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검색결과 82,036건 처리시간 0.076초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ew Polyaza Non-macrocyclic and Macrocyclic Nickel(II) Complexes Containing One 1,3-Diazacyclohexane Ring

  • Lee, Yun-Taek;Jang, Bo Woo;Kang, Shin-Geo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7호
    • /
    • pp.2125-2130
    • /
    • 2013
  • A new nickel(II) complex $[NiL^1]^{2+}$ ($L^1$ = 1-(2-aminoethyl)-3-(N-{2-aminoethyl}aminomethyl-1,3-diazacyclohexane) containing one 1,3-diazacyclohexane ring has been prepared selectively by the metal-template condensation of formaldehyde with N-(2-aminoethyl)-1,3-propanediamine and ethylenediamine at room temperature. The complex reacts with nitroethane and formaldehyde to yield the pentaaza macrocyclic complex $[NiL^2]^{2+}$ ($L^2$ = 8-methyl-8-nitro-1,3,6,10,13-pentaazabicyclo[13.3.1]heptadecane) bearing one C-$NO_2$ pendant arm. The reduction of $[NiL^2]^{2+}$ by using Zn/HCl produces $[NiL^3(H_2O)]^{2+}$ ($L^3$ = 8-amino-8-methyl-1,3,6,10,13-pentaazabicyclo[13.3.1]heptadecane) bearing one coordinated C-$NH_2$ pendant arm that is readily protonated in acid solutions. The hexaaza macrocyclic complex $[NiL^4]^{2+}$ ($L^4$ = 8-phenylmethyl-8-nitro-1,3,6,8,10,13-hexaazabicyclo[13.3.1]heptadecane) bearing one N-$CH_2C_6H_5$ pendant arm has also been prepared by the reaction of $[NiL^1]^{2+}$ with benzylamine and formaldehyde. The nickel(II) complexes of $L^1$, $L^2$, and $L^4$ have square-planar coordination geometry in the solid states and in nitromethane. However, they exist as equilibrium mixtures of the square-planar $[NiL]^{2+}$ (L = $L^1$, $L^2$, or $L^4$) and octahedral $[NiL(S)_2]^{2+}$ species in various coordinating solvents (S); the proportion of the octahedral species $[NiL(S)_2]^{2+}$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ligand structure and the nature of the solvent. Synthesis, spectra,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nickel(II) complexes of $L^1-L^4$ are described.

생체분해성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II) -Poly (L-lactic acid-co-glycine-L-lactic acid) 와 Poly- (L-lactic acid-co-glycine-L-methyl lactic acid)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L-lactic acid-co-glycine-L-lactic acid) and Poly - ( L-1actic acid-co-gl ycine-L-methyl 1actic acid))

  • 성용길;송대경;박경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5-232
    • /
    • 1988
  • Poly (L- lactic acid-co-glycine-L-lactic acid) and Poly (L-lactic acid-co-glycine-L- methyl lactic acid ) have been prepared by ring opening polymerization. The monomer 6, 6-dimethyl morpho-line-2, 5-dione was synthesized by the bromoisobutylation of 2-bromoisobutyryl bromide with glycin e. L-lactide, 6-methyl morpholine-2, 5-diode. and 6, 6-dimethyl morpholine-2, 5-diode have been used as starting materials for polydepsipeptides. The synthesized monomers and copolymers have been identified by NMR and FT-lR spa- ctrophotometer. The thermal propert ies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g) of the copolymers have been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 Tg values of poly(L-lactic acid co-glycine-L-lactic acid) system are increased from $53^{\circ}C\; to\; 107^{\circ}C$ with increasing the mole fraction of 6-methyl morpholine-2, 5-diode. And the Tg values of poly(L-lactic acid co-glycine-L-methyl lactic acid) system are increased from $53^{\circ}C\;to\;138^{\circ}C$ with increasing the mole fraction of 6. 6-dimethyl morpholine-2, 5-diode The thermal stability of poly (L-lactic acid-co-glycine-L-methyl lactic acid) is slightly greta text than that of poly(L-lactic acid-co-glycine-L-lactic acid) due to the methyl group.

  • PDF

L-Arginine의 흰쥐 적출심근보호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Myocardial Protective Effect of L-arginine)

