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e speeds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9초

양방향 2차선 도로의 지체시간 산정 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a Delay Estimation Model for Two-Lane Highway)

  • 황경수;최재성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8년도 제34회 추계 학술발표회
    • /
    • pp.298-298
    • /
    • 1998
  • The delay on two-lane, Two-way roads is a very important factor which tends to cause relatively high driver loads and too much delay often leads to traffic accidents. In this study a generalized form of delay estimation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constant slow moving vehicle speeds, 100% no-passing zone, and flat terrain highway sections. To validate the model, a comparison was made with John Morrall's SMV(Slow Moving Vehicle)model as well as with TWOPAS model. Also a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check accuracy of the model. It was found that the model was easy to apply and yet provided reasonable results for experimental conditions specified in the study. It was recommended that speed calculation procedure of the model be improved by further studies, so that the effect of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according to highway geometries on delay could be analyzed more accurately.

  • PDF

휠 슬립에 강건한 확장칼만필터 기반 차량 상태 추정 (Vehicle State Estimation Robust to Wheel Slip Using Extended Kalman Filter)

  • 전명근;조아라;이경수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6-20
    • /
    • 2022
  • Accurate state estimation is important for autonomous driving. However, the estimation error increases in situations that a lot of longitudinal slip occurs.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 vehicle state estimation method using an Extended Kalman Filter. The filter estimates the states of the host vehicle robust to wheel slip. It utilizes the measurements of the four-wheel rotational speeds, longitudinal acceleration, yaw-rate, and steering wheel angle. Nonlinear measurement model is represented by Ackermann Model. The main advantage of this approach is the accurate estimation of yaw rate due to the measurement of the steering wheel angle.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ified in scenarios of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 lane change (LC), lane keeping (LK) using an automated vehicle.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guarantees accurate estimation in such scenarios.

국도 4차로 곡선부에서 주행속도의 특성 및 모형 (Characteristics and Modeling of Operating Speed at Horizontal Curves on Rural Four-Lane Highways)

  • 고종대;장명순;정준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95-105
    • /
    • 2002
  • 특정 설계속도 기준에 따라 도로의 선형 조건이 주어졌을 때, 설계자가 기대했던 것만큼의 속도로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는지는 도로의 안전성을 좌우하는 기본 틀을 형성한다. 본 연구는 국도 4차로 평면 단곡선부의 1차로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고, 진입부 직선도로∼곡선부도로∼진출부 직선도로로 구분하여 선행차량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승용차의 주행속도를 NC-97장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다양한 곡선부 기하조건 하에서 직선부 85백분위 주행속도(Vt)와 곡선부 85백분위 주행속도 (Vc)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곡선부에서 평균 S3∼65%정도의 많은 운전자들이 제한속도(80kph) 보다 평균14∼20kph 정도 높게 주행하고, 곡선부 85백분위 주행속도가 낮은 지점은 곡선반경이 작을 때는 곡선부 중앙(2L/4)이었으나 곡 선반경이 커지면 곡선부 L/4지점으로 이동(단, L=곡선장)하고, 곡선반경에 따른 직선부·곡선부 85백분위 주행속도 차이는 곡선반경이 작을수록 커지고 곡선반경이 클수록 작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 현장조사결과와 개발한 모형을 통하여 곡선부 주행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는 곡선반경과 직선부 85백분위 주행속도라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고속도로 졸음쉼터 진·출입 차량 주행속도 분석 및 적정 가·감속차로 길이 산정 연구 (Estimating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Lane Lengths by Analyzing Vehicle Speed Variation of Rest Areas for Drowsy Drivers)

  • 한다정;김응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4-6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졸음쉼터의 진 출입 차량 주행속도 조사를 통해 졸음쉼터 가 감속차로 길이, 설치위치의 종단경사 및 곡선반경이 주행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졸음쉼터 적정 가 감속차로 길이 산정을 위해, VISSM을 활용하여 진출입부 길이 별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가 감속차로를 이용하는 차량의 개별차량 주행궤적 자료를 추출하여 차량의 감속 및 가속도의 표준 편차를 산출하였다. 주행속도 조사 결과 졸음쉼터 설치위치의 곡선반경 및 종단경사에 따른 속도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엇보다 가 감속차로 길이에 따른 차량 간의 속도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가 감속차로 길이가 짧게 설치된 졸음쉼터의 경우 차량 간의 속도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차량이 졸음쉼터 진입 시 충분히 감속을 하지 못하고 진입하거나 졸음쉼터 이용 후 본선 진입 시 충분히 가속을 하지 못한 채로 본선에 진입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 감속차로 길이에 따른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진입부의 경우 245m 이상의 감속차로 길이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속차로의 경우 370m 이상으로 설치하였을 때 안전한 진출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Congestion effect on maximum dynamic stresses of bridges

