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eling efficiency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2초

서울아산병원의 적혈구 표지 방법에서 교반 시간 차이에 따른 표지 효율의 분석 (Analysis of Labelling Efficiency According to Differences of Rotating Time in a Asan Medical Center (AMC) RBC Labelling Method)

  • 정은미;정우영;류재광;심동오;이영희
    • 핵의학기술
    • /
    • 제14권1호
    • /
    • pp.90-93
    • /
    • 2010
  •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에서는 $^{99m}Tc$-RBC의 표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의 변형 체외 표지 방법(modified in-vitro)의 일부를 변형하여 개선시킨 AMC 적혈구 표지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AMC 적혈구 표지 방법은 3-5분의 원심분리 과정을 한 번 더 시행함으로써 기존의 변형체외 표지 방법보다 추가적인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AMC 적혈구 표지 방법을 통한 $^{99m}Tc$-RBC표지 시 교반 시간을 줄임으로써 추가 시간 소요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안정적인 표지 효율을 유지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9년 5월부터 9월까지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에서 $^{99m}Tc$-RBC를 사용하여 검사받은 환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험 참여에 동의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당 1 cc의 ACD에 5 cc의 혈액을 채취하여 4개의 혈액 샘플을 만들었으며, AMC적혈구 표지 방법을 사용하여 표지를 진행하였다. 이때 교반시간을 5분, 10분, 15분, 20분으로 다르게 하여 각각의 표지효율을 산출하였고 그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AMC 적혈구 표지 방법을 사용하여 교반 시간 차이에 따른 $^{99m}Tc$-RBC 표지 효율을 비교한 결과, 각각의 표지 효율은 5분에서 $92.3{\pm}5.0%$, 10분에서 $95.9{\pm}5.0%$, 15분에서 $97.4{\pm}4.9%$, 20분에서 $97.7{\pm}4.8%$였다.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사용하여 교반 시간 변화에 따른 표지 효율의 차이를 분석하고, Duncan 방법으로 사후 검증하였다. 5분의 교반 시간에서는 표지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그 이상에서의 표지 효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MC 적혈구 표지 방법은 기존의 변형 표지 방법과 비교할 때 원심분리 과정을 한 번 더 거쳐 혈장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RBC가 $^{99m}TcO4^-$와 결합하는 데 더 유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변형 체외 표지 방법을 사용할 경우 20분 정도의 교반 시간을 주어야 안정적인 표지 효율을 획득할 수 있는 반면, AMC 적혈구 표지 방법을 적용할 경우 교반 시간을 10분만 시행하여도 해당 검사에서 원하는 충분한 표지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교반 시간의 감소는 원심 분리 과정을 한 번 더 거쳐야 하는 AMC 적혈구 표지 방법을 보완할 수 있으며, 보다 빠른 시간 내에 $^{99m}Tc$-RBC의 표지를 가능하게 하여 G-I bleeding과 같은 응급 환자에게 좀 더 빠른 검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열연 Coil Label 자동부착 Robot system 개발 (Development of the automation labeling robot system)

  • 한귀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포항공과대학교, 포항; 24-26 Oct. 1996
    • /
    • pp.1280-1283
    • /
    • 1996
  • The labels are used for products configuration of the labeling in hot coil. Robot system is constructed to labeling in hot coils automatically, so we achieve the confidence of labeling work and the promotion of operation efficiency.

  • PDF

$^{99m}Tc$-HMPAO 표지효율에 대한 고찰 (Study on Labeling Efficiency of $^{99m}Tc$-HMPAO)

