서는 솔잎>율피>호프>토코페롤>무첨가구, 돈지에서는 토코페롤>율피>솔잎>호프>무첨가구로서 항산화력이 있었다. Peroxide value의 측정을 통한 항산화력 비교에서는, 대두유나 대두유 유탁액, 돈지나 돈지 유탁액에서 이들 세 추출물은 같거나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율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폴리페놀화합물의 분석결과, 율피 추출물에는 ellagic acid가 솔잎 추출물에는 flavanol이 항산화력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돈지에 대한 동결건조 커피의 항산화력 발현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Properties of Freeze-Dried Coffee on Lard)

  • 이주원;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48-352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돈지에 대한 동결건조 커피(이하 커피)의 항산화성과 그 발현특성을 조사하였다. 돈지에 커피를 분말로 첨가하였을 때는 항산화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용액 상태에서는 그 첨가된 고형물 함량에 비례하여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으며, 커피 고형물이 1.0% 첨가된 시험구는 무첨가구보다 산화 유도기간이 1.8배 연장되었다. 커피 수용액의 고형물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력과 수분활성도는 같은 경향으로 낮아졌으며, 커피 수용액의 항산화력은 수분활성도가 0.98 이상(고형물 함량 30% 이하)에서 효과적으로 발현되었다. 유화제는 커피 수용액의 항산화 효과를 향상시키지 못하였다. 커피 수용액을 돈지에 기계적으로 접촉시킨 후 이를 제거한 돈지의 산화 유도기간(Y)은 접촉시킨 커피 고형물량(X)에 비례하여 Y=4.7X+6.5의 직선식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처리된 돈지를 spectrophotometer로 scanning한 결과 $340{\sim}350nm$에서 최고치를 보인 단일봉우리가 나타나 커피 수용액의 항산화성 물질이 돈지로 이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