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 bacteria count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6초

젖산균과 온도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II)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II))

  • 조영;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9-95
    • /
    • 1991
  • 김치발효 중에 주로 나타나는 Lac. plantarum, Leu. mesenteoides, Ped. acidilactici, Lac. brevis 등의 젖산균들이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이 젖산균들을 순수 배양하여 염도 2.31%의 김치즙에 접종한 후 $30^{\circ}C$, $21^{\circ}C$, $7^{\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알코올 당의 변화 및 생균수의 변화를 관찰하고 관능검사를 하였다. Ethyl alcohol은 control group과 Leu. mesenteoides를 접종한 시료, 4종의 젖산균을 혼합 접종한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특히 $14^{\circ}C$에서 더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당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감소 정도는 pH 및 총산도의 변화와 잘 일치하였다. 총 생균수는 발효초기에는 증가하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ontrol group과 Leu. mesenteroides에 있어서 김치가 적당히 익은 정도의 pH및 산도를 보이는 시기와 최고의 균수에 도달하는 시기가 일치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모든 온도에서 Control group이 냄새와 맛이 가장 좋았고 그 다음 4종의 젖산균을 혼합접종한 시료 Leu. mesentenoides를 접종한 시료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온도에 있어서는 $14^{\circ}C$에서 맛과 냄새가 좋았다.

  • PDF

유산균에 의한 양파 착즙액의 발효효과와 이화학적 특성 (Fermentation of onion extract by lactic acid bacteria enhances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김수환;이채미;정재희;최유리;이동훈;이채윤;허창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45-454
    • /
    • 2022
  • 본 연구는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양파 껍질을 식품으로 활용하고 유산균 발효를 통해 기능성 증진을 도모하고자 과육과 함께 양파 껍질을 착즙하고, 착즙액 발효에 적합한 유산균을 선정하고자 발효에 따른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양파 착즙액의 유산균 발효에 따라 pH와 당도는 감소하였으며, 적정 산도는 증가하였고 유산균 수는 발효 48시간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총 유리당 함량은 모든 발효물에서 감소하였으며, 유리당 조성 변화의 경우 Bb와 Lb 접종 양파 착즙액 발효물에서는 fructose, glucose 및 sucrose가 감소하였으며, 이외의 균주 접종 양파 착즙액 발효물에서는 fructose와 sucrose는 감소한 반면, glucose는 증가하였다. 총 유기산 함량은 발효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유기산 중 lactic acid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발효에 따른 quercetin 함량은 Ll, Ls 및 Pp 접종 양파 착즙액 발효물은 감소한 반면, Bb, Ef, Lb 및 St 접종 양파 착즙액 발효물은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Bb, Ll, Lb 및 Ls 접종 양파 착즙액 발효물은 증가하였으나, Ef, St 및 Pp 접종 양파 착즙액 발효물은 감소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t 접종 양파 착즙액 발효물을 제외한 모든 발효물에서 증가하였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유산균 발효에 의해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양파 착즙액의 유산균 발효는 생리활성과 기능성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B. breve KCTC 3441 균주 발효를 통해 quercetin, polyphenol, flavonoids 함량이 각각 50%, 57%, 39% 그리고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74%와 29% 증가되었다. 따라서 양파착즙액의 발효 균주는 B. breve KCTC 3441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Fresh Cheese Using a Bacteriocin-Producing Lactococcus lactis CAU2013 Strain

  • Yoon, Sung-Hee;Kim, Geun-Ba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1009-1019
    • /
    • 2022
  • In recent years, biocontrol of foodborne pathogens has become a concern in the food industry, owing to safety issues. Listeria monocytogenes is one of the foodborne pathogens that causes listeriosis. The major concern in the control of L. monocytogenes is its viability as it can survive in a wide range of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lactic acid bacteria with antimicrobial activity, evaluate their applicability as a cheese starter, and evaluate their inhibitory effects on L. monocytogenes. Lactococcus lactis strain with antibacterial activity was isolated from raw milk. The isolated strain was a low acidifier, making it a suitable candidate as an adjunct starter culture. The commercial starter culture TCC-3 was used as a primary starter in this study. Fresh cheese was produced using TCC-3 and L. lactis CAU2013 at a laboratory scale. Growth of L. monocytogenes (5 Log CFU/g) in the cheese inoculated with it was monitored during the storage at 4℃ and 10℃ for 5 days. The count of L. monocytogenes was 1 Log unit lower in the cheese produced using the lactic acid bacteria strain compared to that in the cheese produced using the commercial starter. The use of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as a starter culture efficiently inhibited the growth of L. monocytogenes. Therefore, L. lactis can be used as a protective adjunct starter culture for cheese production and can improve the safety of the product leading to an increase in its shelf-life.

