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guage of science

검색결과 3,673건 처리시간 0.03초

MI-Trigger-Based Language Modelling

  • Zhou, Guodong;Lua, Kim-Teng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1998년도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Pacific Asia Conference on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Singapore
    • /
    • pp.195-205
    • /
    • 1998
  • PDF

담화 언어 코드로 본 과학 수업 양태의 학생 중심성 (Student-Centeredness of the Modality of Science Teaching Based on Discourse language Code)

  • 맹승호;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6-136
    • /
    • 2009
  • 학교 과학 수업은 그 실행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주체 상호간의 의사소통의 내용, 구조, 기능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과학 수업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교수법적 실천 양태의 차이를 명료화하고, 수업의 사회적 상황을 구조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학 수업의 이러한 특징은 과학 수업의 언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이 연구에서는 Bernstein의 코드 이론을 도입하여 광물 단원에 대한 중학교 과학 수업 사례에 대하여 수업 담화 언어 코드를 분석하였다. 연구 사례의 수업 담화 장면 별로 담화의 맥락 및 담화 참여자에 대한 권력 관계를 나타내는 범주구분의 정도와, 담화 주체간의 위계적 관계 및 담화 주도에 대한 통제 수준에 다른 범주구성의 정도를 파악하여 담화 언어 코드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광물 단원의 수업 담화 사례는 6가지 유형의 담화 언어 코드가 형성되어, 수업 담화의 측면에서 학생 중심 수업과 교사 중심 수업 사이에서 다양한 양상을 부이고 있었다. 담화 언어 코드이 변화 경향에 따라 과학수업 양태의 변화 양상은 '통제된 학생 중심성 유도 수업'에서 '지위적인 학생 중심성 허용 수업'으로, 그리고 '통제된 학생 참여 허용 수업'을 거쳐, '통제된 학생 중심성 촉진 수업'과 '학생 중심성 강화 수업'으로 다양하고 역동적인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학생 중심성이 강화된 과학 수업을 위해서는 학생의 담화 주도가 보장되는 약한 담화적 통제와 담화 주체간의 약한 위계적 관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화 언어 코드에 대한 교사의 자각이 구성주의 수업, 학생 중심 수업에 대한 교사의 지향과 맞물려 강화될 수 있다면, 학생 중심성이 강화된 수업의 실행이 가능해질 수 있음을 밝혔다.

Q&A Chatbot in Arabic Language about Prophet's Biography

  • Somaya Yassin Taher;Mohammad Zubair K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3호
    • /
    • pp.211-223
    • /
    • 2024
  • Chatbots have become very popular in our times and are used in several fields. The emergence of chatbots has created a new way of communicating between human and computer interaction. A Chatbot also called a "Chatter Robot," or conversational agent CA is a software application that mimics human conversations in its natural format, which contains textual material and oral communica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iques. Generally, there are two types of chatbots rule-based and smart machine-based. Over the years, several chatbots designed in many languages for serving various fields such as medicine, entertainment, and education. Unfortunately, in the Arabic chatbots area, little work has been done.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beneficial tool (chatBot) in the Arabic language which contributes to educating people about the Prophet's biography providing them with useful information by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ast Ftatistical Grammar Induction

  • Hogenhout, Wide-R.;Matsumoto, Yuji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1996년도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 Selected Papers from the 11th Pacific Asia Conference on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Seoul
    • /
    • pp.383-392
    • /
    • 1996
  • PDF

표정과 언어 감성 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측정시스템 설계 (A Design of Stress Measurement System using Facial and Verbal Sentiment Analysis)

  • 유수화;전지원;이애진;김윤희
    • KNOM Review
    • /
    • 제24권2호
    • /
    • pp.35-47
    • /
    • 2021
  • 끊임없는 경쟁과 발전을 요구하는 현대사회에는 다양한 스트레스가 존재하고 그 스트레스는 많은 경우 인물의 표정과 언어로 표현된다. 따라서 스트레스는 표정과 언어 분석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표정과 언어 감성 분석을 통하여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인물의 표정과 언어 감성을 분석하여 주요 감성값 기준으로 스트레스 지수를 도출하고 표정과 언어의 일치성을 기준으로 통합 스트레스 지수를 도출하는 스트레스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스트레스 측정기법을 통한 정량화, 일반화는 다수의 연구자가 객관적인 기준으로 스트레스 지수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명사의 연어 정보와 서술성 명사의 공기 정보를 활용한 복합명사 분석 및 자동 색인 (Analysis of Compound Noun and Automatic Indexing Using Collocation Information of Nouns and Co-occurrence Information of Predicative Nouns)

