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fill gas.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5초

오염총량 개념을 적용한 매립장 사후관리종료제도 개선 방안 (Improvement Method for the Post-Management End System of a Landfill by Applying Total Pollutant Load Concept)

  • 천승규;심낙종;전은정;류돈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5-23
    • /
    • 2021
  • 오염총량 개념을 반영한 매립장 사후관리종료제도 개선방안을 수도권매립지 제1매립장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매립가스 모델을 통해 분석한 메탄 잔여비율은 총 발생 가능량인 2,521×106 Nm3에 대하여 2020년 8.8%, 2030년 7.0%, 2040년 6.5%이었다. 2020년 이후의 표면발산 메탄량에 2005~2019년의 평균 산화율 89.1%를 적용할 경우, 실제 배출기준 메탄 잔여율은 2020년 1.01%, 2030년 0.76%, 2040년 0.70%로서 2025년 이후 메탄이 전량 표면 발산되어도 2019년 기준 표면 발산량보다 적어 사후관리 종료가 가능하였다. 침출수 수질에 대한 추이분석 결과, BOD는 2024년, COD 2047년, T-N은 2117년경에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사후관리종료를 배출부하량을 기준으로 변경할 경우 BOD는 현 시점에서 그리고 COD도 수년 내 사후관리종료가 가능하나, T-N의 경우 2041년 이후에나 가능하여 근본적인 관리방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매립지 메탄 및 악취 배출 저감을 위한 바이오커버 및 바이오필터의 현장적용 평가 연구 (Evaluation of field application of biocover and biofilter to reduce landfill methane and odor emissions)

  • 채정석;전준민;오경철;류희욱;조경숙;김신도
    •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9-149
    • /
    • 2017
  • In order to reduce odor and methane emission from the landfill, open biocovers and a closed biofilter were applied to the landfill site. Three biocovers and the biofilter are suitable for relatively small-sized landfills with facilities that cannot resource methane into recovery due to small volumes of methane emission. Biocover-1 consists only of the soil of the landfill site while biocover-2 is mixed with the earthworm casts and artificial soil (perlite). The biofilter formed a bio-layer by adding mixed food waste compost as packing material of biocover-2. The removal efficiency decreased over time on biocover-1. However, biocover-2 and the biofilter showed stable odor removal efficiency. The rates of methane removal efficiency were in order of biofilter (94.9%)>, biocover-1(42.3%)>, and biocover-2 (37.0%). The methane removal efficiency over time in biocover-1 was gradually decreased. However, drastic efficiency decline was observed in biocover-2 due to the hardening process. As a result of overturning the surface soil where the hardening process was observed, methan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again. The biofilter showed stable methane removal efficiency without degradation. The estimate methane oxidation rate in biocover-1 was an average of 10.4%. Biocover-2 showed an efficiency of 46.3% after 25 days of forming biocover. However, due to hardening process efficiency dropped to 4.6%. After overturn of the surface soil, the rate subsequently increased to 17.9%, with an evaluated average of 12.5%.

음식물류 폐수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의 스케일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use of Scale Formation in Biogas Plant with Food Wastewater)

  • 배영신;천승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660-665
    • /
    • 2013
  • 소화설비내 스케일 형성의 주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스케일 성분분석 및 음식물류 폐수에 대한 혐기소화 실험을 하였다. 성분분석결과, 음식물류 폐수 중 유분이 스케일의 유기성분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또한, 소화실험시 소화조내 결정체의 발생량은 음식물류 폐수중 유분을 사전에 제거한 경우가 제거하지 않은 원수를 소화한 경우의 58.9% 수준으로 나타나 유분이 스케일 형성의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유분을 제거한 음식물류 폐수는 68.7 L-gas/kg-COD 그리고 음식물류 폐수 원수는 67.7 L-gas/kg-COD로서 유분의 사전제거가 소화가스 생산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았다.

