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초

고해상도 Landsat 8 위성자료기반의 지표면 온도 산출 (Retrieval of Land SurfaceTemperature based on High Resolution Landsat 8 Satellite Data)

  • 지준범;김부요;조일성;이규태;최영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1-183
    • /
    • 2016
  • 2013년부터 2014년까지 관측된 Landsat 8 위성자료로부터 지표면 온도를 산출하였고 산출된 지표면 온도는 지상에서 관측된 지표면 온도를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지표면 온도지도는 Landsat 8로부터 산출된 지표면 온도를 지상에서 관측된 지표면 온도와의 선형 회귀식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계절과 년에 대한 지표면 온도는 각각 계절과 년에 대하여 사례들을 평균하여 계산되었다. 지표면 온도는 도시의 공업 또는 상업지역에서 높은 온도가 나타나는 반면, 서울주변의 높은 고도의 산악과 해양, 강 등에서 낮은 지표면 온도가 나타났다. 위성에서 산출된 지표면 온도를 보정하기 위하여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지역에서 관측되는 기상청 종관측소 3개 지점 (서울(지점번호: 108), 인천(지점번호: 119), 수원(지점번호: 112))의 지표면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선형회귀방법을 적용하였다. Landsat 8의 지표면 온도는 모든 자료에서 기울기가 0.78이었고 5개의 흐린날을 제외한 맑은 상태의 자료에서 0.88이었다. 그리고 초기 지표면온도에서 상관계수는 0.88이었고 평방근 오차 (Root Mean Sqare Error (RMSE))는 $5.33^{\circ}C$이었다. 지표면 온도 보정이후에는 상관계수는 0.98 그리고 RMSE는 $2.34^{\circ}C$이었으며 회귀식의 기울기는 0.95로 개선되었다. 계절 및 년 지표면 온도는 상업지역과 공업지역 그리고 도시와 주변지역을 잘 표현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상에서 관측된 지표면 온도를 이용하여 위성에서 산출된 지표면온도를 보정하였을 때 실제 상태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Evaluating Tropical Night by Comparing Trends of Land cover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in Seoul, Korea

  • Sarker, Tanni;Huh, Jung Rim;Bhang, Kon Joo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3-130
    • /
    • 2020
  •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LST (Land Surface Temperature) and TN (Tropical Night) was observed with the analyses of land cover change and LST by associating with the frequency of TN during the period of 1996 to 2016. The analyses of land cover and LST was based on the images of Landast 5 and 8 for September in 1996, 2006, and 2016 at a 10 year interval. The hourly-collected atmospheric temperatures for the months of July and August during the period were collected from AWSs (Automatic Weather Stations) in Seoul for the frequency analysis of TN. The study area was categorized into five land cover classes: urban or built-up area, forest, mixed vegetation, bare soil and water. It was found that vegetation (-7.71%) and bare soil (-9.04%) decreased during the period while built-up (17.29%) area was expanded throughout the whole period (1996-2016), indicating gradual urbanization. The changes came along with the LST rise in the urban area of built-up and bare soil in Seoul.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TN has increased in 4.108% and 7.03% for July and August respectively between the two periods of the 10 year interval, 1996-2006 and 2006-2016. By comparing the increasing trends of land cover, LST, and TN, we found a high probability that the frequency of TN had a relationship with land cover changes by the urbanization process in the study area.

인공열과 land-use가 부산시의 열적 환경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nthropogenic Heat Flux and Land-Use on Thermal Environment in Pusan)

  • 김유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3-372
    • /
    • 2000
  • In order to overtake a quantitative analysis of effect of anthropogenic heat and different land-use on urban thermal environment numerical simulation of surface energy budget was carried out under typical summer synoptic condition. It is beneficial to understand surface temperature of complex urban surace. The different land-use types are classified of rice field farm fruit garden residential region forest water and swamp by using map scaled 1/25000 of Pusan metropolitan. The model predicts that maximum heat island intensity in the central part of Pusan is 7$^{\circ}C$ at 2000 LST in summertime. The surface temperature is propotional to the density of constructions. The effect of anthropogenic heat generation on surface temperature is the increase of 0.3$^{\circ}C$ at 1400LST in the central part of Pusan during summertime.