  • 이인성;이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0호
    • /
    • pp.1076-1080
    • /
    • 1996
  • 허혈후 재관류시 일산화질소의 전구체인 L-arginin에 심근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각 연구의 조건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 저자들은 L-arginine의 농도에 의한 심근보호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란겐돌프 관류장치하의 흰쥐 적출심장에 37.5$^{\circ}C$에서 30분의 허혈과 30분의 재관류를 실시하면서 재관류시 관류액에 L-arginine을 첨가하여 농도를 1, 2, 3, 4 mm/L로 하였고 대 조군에는 L-arginine을 첨가하지 않았다. 허혈기 직전과 재관류 30분에 좌심실 수축기능(좌심실 발생압, 좌심실압 최대 순간 증가율), 이완기능(좌심실압 최대 순간 감소율)과 관상관류량을 측정하였다. L-arginine 농도가 1mm/L, 2 mm/L인 실험군은 좌심실 발생압, 좌심실압 최대 순간증가율, 좌심실압 최대 순간감소율 및 관상관류량의 회복률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L-arginin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회복률은 감소하여 4 mM/L농도의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회복률을 보였다(p(0.05).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심근허혈후 재관류시 심근기능 및 관상관류량 회복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L-arginine을 2mM/ 이하의 농도로 투여 해야 하며 향후 그 이상의 높은 농도에서 나타난 회복 저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담배 (Nicotiana tabacum L. cv. BY-4) 잎절편의 기관분화에 대한 항생제 carbenicillin의 auxin 유사효과 (Auxin-like Effect of the Antibiotic Carbenicillin on Organogenesis of Leaf Discs of Tobacco (Nicotiana tabacum L. cv. BY-4))

  • 배창휴;양덕춘;이효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69-474
    • /
    • 2000
  • Agrobacterium tumefaciens를 매개로 한 형질전환 과정에서 제균제로 사용되고 있는 항생제인 carbenicillin이 담배(Nicotiana tabacum L. cv. BY-4) 잎절편 배양시 기관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BAP와 kinetin을 각각 0.5 mg/L 첨가한 MS 배지에 250 mg/L∼2000 mg/L의 carbenicillin을 처리한 배지에서 신초 수는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carbenicillin을 단독첨가하거나 0.5 mg/L의 2,4-D 또는 NAA와 혼합첨가한 MS 배지에서 250 mg/L∼500mg/L농도의 carbenlcillin은 캘러스 형성을 증가시켰다. 반면 carbenicillin을 0.5 mg/L의 2,4-B, NAA와 각각 혼합첨가한 배지에서 배양 4주째 치상조직의 생중량은 carbenicillin의 농도가 250mg/L에서 2000mg/L로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arbenicillin이 캘러스 형성을 촉진하고 신초형성을 억제하는 auxin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따라서 담배 잎절편에 Agrobacterium tumefaciens를 매개로 형질전환하고자 할 때 최적 재분화용 식물생장조절제의 농도는 carbenicillin이 제균제뿐만 아니라 auxin 유사효과를 가지는 물질임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 PDF

액상발효유 제조시 유산균 Starter의 단백질 분해능이 산생성 및 침전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roteolytic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on Acid Production and Precipitates Occurrence in Liquid Yogurt Preparation)

  • 소명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5-291
    • /
    • 1984
  • 액상발효유 제조시에 유산균 starter의 단백질 분해능이 산생성과 제품의 단백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 bulgarious CH 2, L. helviticus IAM 1042, L. jugurti 3048은 우유에 배양할 때에 비교적 높은 단백질 분해능을 나타내었으나 L. casei YIT 9018은 단백질 분해능이 아주 약했다. 또 단백질 분해능이 높은 균들은 낮은 균들보다 우유에서의 증식과 산생성 속도가 빨랐다. 유단백질의 분해가 가장 심하게 이루어지는 시기는 균의 대수증식기이었고, 배양개시로부터 24∼48시간 이후에서는 유단백질의 분해가 거의 더 진행되지 않았다. L. bulgaricus CH 2, L. helviticus IAM 1042, L. jugurti 3048, L. acidophilus L 54, L. casei 3012로 제조된 발효유들은 모두 유단백질 분해가 비교적 심하게 일어났고, pH 3.5에서의 유단백질 용해도가 낮았고, 제품의 저장시에 유단백질 침전이 심하게 생성되었다. 그러나 artificial acidification이나 L. casei YIT 9018에 의하여 제조된 제품들은 유단백질의 분해가 거의 없었고, pH 3.5 에서의 단백질 용해도도 높았고, 저장시에 침전도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 PDF

형질전환된 식물세포에서 Sucrose 농도가 hGM-CSF 생산에 및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crose Concentration on the Production of hGM-CSF in Transgenic Plant Cell Suspension Culture)

  • 이진옥;심두희;주치언;김동일;이동근;이재화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63-16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hGM-CSF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담배세포에서 sucrose의 농도가 배양 배지내 분비된 hGM-CSF, 총분비 단백질, 그리고 단백질 분해효소에 미치는 효과를 보았다. 10, 30, 60, 90, 120, 150 g/L의 sucrose 농도로 배양한 결과 sucrose농도가 30g/L일 때 건조중량은 11.22g/L, 분비된 hGM-CSF의 양은 181.53 $\mu\textrm{g}$/L, 그리고 총단백질은 66.8 mg/L.로 시료채취 5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단백질 분해효소는 sucrose농도가 120 g/L일때 2660 U/L.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배양 10일째 sucrose농도 60 g/L에서 건조중량이 28.36g/L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분비된 hGM-CSF의 최대 값은 95 $\mu\textrm{g}$/L.로 sucrose농도가 150 g/L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강인한 역산으로서의 하이브리드 $l^1/l^2$ norm IRLS 방법의 효율적 구현기법 (An Efficient Implementation of Hybrid $l^1/l^2$ Norm IRLS Method as a Robust Inversion)