비위생매립지 정밀조사 및 침출수 방지를 위한 정비방안 연구 (Case Study of Remidation and Investigation of Closed Unsanitary Landfill for Prevention of Leachate)

  • 김상근;이용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5-13
    • /
    • 2012
  • 지난 10년 동안 폐기물의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여 매립지의 숫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건설되는 폐기물 매립지는 차수층, 침출수 집배수층 및 최종복토층 등을 갖춘 위생매립지이며 폐기물관리법의 기준을 만족하는 처리시설로 건설된다. 그러나 과거 매립지는 차수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단순 비위생 매립지의 형태로써 침출수 발생에 의한 지하수 및 지표수 수질오염과 토양오염을 지속적으로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위생 형태의 사용종료매립장은 주변 지하수 및 토양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환경부에서는 침출수 처리 및 사후관리가 미흡한 사용종료 매립지에 대하여 '사용종료매립지 정비지침'을 제정하여 관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택시에 위치한 D 사용종료 비위생 매립장에 대하여 정비지침의 안정화도 조사기법에 따라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환경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D 매립지의 경우, 침출수의 외부누출 등으로 주변 지표수 및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어 우수배제시설 및 심층혼합공법시설을 설치하여 현지안정화 사업을 수행하였다.

LFG 혼합 연료의 화염 안정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Flame Stabilization of the LFG Mixing Gas)

  • 김선호;오창보;이창언;이인대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1999년도 제19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165-172
    • /
    • 1999
  • Landfill gas has merely half heating value compared with liquified natural gas but can be greatly utilized as a commercial fuel. The authors have examined emission characteristics as well as measured burning velocity of LFG mixed gas which contains plenty of $CO_{2}$. With the viewpoint of fuel utilization, flame stability could be one of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LFG.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experiments are conducted between $CH_{4}$ and LFG for searching the region of flame stabilization based upon the flame blowout at maximum fuel stream velocit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stabilization region of LFG is not improved with that of $CH_{4}$ in non-swirl/or weak swirl jet diffusion flame. However, it is also known that flame stability is hardly affected by inert gas in the strong swirl with considering widened flame stabilization region of LFG rather than LNG.

  • PDF

생활폐기물 매립장 침출수의 삼중수소 분포 (Tritium Distribution in Leachates from Domestic Solid Waste Landfills)

  • 박순달;김정석;조기수;김종구;김원호
    • 분석과학
    • /
    • 제17권3호
    • /
    • pp.251-262
    • /
    • 2004
  • 생활폐기물을 매립, 처리하는 위생매립장에서 발생된 침출수의 삼중수소 분포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침출원수, 처리수 및 메탄가스응축수의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침출수 및 처리수의 콜로이드 크기에 따른 삼중수소의 용존특성을 조사하였다. 침출수의 주요 무기물 오염성분은 Na, K, Ca, Mg, 암모니아성 질소 및 염소이온이었다. 연구대상 매립장중 2개 매립장을 제외한 나머지 매립장의 침출수에서 환경준위보다 수십 내지 수백 배 이상 높은 농도의 삼중수소가 검출되었으며, 조사기간중 침출수의 평균 삼중수소 농도분포는 17 ~ 1196 TU였다. 메탄가스응축수 및 침출수 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에서도 침출수와 비슷한 수준의 삼중수소가 검출되었다. 이와 같은 삼중수소의 농도는 삼중수소의 음용수 기준에 비해 약 100배 이상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침출수중 삼중수소는 대부분 $0.45{\mu}m$ 이하의 용해성 콜로이드에 분포되어 있었나, 일부는 $0.45{\mu}m$ 이상의 콜로이드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침출수의 삼중수소와 총유기성탄소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침출수의 삼중수소 농도는 매립장의 규모, 수문학적 특성 및 매립연령 등과 특별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기관 모사 정적연소실에서 매립지 가스의 연소특성에 대한 연구 (I) - 기초 특성 -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Landfill Gas in Constant Volume Combustion Chamber for Large Displacement Volume Engine (I) - Fundamental Characteristics -)