  • PDF

MODIS 지표면 온도 자료와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한 지상 기온 추정 (Estimation of Near Surface Air Temperature Using MODIS Land Surface Temperature Data and Geostatistics)

  • 신휴석;장은미;홍성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55-63
    • /
    • 2014
  • 수문학, 기상학 및 기후학 등에서 필수적인 자료중의 하나인 지상기온 자료는 최근 보건, 생물, 환경 등의 다양한 분야로까지 활용영역이 확대되고 있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지상관측을 통한 지상기온자료의 취득은 시공간적인 제약이 크기 때문에 실측된 기온자료는 시공간 해상도가 낮아 높은 해상도가 요구되는 연구 분야에서는 활용성에 큰 제약을 갖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시공간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 위성영상자료에서 얻을 수 있는 지표면온도 자료를 이용하여 지상기온을 추정하는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AWS(Automatic Weather Station)에서 취득된 2010년 지상 온도 자료(AWS data)를 바탕으로 대표적인 지표면 온도자료인 MODIS Land Surface temperature(LST data:MOD11A1)와 지상기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Land Cover Data, DEM(digital elevation model) 등의 보조 자료와 함께 다양한 지구통계 기법들을 이용하여 남한 지역의 지상기온을 추정하였다. 추정 전 2010년 전체(365일) LST자료와 AWS자료와의 차이에 대한 RMSE(Root Mean Square Error)값의 계절별 피복별 분석결과 계절에 따른 RMSE값의 변동계수는 0.86으로 나타났으나 피복에 따른 변동계수는 0.00746으로 나타나 계절별 차이가 피복별 차이보다 큰 것으로 분석 되었다. 계절별 RMSE 값은 겨울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WS자료와 LST자료와 보조자료를 이용한 선형 회귀분석결과에서도 겨울철의 결정 계수가 가장 높은 0.818로 나타났으며, 여름철의 경우에는 0.078로 나타나 계절별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통계 기법들의 대표적인 방법론인 크리깅 방법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정규 크리깅, 일반 크리깅, 공동 크리킹, 회귀 크리깅을 이용하여 지상기온을 추정한 후 모델의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교차 검증을 실시한 결과 정규 크리깅과 일반 크리깅에 의한 RMSE 값은 1.71, 공동 크리깅과 회귀 크리깅에 의한 RMSE 값은 각각 1.848, 1.63으로 나타나 회귀 크리깅 방법에 의한 추정의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반도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MODIS LST 영상자료의 활용 (The Utilization of MODIS LST Imagery for Droughts Monitoring in the Korean Peninsula)

  • 유지영;최민하;김태웅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04-104
    • /
    • 2010
  • 지난 2008년 가을부터 시작되어 2009년 봄까지 발생했던 전국적인 극한 가뭄을 계기로 가뭄모니터링의 필요성은 증대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MODIS 위성영상 자료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MODIS 영상은 임의의 지역의 시 공간적 특성을 관찰할 수 있는 해상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MODIS에서 제공하는 MOD11(LST: Land Surface Temperature)은 가뭄 발생의 판별에는 유효하나 가뭄 심도와 지속기간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강우량 및 가뭄지수와의 비교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D11(LST) 위성자료와 EDI(Effective Drought Index) 가뭄지수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한반도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MODIS 위성영상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 PDF

Terra/Aqua MODIS LST와 기온과의 상관성 분석: 한파 및 폭염 발생 기간을 중심으로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erra/Aqua MODIS LST and Air Temperature: Mainly on the Occurrence Period of Heat and Cold Waves)

  • 정지훈;이용관;이지완;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97-21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Terra/Aqua MODIS LST(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Land Surface Temperature)의 Daytime, Nighttime 자료와 기상청 기상관측소 86개 지점에 대한 최고, 최저 및 평균기온을 이용하여 두 자료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한파 및 폭염 발생 기간의 특성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총 11년간 일별로 구축하였으며, Pearson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와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를 이용하여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계열 분석 결과, 대상 기간 전체에서 기온과 MODIS LST 간의 변동 양상은 유사하였고, 최고 기온과 MODIS 자료의 R 0.9 이상, 평균기온과 최저 기온과는 0.8 이상으로 기온과 MODIS LST 사이의 상관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고 기온은 Terra MODIS LST Daytime과 정확도가 제일 높고, 최저 기온은 Terra MODIS LST Nighttime과 상관성이 제일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파 기간에는 Terra/Aqua MODIS 모두 주간 자료보다 야간 자료의 상관성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Terra MODIS LST Nighttime과의 상관성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폭염 기간에는 Aqua MODIS LST Daytime 자료가 가장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전체적인 R이 0.5보다 낮아 추후 활용을 위해서는 식생이나 토지이용, 고도 등 다른 요소를 활용한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EMPORAL VARIATIONS OF URBAN HEAT ISLAND USING LAND SURFACE TEMPERATURE DERIVED FROM MTSAT-1R

  • Hong, Ki-Ok;Suh, Myoung-Seok;Kang, Jeon-Ho;Kwak, Chong-Heum;Kim, Chan-So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290-293
    • /
    • 2007
  •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derived from the meteorological satellite can be used to investigate the urban heat island (UHI) and its temporal variatio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LST retrieval algorithm from MTSAT-1R by means of a statistical regression analysis from radiative transfer simulations using MODTRAN 4 for a wide range of atmospheric, satellite viewing angle (SVA) and lapse rate conditions. 535 sets of thermodynamic initial guess retrieval (TIGR) were used for the radiative transfer simulations. Sensitivity and inter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the algorithm, developed in this study, estimated the LST with a similar bias and root mean square errors to that of other algorithms. The magnitude, spatial extent, and seasonal and diurnal variations of the UBI of Korean peninsula were well demonstrated by the LST derived from MTSAT-1R data. In general, the temporal variations of UHI clearly depend on the weather conditions and geographic environment of urban.