  • Samanipour, Kianoosh;Vafai, Hassa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5권1호
    • /
    • pp.111-135
    • /
    • 2015
  • Bridge behavior under passing traffic loads has been studied for the past 50 years. This paper presents how to model congestion on bridges and how the maximum dynamic stress of bridges change during the passing of moving vehicles. Most current research is based on mid-span dynamic effects due to traffic load and most bridge codes define a factor called the dynamic load allowance (DLA), which is applied to the maximum static moment under static loading.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to solve the governing equation of the bridge as well as the equations of motions of two real European trucks with different speeds, simultaneously. It will be shown, considering congestion in eight case studies, the maximum dynamic stress and how far from the mid-span it occurs during the passing of one or two trucks with different speeds. The congestion effect on the maximum dynamic stress of bridges can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gnitude. By finite difference method, it will be shown that where vehicle speeds are considerably high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railway bridges which have more than one railway line or in the case of multiple lane highway bridges where congestion is probable, current designing codes may predict dynamic stresses lower than actual stresses; therefore, the consequences of a full length analysis must be used to design safe bridges.

설계일관성을 반영한 감가속도 프로파일 개발 - 지방부 다차로도로를 중심으로 -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Profile Development of Reflecting Road Design Consistency)

  • 최재성;이종학;정상민;조원범;김상엽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03-111
    • /
    • 2013
  • PURPOSES : Previous Speed Profile reflects the patterns of speeds in sections of tangents to curves in the roads. However these patterns are uniform of speeds and Acceleration/Deceleration. In oder to supplement these shortcomings. this study made a new profile which can contain factors of Acceleration/Deceleration through theories of Previous Speed Profiles. METHODS : For sakes, this study developed the speed prediction model of Rural Multi-Lane Highways and calculated Acceleration/Deceleration by appling a Polynomial model based on developed speed prediction model. Polynomial model is based on second by second. Acceleration/Deceleration Profile is developed with the various scenarios of road geometric conditions. RESULTS : The longer an ahead tangent length is, The higher an acceleration rate in curve occurs due to wide sight distance. However when there are big speed gaps between two curves, the longer tangent length alleviate acceleration rate. CONCLUSIONS : Acceleration/Deceleration Profile can overview th patterns of speeds and Accelerations/Decelerations in the various road geometric conditions. Also this result will help road designer have a proper guidance to exam a potential geometric conditions where may occur the acceleration/deceleration states.

충격파를 고려한 입체교차로의 감속차로 길이 산정방안 (Determination of Deceleration Lane Length in Interchange with Shock-Wave Theory)

  • 김정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45-151
    • /
    • 2009
  • 현행 고속도로 연결로 중 감속차로의 길이는 자유교통류 상태에서 유출차량이 본선과 유출부 사이의 속도의 차이에 적응할 수 있는 제동거리로써 결정된다. 그러나 실제 도로의 운영상태에서는 항상 자유교통류 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며 때로는 유출부에서 대기행렬이 형성되게 된다. 대기행렬은 그 이후 접근하는 유출차량이 감속차로 이전에서부터 감속을 해야 하는 상황을 발생시켜 본선 교통류에 영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일부 입체교차로에서는 감속차로의 길이보다 더 길게 대기행렬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본선 최하위 차로까지 점유하게 되어 소통 및 안전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하여 충격파 이론을 적용하여 본선 및 유출부의 교통량, 설계속도 등에 따른 유출부 감속차로에서의 대기행렬 길이를 산정하여 현행 감속차로의 길이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대기행렬이 본선 교통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감속차로의 수에 따른 대기행렬길이의 변화도 분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유출램프의 설계속도를 10km/h 상향시킴으로써 대기행렬의 길이는 10% 감소되며, 램프의 차로수를 1개에서 2개로 증가시키게 되면 50%의 대기행렬 감소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실시간 이미지 처리 방법을 이용한 개선된 차선 인식 경로 추종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Improved Geometric Path Tracking Algorithm with Real Time Image Processing Methods)