  • 엄인용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8호
    • /
    • pp.733-741
    • /
    • 2013
  • 본 논문은 대형 상용기관을 모사한 정적연소실에서 매립지 가스의 연소 특성에 대한 복수의 논문 중 첫 논문으로, 연소특성을 연소화학양론 및 열역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소화학양론 및 열역학적 분석에서 연료조성과 당량비에 따라 기연가스의 조성이 변화하고 이에따라 정적비열이 변화하여 동일 발열량에 최종압력은 변화하며, 이것은 실제 연소압력 측정결과와 대체로 일치한다. 연료조성과 당량비에 따른 상대적 압력변화 및 연소기간도 분석결과와 실험결과가 경향상 일치한다. 분석과 실험 결과 사이의 차이는 열전달량의 차이에 기인한 온도저하 및 이에 따른 정적비열의 변화가 주요 원인이며, 연소실 체적과 점화위치도 연소기간과 온도에 큰 영향을 준다. 최종적으로 정적연소에서 연료변환효율은 메탄 분율이 작을수록 그리고 당량비 0.8 ~ 0.9 사이에서 최대가 되며, 이러한 연료변환효율의 증가는 실물기관에서 비열비 감소의 효과를 상쇄하고 남으므로 순수 메탄보다 LFG의 연소가 효율 면에서 유리하다.

공기주입 방식을 이용한 매립모형조내 폐기물 안정화 (Stabilization of Solid Waste in Lysimeter by Air Injection Mode)

  • 김경;박준석;이환;이철효;김정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5-22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ir injection mode on stabilization of solid waste in lysimeter. For three lysimeters, one was maintained under anaerobic condition as control, and air was injected into two lysimeters in continuous mode (atmospheric pressure) and intermittent mode (high pressure of 2 bar). Distilled water was sprayed over solid waste in 1.4 l/$m^3$(solid waste)/day, supposing rainfall intensity of 1,200 mm/yr and 30% infiltration. Oxygen in landfill gas was not detected in control lysimeter during operational days. After 30 day-aeration, oxygen concentrations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modes were maintained in 14% and 6%, respectively. $COD_{Cr}$ removal efficiencies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modes were about 70% and 50%, and BOD5 removal efficiencies were about 80% and 20%, respectively. In view of oxygen supply, and $COD_{Cr}$ and $BOD_5$ removal, continuous air injection mode of atmospheric pressure was more effective than intermittent mode of 2 bar. Settling degree of solid waste in case of two air injection modes was 3 times higher than that of anaerobic condition as control.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it was thought that air injection (especially continuous atmospheric pressure) could improve degradation of solid waste and induce preliminary stabilization in landfill site.

The Development of a Biofilter to Reduce Atmospheric Methane Emissions from MSW Landfills

  • Park, Soyoung;K.W. Brown;J.C. Thomas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73-76
    • /
    • 2002
  • Biofilter performance to reduce C $H_4$ emissions from MSW landfills was tested under a variety of environmental and design conditions. The optimum soil moisture content for C $H_4$ oxidation in a loamy sand was 13% by weight. The addition of N $O_3$-N did not affect the C $H_4$ oxidation rate. Soil depths of 30cm and 60cm were equally efficient in C $H_4$ oxidation. When the C $H_4$ loading rate was decreased, the percentage of C $H_4$ oxidized increased. The maximum C $H_4$ oxidation rate was 27.2 mol $m^{-2}$ $d^{-1}$ under optimum conditions (loamy sand soil, 13% moisture content, 30cm soil depth, and an loading rate of 32.8 mol $m^{-2}$ $d^{-1}$).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nstallation of a properly sized and managed biofilter above a landfill cover should be capable of achieving a major reduction in atmospheric methane emissions from MSW landfills built with RCRA cov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