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ur market institution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The Effects of Institutions on the Labour Market Outcomes: Cross-country Analysis

  • KIM, YONG-SEONG;KIM, TAE B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9권4호
    • /
    • pp.69-94
    • /
    • 2017
  • This paper re-examines the impacts an institutional arrangement may have on labour market outcomes such as the employment and unemployment rates. Based on the results from a generalized econometric model, the generosity of unemployment insurance benefits, organized labour and active labour market policy have effects on a labour market in line with previous findings. However, taxes on labour and the degree of employment protection are found to affect neither the employment rate nor the unemployment rate. Thus, some findings in this paper validate earlier findings, whereas others do not.

노동시장 제도, 임금분산, 그리고 복지정책 (Labour Market institutions, Wage Dispersion, and Social Policy)

  • 홍경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4호
    • /
    • pp.297-317
    • /
    • 2007
  • 이 연구는 임금분산의 축소는 사회성원으로 하여금 복지정책의 확대를 선호하게 하며, 사회성원들의 그러한 선호를 이끌어낸 것이 바로 특정한 방식으로 구성된 노동시장 제도임을 보이고자 한다. 달리 말한다면, 임금분산의 축소를 지향하는 노동시장 제도와 관대한 복지정책 사이에는 제도적 상보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앞부분에서는 특정방식으로 구성된 노동시장제도가 임금분산의 축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임금분산의 축소가 중위소득자의 복지정책에 대한 선호를 증가시킨다는 점을 이론모형으로 제시한다. 또한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14개 복지국가들에 대한 결합시계열회귀분석이 논문의 뒷부분에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모형은 경험적으로도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제도적 상보성이 어떤 과정을 통해 발생하는지를 이론적인 차원에서 논의할 뿐 아니라 복지정책은 언제나 노동시장 제도와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 PDF

노동시장양극화와 사회통합방안 - 사회통합적 법·제도와 노동시장정책을 중심으로 (The polarization of labour market and social integration - social integrative law & institutions and labour market policy)

  • 이호근
    • 한국사회정책
    • /
    • 제20권2호
    • /
    • pp.261-304
    • /
    • 2013
  • 본고는 우리나라 사회적 양극화 중에서 가장 중심적 주제의 하나인 '노동시장 양극화'의 배경과 현황을 살펴보고 대안으로서 사회통합방안을 제시한다. 동시에, 논문은 현재 신정부가 치중하는 고용률 70%제고 등 일자리정책이 이러한 노동시장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충분하며 적절한지를 검토한다. 본고는 고용률 70%제고가 복지로서의 일자리 확충을 통한 사회통합방안으로 필요한 정책이지만 여성, 청년, 고령자를 주 대상으로 하면서도 단시간근로의 확충에 주로 치중하고 있는 정책의 한계를 지적하며 우리 노동시장 내 심화되고 있는 노동시장양극화를 해소하기에는 보다 근본적인 사회통합적 법 제도와 노동 시장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논문은 또한 노동시장 양극화의 극복은 법제도적 방안과 함께 임금체계의 개편에 이르기까지 매우 포괄적이며 복합적인 대응을 요구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 외에 고용 연금보험 등 광범위한 사회적 안정망의 사각지대해소, 노사 간 자주적 교섭에 의한 임금 근로조건의 향상, 기업 내외의 인적자원개발 및 숙련체제와 분배구조의 개선에 이르기까지 보다 견고한 복지체제의 발전을 위하여 노동조합이 실업보험 등의 운영에 직접 참여하는 겐트시스템의 도입을 중장기적인 전략목표로 삼아야 할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분절된 노동시장 구조의 문제를 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사회정책의 통합적 접근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Study of Pedagogical Practice and Teaching Experience in European Countries

