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market change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초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the Forms Change of Employment and the Labor Market in the Context of the Information Economy Development

  • Popelo, Olha;Kychko, Iryna;Tulchynska, Svitlana;Zhygalkevych, Zhanna;Treitiak, Olh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5호
    • /
    • pp.160-167
    • /
    • 2021
  • The authors of the article investigate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the forms change of employment and the labor market in the modern conditions. It is substantiated that digitalization processes directly affect the change of forms of employment and the range of occupations in the labor market, as well as the change of jobs. The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of changing forms of employment for the economy in the proc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are analyzed, which include: reduction of personnel costs by employers; dissemination of non-standard, informal employment (electronic freelance, electronic outsourcing, start-employment); enabling employees to manage their working hours; increasing unemployment and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in the labor market; reduction of productivity of enterprises, as a result of reduced productivity of workers with non-standard forms of employment, or with a negative indirect impact on productivity. A model for managing the process of digitalization in the labor market of Ukraine under different scenarios of their implementation, namely evolutionary and forced is devoted. To recognize the possible change in the level of employment in connec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forced scenario of digitalization in Ukraine, a model for estimating probable changes in the labor market is proposed.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 of the state strategy of prevention of risks of reduction of number of workplaces in the course of digitalization are outlined.

도시 및 농촌지역 사업체 유형별 노동시장 안정성 비교분석: 산업군, 종사자규모 및 존속기간별 유형을 중심으로 (Analysis and Comparison of Labor Market Stability by Business Categories in Urban and Rural Areas : Industrial Group, Employment Size, and Survival Duration)

  • 이제명
    • 농촌계획
    • /
    • 제23권1호
    • /
    • pp.97-112
    • /
    • 2017
  • Stability of labor market in rural areas was analyzed in this paper with categories of industrial group, employment scale, surviving period, and founder group. The stability of each classified labor market was compared with each other to figure out the stable business class and the unstable class in rural areas. The results of rural area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urban areas. The stability was analyzed with average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C.V.) of annual total employees' change rates. It was revealed that labor market of 'primary industry', including agriculture, is unstable. Especially, labor market of 'mid-size' and 'primary industry' businesses founded as 'incorporated company' in rural areas is vulnerable. While labor market of 'large-size' is proved to be unstable, it is confirmed that 'small-size' or 'mid-size', and 'over-ten-year survived' businesses have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stable labor market in rural and urban area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ability of labor market is different in each category of business and in each region of rural or urban area.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can be utilized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of labor and industry part.

중국의 산업구조변화와 한중간 새로운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The Industry Structure Change in China and The Study Related of Building Korea-China's New Network)

  • 김경종;서종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5-18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what is the desirable direction of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countries is based on how the present network is. As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countries grows, the network between countries will expand. In the past,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is cooperative one from the viewpoint of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Korean industries was focused on the value-added and mid-advanced technology products, while Chinese was focused on the labor-intensive products. As the China's economy grows for more than thirty years, there is a great change in China's economic policies and environment. China's industry structure is moving from the labor-intensive industry to technology-oriented industry. China's exports to the global market is increasing very fast, and China's domestic market is also growing. The change in Chinese industries' structure bring about severe competition in the global market. The expanding China's domestic market is also good opportunity as the new market in the world. The change in China's industrial structure needs for Korea to establish the 'New Network" between two countries. Korea has to grab the new opportunities in the China's domestic market and find new cooperative network with the products and industries.

여성장애인 노동시장 진입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Labor Market Entry of Disabled Women)

  • 박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783-801
    • /
    • 2016
  •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여성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3차부터 7차까지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사건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사건사분석을 통해 시간의 변화에 따른 여성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이 어떠한 변화유형을 나타내는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취업기간에 따른 노동시장 진입의 변화를 생명표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최장 미취업기간(4년)까지 미취업상태로 남아있는 비율은 90%이고, 노동시장에 진입한 비율은 10%로 나타났다. 둘째, 노동시장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콕스회귀분석을 한 결 과 기초수급 여부, 장애정도, 구직 시 차별경험 요인이 노동시장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여성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 수준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change of total fertility rate in regional level : An analysis using the panel data

  • Kim, Dok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77-86
    • /
    • 2021
  • 이 연구는 패널자료를 이용해 지역별 출산율 변동의 차이를 살펴보고, 지역노동시장과 지역부동산시장 요인이 지역별로 출산율 변동에 어떻게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들은 청년층의 고용과 주거 문제가 출산율 하락의 구조적 요인임을 강조해 왔다. 하지만 청년문제는 지역별로 상이하며, 이런 점에서 고용과 주거 문제가 출산 행위에 미치는 영향도 지역별로 상이할 수 있다. 이 글은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시군구 단위의 패널자료를 구축해서 지역노동시장과 지역부동산시장 상황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고정효과모형과 동적패널 모형을 이용해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동시장 변수와 부동산 시장 변수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에서 상이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는 높은 집값이 출산에 모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높은 집값이 오히려 출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지역의 부동산의 비용효과가 우세하고, 비수도권 지역은 자산효과가 우세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동시장 변수가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장소기반 정책과 도시빈곤: 일자리 미스매치와 지역노동시장의 장소성 분석 (Place-based Policy and Urban Poverty: An Analysis of Employment Mismatch and Placeness of Regional Labor Market)