  • 현준호;임현진;김하균;조성욱;김진의
    • 핵의학기술
    • /
    • 제16권2호
    • /
    • pp.131-134
    • /
    • 2012
  • 핵의학검사에서 방사성의약품의 표지효율은 검사의 정확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중요하다. 보통 Brain SPECT검사에 사용되는 $^{99m}Tc$-HMPAO는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불순물의 발생이 많아 표지효율의 저하가 나타나기 쉽다. 이에 본 연구는 $^{99m}Tc$-HMPAO의 표지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실험을 통해 $^{99m}Tc$-HMPAO 표지 및 사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Brain SPECT에 사용되는 국산 동아제약의 HMPAO vial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삼영사의 generator 55.5 GBq (1,500 mCi)를 이용하였고, TLC 측정세트(ITLC-SG, butanone, saline, TLC chamber)와 Radio-TLC 스캐너(Bioscan, AR-2000)를 이용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generator에서 1, 8, 16, 24, 28시간 간격을 두고 용출한 $^{99m}Tc$-pertechnetate를 각각 HMPAO와 표지하여 표지효율을 측정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generator에서 용출한 $^{99m}Tc$-pertechnetate를 0, 1, 3, 6시간경과에 따라 1.85GBq (50mCi)/1 ml를 취하여 HMPAO와 표지하여 표지효율을 측정하였다. 세 번째는 $^{99m}Tc$-HMPAO를 표지 후 0, 30분, 3시간, 5시간, 7시간이 경과했을 때 표지효율을 측정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표지효율은 시간 순으로 95.05%, 94.64%, 94.94%, 95.64%, 96.76%로 나타났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94.38%, 94.23%, 93.26%, 91.03%로 나타났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95.76%, 94.17%, 88.19%, 83.6%, 76.86%로 나타났다. 첫 번째 실험에서 generator에서 24시간 후에용출한 $^{99m}Tc$-pertechnetate를 사용 한 표지효율은 비교적 높게 측정되었다. 추가실험을 통하여 임상에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 실험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표지효율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6시간 이후에도 91% 이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보충실험을 통하여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실험에서 시간이 흐를수록 표지효율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정확한 검사를 위해 표지후 3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된다.

  • PDF

동적으로 갱신가능한 XML 데이터에서 레이블 재작성하지 않는 원형 레이블링 방법 (A Circle Labeling Scheme without Re-labeling for Dynamically Updatable XML Data)

  • 김진영;박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6권2호
    • /
    • pp.150-167
    • /
    • 2009
  • XML은 인터넷과 유비쿼터스 환경의 데이타에 대한 저장과 교환, 출판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XML의 광범위한 사용에 따라 XML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레이블링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레이블링 방법에 대한 최근 연구들은 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XML 문서에 대한 효과적인 레이블링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레이블 재작성 비용, 레이블 저장을 위한 큰 저장공간 할당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새로운 데이타가 지속적으로 삽입될 경우 더욱 심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를 원으로 나타냄으로써 회전수, 부모/자식원의 개념을 적용하여 전체 레이블 저장공간의 효율을 얻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반지름 개념을 적용하여 동일 위치에 지속적인 새로운 데이타 삽입 시에도 레이블의 길이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기존 레이블의 변경을 초래하지 않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원형 레이블링 방법의 우수성을 보인다. 본 논문은 XML 문서를 원으로 이해하는 새로운 시도를 한 점과 XML 문서의 크기 증가 시 레이블 저장공간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점과 동적 XML 환경에서 새로운 데이타의 업데이트 시에 기존 노드들에 대해 레이블 재작성을 피할 수 있는 점에 의미가 있다.

Simulated Annealing 알고리즘에 기반한 L(2,1)-labeling 문제 연구 (Study on the L(2,1)-labeling problem based on simulated annealing algorithm)

  • 한근희;이용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38-144
    • /
    • 2011
  • 그래프 G = (V, E )의 L(2, 1)-labeling 은 무선통신에서 무선 기기에 할당되는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최적화 문제로서 NP-complete 계열에 포함되는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L(2, 1)-labeling 문제에 적용 가능한 Simulated Annealing 알고리즘을 제시한 후 다양한 그래프에 제시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보이고자 한다.