  • PDF

LANDSAT영상을 이용한 여름철 청주지역의 토지피복과 지표면온도와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Cover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at Cheongju Region Using Landsat Images in Summer Day)

  • 박종화;김진수;나상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5호
    • /
    • pp.39-48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an indirect method to estimate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efficiently, using Landsat images. Agricultural fields including paddy fields have long been known to have multi-functions beneficial to the environment and ecology of the urban surrounding areas. Among these functions, the ambient temperature cooling (ATC) effect is widely acknowledged. However, quantitative and regional assessment of such effect has not been performed. Thermal remote sensing has been used over urban areas to assess the ATC effect, Thermal Island Effect(TIE), and as input for models of urban surface atmosphere exchange. Here, we review the use of thermal remote sensing in the study of paddy fields and urban climates, focusing primarily on the ATC effect. Landsat satellite imag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surface temperatures of different land cover types of a $44km^{2}$ study area in Cheongiu,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ATC is a function of paddy area percentage in Landsat pixels. Landsat pixels with higher paddy area percentage have much more cooling effect. The use of satellite data may contribute to a globally consistent method for analysis of ATC effect.

수도권 AWS 기온을 이용한 MODIS, Landsat 위성의 지표면 온도 분석 (Analysis of Land Surface Temperature from MODIS and Landsat Satellites using by AWS Temperature in Capital Area)

  • 지준범;이규태;최영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15-329
    • /
    • 2014
  •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지표면 온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Landsat과 MODIS의 지표면 온도, AWS의 기온, 지표면 고도 및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였다. Landsat과 MODIS 위성의 지표면 온도와 AWS 기온의 분석은 상관계수, 평방근 오차(Root Mean Squared Error, RMSE), 선형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Landsat과 MODIS 지표면 온도의 상관계수는 0.32이고 RMSE는 4.61 K였다. 그리고 Landsat과 MODIS 지표면 온도와 AWS 기온의 상관성은 각각 0.83과 0.96이며 RMSE는 3.28 K, 2.25 K이었다. Landsat과 MODIS 지표면 온도는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각각의 선형회귀의 기울기는 0.45와 1.02이었다. Landsat 5의 경우 전체 관측소에 대하여 0.5이하의 낮은 상관성을 보였고 Landsat 8의 경우는 일치되는 지점이 다른 위성에 비하여 적었으나 0.5이상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Landsat 7은 대부분 0.8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대체적으로 서울중심부에서 높은 상관성이 나타났다. 위성의 지표면 온도와 지표유형에 따른 AWS 기온사이의 상관성은 0.8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Landsat 위성의 지표면 온도의 상관성은 0.84이었고 RMSE는 3.1 K이상이었으며 MODIS 위성의 상관계수는 0.96이상이고 RMSE는 2.6 K이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위성의 지표온도의 차이는 관측시각 차이에 의한 것으로 위성의 해상도에 따라 복사량을 탐지하는 지표면의 면적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Common Land Model의 국내 적용성 평가를 위한 유량 및 지면온도 모의 (Application of Common Land Model in the Nakdong River Basin, Korea for Simulation of Runoff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 이건행;최현일;권현한;김상단;정유진;김경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7-258
    • /
    • 2013
  • A grid-based configuration of Land Surface Models (LSMs) coupled with a climate model can be advantageous in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for a large scale area. We assessed the applicability of Common Land Model (CoLM) to runoff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simulations at the domain that encompasses the Nakdong river basin. To establish a high resolution model configuration of a $1km{\times}1km$ grid size, both surface boundary condition and atmospheric inputs from the observed weather data in 2009 were adjusted to the same resolution. The Leaf Area Index (LAI) was collected from MODerate 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and the downward short wave flux was produced by a nonstationary multi-site weather state model. Compared with the observed runoffs at the stations on Nakdong river, simulated runoffs properly responded to rainfall. The spatial features and the seasonal variations of the domain fairly well were captured in the simulated LSTs as well. The monthly and seasonal trend of LST were described well compared to the observations, however, the monthly averaged simulated LST exceeded the observed up to $2^{\circ}C$ at the 24 stations. From the results of our study, it is shown that high resolution LSMs can be used to evaluate not only quantity but also quality of water resources as it can capture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area of interest and its rainfall-runoff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