  • 서은빈;이승기;여호영;신관준;최경호;임용섭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5-41
    • /
    • 2021
  • In this study, improved path tracking control algorithm based on pure pursuit algorithm is newly proposed by using improved lane detection algorithm through real time post-processing with interpolation methodology. Since the original pure pursuit works well only at speeds below 20 km/h, the look-ahead distance is implemented as a sigmoid function to work well at an average speed of 45 km/h to improve tracking performance. In addition, a smoothing filter was added to reduce the steering angle vibration of the original algorithm, and the stability of the steering angle was improved. The post-processing algorithm presented has implemented more robust lane recognition system using real-time pre/post processing method with deep learning and estimated interpolation. Real time processing is more cost-effective than the method using lots of computing resources and building abundant dataset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eep learning networks. Therefore, this paper also presents improved lane detection performance by using the final results with naive computer vision codes and pre/post processing. Firstly, the pre-processing was newly designed for real-time processing and robust recognition performance of augmentation. Secondly, the post-processing was designed to detect lanes by receiving the segmentation results based on the estimated interpol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continuous lanes. Consequently, experimental results by utilizing driving guidance line information from processing parts show that the improved lane detection algorithm is effective to minimize the lateral offset error in the diverse maneuvering roads.

보행자 작동신호기 설치기준 정립을 위한 적정 차량 및 보행자 교통량 추정모형 (Models for Determining the Vehicle and Pedestrian Volumes for the installation of Pedestrian Pushbuttons)

  • 윤승섭;양재호;김남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88-496
    • /
    • 2015
  • 일부 신호 횡단보도에서는 교통 운영의 효율을 위해 보행자 작동신호기를 설치한다. 현재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설치기준은 보행자 수가 적은 단일로 횡단보도에서 설치하도록 제시되어 있다. 또한 해당 기준은 차량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행자 측면의 고려도 필요하다. 이러한 설치기준은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공학적인 기준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보행자교통량과 차량교통량에 따라 각각의 지체시간을 산출하고 보행자와 차량을 동등한 입장에서 비교하여 공학적인 설치기준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체시간 산출을 위해 도로의 설계기준에 따른 횡단구성, 보행자 녹색시간, 보행자와 차량의 균일 도착분포 시나리오를 가정하였다. 그 결과 양방향 2차로일 경우 보행자 교통량이 97인/시 이하일 경우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차량보다 보행자에게 유리한 교통량 기준이다. 4개의 차로 수 시나리오에 따라 양방향 3차로, 양방향 4차로(설계속도80km/h, 100km/h)일 경우 각 85, 70, 70인/시 이하일 경우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MART Highway 오르막차로 설치 필요성 및 기준 연구 (Necessity of Climbing Lane on SMART Highway and its Design Guidelines)

  • 김상구;김영춘;심대영;이용문;김종원;김흥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73-486
    • /
    • 2014
  • 본 연구는 SMART Highway에서 종단선형에 따른 표준트럭의 교통영향을 분석하여 오르막차로 설치 필요성을 검토하고 오르막차로 필요 시 경사길이에 따른 속도변화 곡선을 구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MART Highway는 미래 고속도로이므로 표준트럭의 실제 주행실험이 불가능하여 VISSIM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하여 오르막구간에서 표준트럭의 속도변화를 구하였다. 오르막차로의 표준트럭은 100kg/kW(170lb/hp)로 결정하고 진입속도는 장래 여건을 고려하여 90, 100, 110km/h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SMART Highway 환경하에서 종단선형 1, 2%에서 오르막차로는 필요하지 않고 3%의 오르막구간에서만 설치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3% 종단선형에서 오르막차로를 설치하기 위해 진입속도 90, 100, 110km/h에서 경사길이에 따른 트럭의 속도변화 곡선을 제시하였고 오르막차로 설치 위치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