Toxicity and Biomedical Imaging of Fluorescence-Conjugated Nanoparticles in Hematopoietic Progenitor Cells

  • Min, Gye-Sik;Kim, Dong-Ku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503-510
    • /
    • 2011
  • Cellular uptake of nanoparticles for stem cell labeling and tracking is a critical technique for biomedical therapeutic applications. However, current techniques suffer from low intracellular labeling efficiency and cytotoxic effects, which has led to great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a new labeling strategy. Using silica-coated nanoparticles conjugated with rhodamine B isothiocyanate (RITC) (SR), we tested the cellular uptake efficiency, biocompatibility,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ability with murine bone marrow derived hematopoietic stem/progenitor cells. The bone marrow hematopoietic cells showed efficient uptake with SR with dose or time dependent manner and also provided a higher uptake on hematopoietic stem/progenitor cells. Biocompatibility tests revealed that the SR had no deleterious effects on cell cytotoxicity, proliferation, or multi-differentiation capacities in vitro and in vivo. SR nanoparticles are advantageous over traditional labeling techniques as they possess a high level of cellular internalization without limiting the biofunctionality of the cells. Therefore, SR provides a useful alternative for gene or drug delivery into hematopoietic stem/progenitor cells for basic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주요국의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 사례 분석 (A Case Study on the post-monitoring programs under the energy efficiency labeling program)

  • 임기추
    • 에너지공학
    • /
    • 제23권3호
    • /
    • pp.58-65
    • /
    • 2014
  •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의 국외 시행사례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사후관리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후관리 위반정도가 심한 제품의 모델수 확대 및 반복적 위반업체의 해당모델에 대해 지속적으로 포함하고, 판매시장에서 구입하는 방식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후관리 대상모델에 대한 점검결과를 반영하여 위반 발생빈도에 따라 제품별 사후관리 점검방식의 개선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사후관리 점검결과 부적합율 또는 반복적 위반사례가 지속되는 경우 수시점검의 실시가 필요하다. 끝으로, 사후관리 점검결과에 대한 현재 관보 게재 및 보도자료 공개에서 사후관리 전과정에 대한 상세보고서까지 관계 유관기관에 공고 및 인터넷 공개로 확대하는 것이 요청된다.

변형 체내 표지법에 의한 적혈구 표지시 결합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평가 (The Evaluation of Factors which influence Binding Efficiency of Modified in Vivo Erythrocyte Labeling Technique)

  • 서한경
    • 대한방사선협회지
    • /
    • 제30권1호
    • /
    • pp.63-69
    • /
    • 2004
  • Purpose : We underwent this study to evaluat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labelling efficiency when modified in vivo erythrocyte labeling technique was used. Materials and methods : Thirty healthy volunteers (M : F = 19 : 11, age : 25$\pm$2yrs)

  • PDF

Specific Labeling of Cytochrome $c_3$ from Desulfovibrio vulgars Miyazaki F and its Assignment

  • Park, Jang-Su;Kang, Shin-Won
    • BMB Reports
    • /
    • 제28권5호
    • /
    • pp.433-436
    • /
    • 1995
  • In order to assign NMR signals, conditions for the specific labeling of cytochrome $c_3$ of D. vulgaris Miyazaki F through the culture in a minimal medium were established. Phenylalanine residue was specifically deuterated at more than 85% efficiency. Cytochrome $c_3$ has two phenylalanine residues. The signals of one phenylalane were missing and this was tentatively assigned to Phe20.

  • PDF

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 사후관리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Policy Recommendations for Post-Monitoring System of the Energy Efficiency Labeling Program)

  • 임기추
    • 에너지공학
    • /
    • 제24권2호
    • /
    • pp.179-186
    • /
    • 2015
  •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의 시행내용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사후관리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후관리 위반정도가 심한 제품, 반복적 위반업체의 해당모델에 대해 지속적으로 포함하고, 판매시장에서 구입하는 방식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후관리 대상모델에 대한 점검결과를 반영하여 위반 발생빈도에 따라 제품별 사후관리 점검방식의 개선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사후관리 점검결과 부적합률 또는 반복적 위반사례가 지속되는 경우 수시점검의 실시가 필요하다. 끝으로, 사후관리 점검결과에 대한 현재 관보 게재 및 보도자료 공개에서 사후관리 전과정에 대한 상세보고서까지 관계 유관기관에 공고 및 인터넷 공개로 확대하는 것이 요청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