Enhancing Raw Bovine Milk Quality using Ultraviolet-C (UV-C) Irradiation: A Microbial and Lipid Peroxidation Study

  • Davids Makararpong;Supawan Tantayanon;Chupun Gowanit;Jiranij Jareonsawat;Sukuma Samgnamnim;Sirirat Wataradee;Henk Hogeveen;Chaidate Inchaisr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72-389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ultraviolet-C (UV-C) irradiation in enhancing the quality of raw bovine milk by targeting microbial populations and lipid peroxidation, both of which are key factors in milk spoilage. We categorized the raw milk samples into three groups based on initial bacterial load: low (<3 Log 10 CFU/mL), medium (3-4 Log 10 CFU/mL), and high (>4 Log 10 CFU/mL). Using a 144 W thin-film UV-C reactor, we treated the milk with a flow rate of 3 L/min. We measured the bacterial count including standard plate count, coliform count,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ount, and lactic acid bacteria count and lipid peroxidation (via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ssay) pre- and post-treatment. Our results show that UV-C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bacterial counts, with the most notable reductions observed in high and medium initial load samples (>4 and 3-4 Log 10 CFU/mL, respectively). The treatment was particularly effective against coliforms, showing higher reduction efficiency compared to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and lactic acid bacteria. Notably, lipid peroxidation in UV-C treated milk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pasteurized or untreated milk, even after 72 hour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UV-C irradiation as a pre-treatment method for raw milk, offering substantial reduction in microbial content and prevention of lipid peroxidation, thereby enhancing milk quality.

흑미 첨가 막걸리의 항산화 및 발효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lack Rice Wine)

  • 김옥선;박성순;성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93-1700
    • /
    • 2012
  • 본 연구는 흑미를 첨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여 항산화 및 발효특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가 높았으며 특히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안토시아닌 함량과 비례하였다. 발효 3일째, pH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가 낮았다. 환원당과 유리당은 1일째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발효 초기에 당화 효소 활성으로 쌀의 전분이 glucose와 maltose 등으로 분해되기 때문이다. 모든 유기산은 발효 동안 증가하였으며 lactic acid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발효 동안 흑미 첨가 막걸리의 lactic acid와 succinic acid는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효 초기 젖산균수가 증가하여 3일째 최대에 달하였으며 이는 lactic acid가 급증한 시기와 일치하였다. 또한 흑미 첨가량이 많을수록 젖산균수가 높았다. 색도는 흑미의 붉은색의 영향으로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의 a값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은 흑미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전체적으로 단맛과 신맛의 영향을 받아 대조구와 20% 첨가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미를 첨가할수록 항산화 성분은 증가하나 관능평가 결과로 보았을 때 흑미는 20% 수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균이 물김치에서 분리한 효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on the Growth of Yeast from Mul-kimchi)

  • 송현주;박연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9-224
    • /
    • 1992
  • 식염농도 3로$15^{\circ}C$에서 발효시킨 물김치에서 젖산균과 효모의 균수변화를 측정한 결과 숙성기까지 효모의 수가 증가한 후 후기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성적기에 효모를 분리동정한 결과 Saccharomyuces sp.가 24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Kluyveromyces fragilis 3주, Torulopsis candida 2주도 발견되었다. 이 중에서 S.saitoanus Y17, S.capensis Y29, S.chevalieri Y13, K.fragilis Y2, T.candida Y9를 같은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 Lactobaccillus plan tarum Lp2, Pediococcus pentosaceus P1, Leuconostoc mesentroides Lu5와 각각 혼합배양하여 효모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모두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lacti acid나 H2O2에 의한 억제가 아닌 다른 물질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세 종류의 젖산균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정도는 효모의 종류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석류 농축액의 유산균에 대한 성장촉진효과와 요구르트의 적용 (The Growth-Promoting Effect of Pomegranate Concentrates on Lactic Acid Bacteria and Their Application to Yogurt)