  • Poplavskyi, Mykhail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3호
    • /
    • pp.252-258
    • /
    • 2022
  • Globalization,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intensification of migration processes, and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 in recent years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ternational labour market and increased competition between professionals in various fields. Academic, research and teaching staff are currently facing rapid changes and growing demand for quality educational services. Under such conditions, educational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pay particular attention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process in order for their graduates to be able to compete in the international labour market. The study of the experience of teachers' professional training in advanced countries opens new opportunities for improving the system of pedagogical training in Ukraine in order to adapt it to the requirements of the European educational space. The progressive achievements of countries demonstrating a high level of teachers' professional training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having rich historical educational traditions are of considerable scientific interest; consequently, this contributes to their leadership in science and education at the regional and global levels. The purpose of the present academic paper lies in analysing the latest trends in exploring teaching experience in the European countries and performance review of passing by students and teachers of the program on studying of pedagogical practice and experience of teaching in the countries of Europe. Methodology. Analytical and empirical (questionnaire) methods were used in the research process. Results. According to the obtained results of the research, the advantages, the most common areas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wishes of the participants regarding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experience were identified.

로캘러티로서 대덕연구단지의 노동시장 특성과 공간적 네트워크 (Characteristics of Labor Market and Spatial Networks in Daedeok Science Town as Locality, Korea)

  • 한주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5-54
    • /
    • 2001
  • 신지역지리의 접근방법을 종합하여 대덕연구단지의 지역 정체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노동 시장의 특성, 노동의 공간적 분화, 연구교류의 네트워크와 학 연 산(學 硏 産) 협력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이 공간적으로 어떠한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972년 이전에 대역연구단지는 근교 농업지역으로 지역내 자급적 색채가 강한 농업활동 뿐만 아니라 농산물 출하로 지역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 후 세계경제체계의 틀 속에서 생각할 때 $1992{\sim}1998$년 사이에는 대덕연구단지의 정체성 형성의 외적인 요인으로 과학의 발달과 수도권지역의 인구 및 공공기관의 지방분산이라는 요인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지역의 내적인 면은 국토의 중앙에 입지하여 접근성의 극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지역으로 전국으로부터의 노동력 유입에 유리하고, 대전이라는 모도시를 끼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1999년 이후의 벤처기업 입지시기에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지식기반 산업을 포함한 첨단산업의 육성이 강조되는 시대적 요청으로 기존의 고도의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소의 역할이 벤처기업을 끌어들이는데 크게 공헌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대덕연구단지는 기술과학단지로서의 자생력이 생겨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한국 신문언론노동의 숙련구조 변동과 전문직화에 대한 탐색적 접근 (A Exploratory Study on Skill Form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Korea's Newspaper Journalists)

  • 최석현;안동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7권
    • /
    • pp.84-108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신문 노동시장의 변화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신문언론인의 전문성 형성과정의 변화를 탐색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 따른 신문노동시장은 전형적인 기업내부노동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언론인은 조직구성원적 정체성과 전문직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신문 산업의 위기와 더불어 이러한 모순적인 언론인의 정체성이 어떤 방향으로 변해하고 있는지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점에서 신문언론인들의 숙련구조의 변화, 즉, 입직, 숙련, 이직의 과정에서 어떤 노동시장구조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언론인들의 전문직 정체성은 어떻게 변해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현직 신문언론인 1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통해 생산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언론인들의 숙련구조와 그 과정에서 정체성 형성을 추적했다. 조사 결과는 입직, 사내교육, 이직 과정에서 기업의 숙련에 대한 책임이 점차 언론인들에게로 옮겨가는 과정 중에 있어 기업내부 노동시장적 특성이 완화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노동시장이동은 여전히 제한되어 주요 노동시장이동형태는 기업간 이동이 아니라, 기업내 이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기업내부노동시장 변화는 그동안 기업내부 노동시장내에서나마 유지되던 언론인의 전문직적 정체성을 더욱 약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 내 숙련기술제도의 약화와 직업군내 이직의 한계는 언론인들의 전문적적 정체성을 약화시켜, 결과적으로 언론인의 타직업으로의 이동을 강화시켜 전체적 내부노동시장의 특성도 약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 PDF