  • 지준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0권2호
    • /
    • pp.124-130
    • /
    • 2007
  • 탄성파 역산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최소자승($l^2$ norm)해는 이상치(outlier)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해서 $l^1$ norm을 최소화하는 해는 이상치에 강인한 면을 보이나 일반적으로 좀 더 많은 계산이 필요하다. 반복적가중의 최소자승법(Iteratively reweighted least squares [IRLS] method)을 이용하면 이러한 $l^1$ norm 문제의 근사해(approximate solution)를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작은 크기의 잔여분은 $l^2$ norm으로 처리하며, 큰 크기의 잔여분은 $l^1$ norm으로 처리하는 하이브리드 $l^1/l^2$ norm 최소화를 IRLS 방법에 쉽게 적용하는 구현 기법을 소개한다. 소개된 알고리즘은 특이치(singularity)처리를 위한 임계값의 결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존의 $l^1$ norm IRLS 방법과는 달리 임계값 결정에 상관없이 늘 강인한 역산의 특성을 보여준다.

배지조성 및 배양환경 최적화에 의한 Bifidobacterium의 고농도 배양 (High Density Cell Culture of Bifidobacterium by Optimization of Medium Composition and Culture Conditions.)

  • 송수한;김택범;지근억;오훈일;오덕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3-67
    • /
    • 2002
  • 본 연구에서 사용된 Bifidobacterium은 모유를 섭취한 유아의 분변으로부터 분리었으며 16s rRNA 염기서열분석 결과 Bifidobacterium longum속으로 동정되어 Bifidobacterium SH2라 명명하였다. Bifidobacterium SH2의 고농도 배양을 위하여 기본 배지로 MRS 배지를 변형하여 최적화한 결과 최적 배지의 조성은 50g/L lactose, 10 g/L beef extract, 10 g/L peptone, 5 g/L yeast extract, 7 g/L sodium acetate, 2 g/L ammonium citrate, 2 g/L disodium phosphat, 1 g/L tween 80, 0.2 g/L $MnSO_4$, 0.5 g/L L-cysteine이었다. 배양조건을 최적화한 결과 pH는 5.0에서, 온도는$ 37^{\circ}C$에서 균체량이 최대로 나타났다. 배지와 배양 조건을 최적화하여 건조 균체량과 생균수가 MRS 배지 보다 각각 2.7배, 1.8배 증가한 결과를 얻었다.

전국 규모로 본 국내 지하수의 라돈 함량 (Radon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of Korea)

  • 조병욱
    • 지질공학
    • /
    • 제28권4호
    • /
    • pp.661-672
    • /
    • 2018
  • 국내 5,453개 지하수공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라돈 함량을 분석하였다. 지하수의 라돈 함량은 0.1-7,218.7 Bq/L의 범위, 평균함량은 94.4 Bq/L, 중앙값은 48.8 Bq/L으로 비슷한 지질환경을 갖는 나라의 지하수의 라돈 함량에 비해서는 낮게 나타났다. 전체 지하수의 라돈 함량빈도 분포는 대수정규분포를 보였다. 10개 지질로 구분하면 지질별 지하수의 라돈 중앙값은 화강암에서 높고(63.5-105.1 Bq/L) 퇴적암과 제주화산암(PVOL)에서 낮았다(16.0-20.3 Bq/L). 심도별 지하수의 라돈 함량 중앙값은 풍화대 또는 기반암 상부 구간에서 61.4 Bq/L로 높았으며 충적층 구간에서는 28.5 Bq/L로 낮았다. 전체 지하수중 라돈 함량이 미국환경청(USEPA)의 제안치인 148 Bq/L를 넘는 비율은 17.7%이다. 지질별로 보아 지하수의 라돈 함량이 148 Bq/L를 초과하는 비율은 쥬라기화강암지역이 가장 높다. 그러나 지하수의 라돈 함량이 300 Bq/L, 500 Bq/L 이상인 비율은 백악기화강암(CGRA)지역이 가장 높다.

향초와 L. A. Burley 21의 상호접목이 담배의 생육 및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Chemical Components of Reciprocally Grafted Tobacco Cultivars between Hyangchio and L. A. Burley 21)

  • 이상하;제상률;김길웅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16
    • /
    • 1982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ciprocal grafting between Hyangchio (H) and L. A. Burley 21 (L.A), one a higher producer of nicotine and low yield, the other, a low producer of nicotine and high yield, growth of various parts of each variety and chemical constituents of these parts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growth of H/H graft was depressed when compared to hyangchio and H/L. A. and L. A. Burley 21 showed most vigorous growth plants having L. A. Burley 21 top. The amount of total alkaloids were low in leaves and stems of plants having L. A. Burley 21 roots (L. A., L. A./L. A., H/L. A.). Plants having Hyangchio roots (H, L. A./H) were high in total alkaloids.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were high in plant having Hyangchio top compared to L. A. Burley 21 tops, but there were not diffences in contents of ether extracts among all treat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