  • 고윤정;김완섭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76-85
    • /
    • 2023
  • 본 연구는 유산균과 병원성균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요구르트 제조에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유산균인 W. cibaria KCCM 41287, W. paramesenteroides KCCM 40114, L. plantarum KCCM 11322, Lactobacillus lactis KCCM 43471, L. acidophilus KCCM 32820, L. cremoris KCCM 40699, L. bulgaricus KCCM 34717, S. thermophilus KCCM 40430은 석류 농축액에 의해서 성장이 촉진되었다. 석류 농축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한 성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병원성균인 E. coli KCCM 11587, E. coli KCCM 11591, E. coli KCCM 11596, 그리고 E. coli KCCM 11600는 석류 농축액에 의해서 성장이 억제되었다. 석류 농축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성장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병원성균에 대한 석류 농축물의 억제는 유산균에 대한 석류 농축물의 촉진 효과와는 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석류 농축액은 유산균에 있어서 프리바이오틱스로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석류 농축액을 첨가한 요구르트는 무첨가구에 비해 최적의 조건을 보였다. 특히 석류 농축액을 첨가한 요구르트에서 유산균의 생균 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저장 중 요구르트에서는 무첨가구보다 석류 농축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요구르트에서 유산균의 생존율이 더 높았다. 따라서 석류 농축액은 프리바이오틱스로서의 가능성과 유제품의 적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치즈를 첨가한 김치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Supplemented with Cheese.)

  • 배인휴;최성희;최희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5-419
    • /
    • 2002
  • 본 연구는 배추김치 제조시 김치의 단백질원인 젓갈 대신 치즈를 첨가하였을 때 김치의 발효적,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젓갈이 첨가된 대조구와 치즈가 첨가된 김치 모두 담근 후 2일까지 빠른 속도로 미생물이 증식되었으나, 담근 후 3일부터는 치즈 첨가 김치가 대조군 김치에 비하여 높은 생균수를 보였으며, 치즈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욱 더 높았다 pH는 대조구와 치즈 첨가 김치 모두 담근 후 하루동안 일시적으로 약간 상승하다가 2일째부터 급격히 저하되어 3일째에는 pH4.33-4.18로 가장 맛있다고 일반적으로 평가되는 김치의 pH 범위를 보였으며, 치즈 첨가량이 많을수록 pH가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발효속도는 대체로 치즈 첨가량이 많을수록 빨랐으며 특히 발효 3일 이후에는 7% 치즈 첨가군이 발효속도가 가장 빨랐다.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치즈를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수분이 대조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고 조단백질과 조지방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담근 후 3일 된 김치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젓갈을 넣은 대조구 김치보다 치즈를 3%, 5% 첨가한 김치가 외관, 향미, 질감, 맛 등 관능에서 대체적으로 좋은 점수를 받았다

김치의 저장 중 품질 유지를 위한 방안 개발 (A Method for Maintaining Good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 방병호;서정숙;정은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55
    • /
    • 2008
  • Colour and texture are the most difficult quality aspects of Kimchi to maintain during storag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o maintain superior quality Kimchi during fermentation without changes in color and texture. By examining differences between samples covered with vinyl(A group) and not covered with vinyl(B group) and assessing pH, total acidity, total viable cell count, total lactic acid bacteria cell cou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indicated that pH, total acidity, total viable cell and total lactic acid bacteria were similar between group A and B. Group A showed higher sensory score for colour, taste, texture and acceptability than group B(p<0.001). Covering the Kimchi with vinyl appeared to have a similar effect as when Kimchi is kept in a Kimchi-pot under stones or the outer leaves of vegetables making it possible to maintain good color and texture during storage. In conclusion, even though, it is not practical to use Kimchi-pots within urban settings today, vinyl coverings may offer the same effects.

대중음식점 냉면육수의 미생물 오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bial Contamination in Nangmyun-Broth Made in Common Restaurants)

  • 소명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22
    • /
    • 1990
  • Nangmyun-broth was collected as samples from 25 common restaurants in Bucheon to examine it's sanitary condition. The main course of bacterial contamination was persuited for it's sanitary improvement. Bacterial count in summer sample was not greatly different from that in winter, resulting in total count 1.7$\times$10i1m1, lactic acid bacteria 8.7$\times$106/ml, coliform group 1 2$\times$105/ml, Staphylococcus aureus 6.5$\times$102/ml. Bacterial contamination occurred remarkably with the use of storage barrel in which remnent Nangmyun-broth was still resting, because the remnant Nangmyun-broth contained high level of bacteria Good santary condition in Nangmyun-broth was obtained by the use of clean barrel which had been washed with tap water or sterilizied with steam before filling fresh Nangmyun -broth for cold storage.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was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acetic acid(0.01~0.05%) or mustart(0.1~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