  • 이원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1-56
    • /
    • 2016
  • 본 논문은 도시빈곤 이면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노동시장과정으로서 일자리 및 공간적 미스매치의 실태를 고찰하고, 더 나아가 보다 효과적인 장소기반 노동시장적 개입이 고려해야 하는 지역노동시장의 지역성을 분석하였다. 광역대도시 지역노동시장의 성과로서 실업률의 변화는 노동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한 불균형과 다양한 근로조건에 따른 미스매치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며, 그러한 결정과정도 지역노동시장에 따라 차별적임을 고찰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대도시 고용 교외화 과정 속에서 공간적 미스매치가 인적자본 요구 수준과 취업기회의 산업선택적 특성을 통해 노동집단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초래한다는 점도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모든 과정은 개별 지역노동시장 내에서 고유한 과정을 통해 작동하는 바, 도시빈곤과 일자리 미스매치 등 노동시장 과정을 연계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노동시장적 개입을 추진함에 있어 노동시장의 장소성에 기반한 장소기반 정책이 필요하다.

  • PDF

여성인구변동과 노동시장 (The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on the Change of Female Labor Market)

  • 장지연
    • 한국인구학
    • /
    • 제21권2호
    • /
    • pp.5-36
    • /
    • 1998
  • 본 논문은 지난 30여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의 추이를 출산력 감소 등 인구학적 요인의 변화의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 인구학적 요인들로는 교육, 혼인상태, 출산 등이 중요하다. 여성의 학력 수준이 평균적으로 높아지고, 결혼을 늦게 하는 추세이며, 자녀 수는 줄어드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이 인구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활동가능인구 중 고학력 여성의 비율이 증가하고 어린 자녀를 둔 여성의 비율은 줄었으며, 기혼 여성의 비율은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인구 구성의 변화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증가 시킨 것은 사실이다. 이에 더하여, 같은 인구학적 특성을 갖는 여성 집단의 노동력공급행태도 변화하였다. 고학력으로 분류할 수 있는 고졸, 대졸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이 초졸, 중졸 여성의 참여율보다 빠르게 증가하였고, 혼인하여 배우자가 있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미혼여성의 그것보다 빨랐다. 출산이 경제활동참여를 억제하는 정도도 줄어든 것 같다. 즉, 지난 30년간 여성인구구성의 변화나 행위양식의 변화는 여성의 경제활동의 증가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경기가 하강국면에 접어들 때, 여성은 더 먼저 노동시장 밖으로 밀려나는 경향이 있으며, 이 때 저연령, 저학력 등 인적자본이 열세인 여성, 그리고 여성노동자의 비율이 높은 산업, 직업에 속해 있는 여성이 더욱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 PDF

기혼여성 시간제일자리의 상태의존성(state dependence) 변화 (Part-time Jobs of Korean Married Women -The recent change in their state dependence-)

  • 정민수
    • 노동경제논집
    • /
    • 제41권3호
    • /
    • pp.95-128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혼여성들의 시간제, 전일제 등 근로형태가 오래 지속되는지 아니면 근로형태간 이동이 활발한지를 상태의존성(state dependence) 추정을 통하여 살펴보고, 최근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동태적 다항로짓모형(dynamic multinomial logit model) 추정결과 시간제와 전일제 상호간 이동성이 최근 낮아지면서 각 근로형태의 상태의존성은 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시간제일자리는 전일제와 미취업 사이에서 근로형태간 이동을 활발하게 하는 디딤돌 또는 쉼터의 역할이 약화되고 전일제 외에 노동시장 참여 옵션을 제공하는, 전일제와는 구분된 추가적 일자리형태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컴퓨터화, 직업선택, 그리고 한국 노동시장에서의 고용의 양극화 (Computerization, Occupational Choice and Job Polarization in the Korea Labor Market)

  • 김성민
    • 노동경제논집
    • /
    • 제35권1호
    • /
    • pp.21-54
    • /
    • 2012
  • 본 논문은 컴퓨터와 관련한 기술의 진보와 이로 인한 근로자들의 자발적 직업선택이 최근 한국 노동시장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Autor, Levy, & Murnane(2003)와 Autor, Katz & Kearney(2006)의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술 진보에 의한 컴퓨터 관련 자산 가격의 하락이 각 직업 계층의 상대적 임금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른 근로자의 직업 선택 변화와 함께 동시에 반복적 작업이 보다 많은 컴퓨터 관련 자산에 의해 수행되게 함으로써 최근 한국 노동시장에 나타난 고용 양극화 현상의 중요한 기저가 됨을 보이고 있다.

  • PDF

Socio-Economic Aspects of the Impact of Military Actions on the Labor Force

  • Melnyk, Stepan;Petrukha, Nina;Shuprudko, Nataliia;Ilychok, Bohdan;Balanutsa, Oleksand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7호
    • /
    • pp.252-258
    • /
    • 2022
  • Ukraine has a significant in quantity and unique in quality parameters, in particular, the level of education, a resource - the labor force, which, along with natural resources, can serve as the basis for economic growth and the achieve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 study is aimed at a thorough identification of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and use of the labor force in Ukraine, including by comparing with the indicators of the EU countries, before the start of the active phase of military aggression by the Russian Federation. It was found that until February 24, 2022, there were negative trends in the change i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ators of the labor force due to the demographic crisis, the 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economy and shortcomings in state regulation of labor market development processes. The military actions not only exacerbated pre-existing problems, but also led to the emergence of new ones. A significant number of refugees and internally displaced persons, with the termination of the activities of half of the economic entities, provoked a sharp increase in real unemployment and a decrease in wages. The specific problem of the labor market of Ukraine - the "labor crisis", which has and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abor force, is carefully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