Peculiarities of Education Quality Assurance in Lithuania

  • Ruzevicius, Juozas;Adomaitiene, Roma;Serafinas, Dalius;Daugviliene, Daiva
    •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novation
    • /
    • 제8권2호
    • /
    • pp.1-19
    • /
    • 2007
  • Achievement of objectives of education and training is one of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use different work, teaching methods and tools; however they are inadequate in many cases. Today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ave problems concerning sustention and rise of certain level of education by giving the job for graduates, using of new technologies that help to present, manage, evaluate and control knowledge. The main objectives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QMS) 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re as follow: to assure continuous improvement of education quality; to demonstrate performance results and relevant facts to the interested parties (customers of college or university, social partners, administrative institutions) showing the abilities of education institution to prepare high qualification specialists that fully correspond to changing requirements of labour market. The QMS at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designed as continuous process, considering that the quality of final product is the result achieved in primary processes. The process shall involve all interested parties. Parameters and indicators of education quality can help to analyz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existing QMS. The results of quality audits should be also taken into account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QMS at organization.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for the assurance of education quality three different approaches prevail: total quality management (TQM); requirements of quality awards and assessment models; and QMS corresponding to the requirements of ISO 9001 standard. The case study of QMS design and implementation at Vilnius Law and Business College is presented in the paper. The peculiarities, difficulties and obstacles of QMS implementation in the higher educations institutions are analysed in more detail in this article.

교수시장의 수급구조와 교수의 경제적 지위 (The Labor Market for College Professors in Korea)

  • 류재우
    • 노동경제논집
    • /
    • 제34권2호
    • /
    • pp.1-27
    • /
    • 2011
  • 본 연구는 교수의 수급구조 및 경제적 지위의 변화 양태를 분석하였다. 신임교수 충원 규모와 비교한 해외 박사학위 취득자의 상대규모는 1990년대 초 이후 빠르게 감소하여 왔다. 교수의 상대보수 역시 꾸준히 하락하여 왔다. 이 상대임금은 교수 1인당 학생 수와 강한 정(+)의 관계를 갖고 있으며, 해외박사 취득자의 상대규모 또한 이 상대임금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근래의 해외박사의 상대규모의 축소가 교수의 경제적 지위의 하락과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며, 추후 교수시장에 공급 애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캄보디아의 일반고등교육 (GHE)과 직업기술교육훈련 (TVET)에 대한 인식차이 비교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toward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TVET) and General Higher Education in Cambodia)

  • 속찬르띠;방용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83-9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캄보디아의 학생, 교사 및 TVET 기관장들의 직업기술 교육훈련 (TVET)과 일반 고등교육 (GHE)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캄보디아 5개 대표 지역의 TVET 교육기관 들에서 15명의 직업기술 교육훈련 학생, 교사, 기관장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토론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TVET 졸업생은 캄보디아의 기관과 기업 간의 공공 민간 파트너십과 기술 중심의 커리큘럼을 통해 GHE 졸업생보다 노동 시장에서 더 나은 기회를 얻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캄보디아 직업기술 교육훈련 과정을 담당하고 있는 캄보디아 고용노동부가 국가 차원에서 직업기술훈련 분야로 유인할 수 있는 정책과 직업기술훈련 분야 취업과 진로를 확산하고 개선하기 위한 국가전략을 세워 추진해야 함을 권장한다.

교수의 연구 성과 및 학교 특성과 보수격차 (Research Performance, School Characteristics, and Wage Differentials among College Professors in Korea)

  • 류재우;김미란
    • 노동경제논집
    • /
    • 제35권2호
    • /
    • pp.1-24
    • /
    • 2012
  • 본 연구는 사립대학 교수들이 개인 및 학교 정보를 담고 있는 유니크한 자료를 사용하여 교수 간 임금격차를 분석하였다. 임금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교수들의 숙련 중에서 일반적 인적자본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분산 분석에서는 학교 간 격차가 학교 내 격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간 격차는 학교의 질 및 지불 능력의 차이에 의한 것이며, 전자의 효과가 더 큰 것도 확인되었다. 연구 성과나 전공의 차이에 의한 임금격차는 매우 작다. 이는 교수의 보수가 성과나 시장의 수급 상황과 상대적으로 무관하게 설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