  • 양성현;정의석;윤준태;송만석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7년도 제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9-64
    • /
    • 1997
  • 복합명사로부터 적절한 색인어를 추출하는 것은 한국어 정보검색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명사로부터 색인어 추출을 하기 위해 복합명사 구문 구조 분석 결과를 활용한다. 단일명사가 3개 이상 결합된 복합명사의 경우 각 단일명사의 구문적 관계를 파악하여 적절한 괄호치기를 한 후 색인어를 추출하면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복합명사 구문 구조 분석을 위해 말뭉치로부터 구조적 중의성이 없는 연어 관계의 완전 복합명사와, 서술성 명사와 공기하는 명사쌍을 추출한 결과를 이용한다. 또한 서술성 명사는 이와 공기하는 명사와 결합되어 복합명사를 이를 가능성이 많고, 복합명사의 형태로 인식되어야만 정확한 의미 파악이 가능하다. 서술성 명사와 공기하는 명사를 파악하여 복합명사를 추출하기 위해서 부분 파서로 공기쌍을 찾아 복합명사 후보를 생성한 후, 이 후보 가운데 적합한 복합명사만을 선택하기 위해 말뭉치에서 추출한 완전 복합명사 사전을 통해 검증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서술성 명사에서 복합명사 형태의 색인어를 추출한다.

  • PDF

Development of a Traceability Analysis Method Based on Case Grammar for NPP Requirement Documents Written in Korean Language

  • Yoo Yeong Jae;Seong Poong Hyun;Kim Man Cheo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295-303
    • /
    • 2004
  • Software inspection is widely believed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software verification and validation (V&V). However, software inspection is labor-intensive and, since it uses little technology, software inspection is viewed upon as unsuitable for a more technology-oriented development environment. Nevertheless, software inspection is gaining in popularity. KAIST Nuclear I&C and Information Engineering Laboratory (NICIEL) has developed software management and inspection support tools, collectively named "SIS-RT. "SIS-RT is designed to partially automate the software inspection processes. SIS-RT supports the analyses of traceability between a given set of specification documents. To make SIS-RT compatible for documents written in Korean, certain technique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have been studied [9]. Among the techniques considered, case grammar is most suitable for analyses of the Korean language [3].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ology that uses a case grammar approach to analyze the traceability between documents written in Korean. A discussion regarding some examples of such an analysis will follow.

제한된 타입 시그니처 기반의 시맨틱 파싱 (Semantic parsing with restricted type signatures)

  • 남대환;이근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0년도 제3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69-571
    • /
    • 2020
  • 시맨틱 파싱은 주어진 자연어 발화를 domain specific language(DSL)를 따르는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시맨틱 파서가 다형성을 가지는 DSL을 사용할 경우, 적은 수의 토큰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출력할 수 있지만, 탐색 공간이 넓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다형성을 가지는 DSL의 타입 시그니처를 제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해당 방법은 sequence-to-sequence 기반의 시맨틱 파싱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효율적임을 보였다.

  • PDF

A Unicode based Deep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model for Telugu to English Language Translation

  • BV Subba Rao;J. Nageswara Rao;Bandi Vamsi;Venkata Nagaraju Thatha;Katta Subba Ra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2호
    • /
    • pp.101-112
    • /
    • 2024
  • Telugu language is considered as fourth most used language in India especially in the regions of Andhra Pradesh, Telangana, Karnataka etc. In international recognized countries also, Telugu is widely growing spoken language. This language comprises of different dependent and independent vowels, consonants and digits. In this aspect, the enhancement of Telugu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HCR) has not been propagated. HCR is a neural network technique of converting a documented image to edited text one which can be used for many other applications. This reduces time and effort without starting over from the beginning every time. In this work, a Unicode based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U-HCR) is developed for translating the handwritten Telugu characters into English language. With the use of Centre of Gravity (CG) in our model we can easily divide a compound character into individual character with the help of Unicode values. For training this model, we have used both online and offline Telugu character datasets. To extract the features in the scanned image we u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ong with Machine Learning classifiers like Random Forest and Support Vector Machine. Stochastic Gradient Descent (SGD), Root Mean Square Propagation (RMS-P) and Adaptative Moment Estimation (ADAM)optimizers are used in this work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U-HCR and to reduce the loss function value. This loss value reduction can be possible with optimizers by using CNN. In both online and offline datasets, proposed model showed promising results by maintaining the accuracies with 90.28% for SGD, 96.97% for RMS-P and 93.57% for ADAM respectively.

Extracting the Topics from Texts Based on Situations

  • Ma, Zhiyi;Zhan, Xuegong;Yao, Tianshun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1996년도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 Selected Papers from the 11th Pacific Asia Conference on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Seoul
    • /
    • pp.357-362
    • /
    • 199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