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검색결과 82,026건 처리시간 0.087초

국내 액상발효유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제품제조 적성조사 (Aptness for the Preparation of Liquid Yogurt by Lactobacilli isolated from Korean Liquid Yogurts)

  • 소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7-202
    • /
    • 1985
  • 국내의 액상발효유 7개 회사 제품에서 불리한 8종의 유산균에 대하여 발효유 제조와 관련된 균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skim milk에 배양할 때 산생성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L. bulgaricus D는 포도당의 첨가를, L. casei A와 L. casei E는 포도당과 유단백질 분해물의 첨가를 필요로 했으나, L. jugurti B, L. jugurti C, L. jugurti G, L. helveticus F 및 L. acidophilus B는 이들의 첨가를 필요로 하지 않았다. 포도당을 첨가한 skim milk에 배양할 때 L. jugurti B, L. jugurti C, L. jugurti G L. helveticus F 및 L. bulgaricus D는 산생성속도와 균의 사멸속도가 빨랐으나, L. acidophilus B, L. casei A 및 L. casei E는 산생성과 사멸이 느렸다. L. jugurti B, L. jugurti C, L. jugurti G, L. helveticus F, L. bulgaricus D 및 L. acidophilus B로 제조한 액상발효유는 침전이 발생되고 맛과 향이 좋지 못했으나, L. casei A 및 L. casei E로 제조한 것은 침전도 생기지 않았고 맛과 향도 비교적 좋았다.

  • PDF

단백질 전기영동 분석에 의한 Leucophenga 속 (Drosophilidae) 초파리의 종간 유연관계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Leucophenga(Drosophiliae) by Electrophoretic Analysis of Protein)

  • 이택준;오준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7권1호
    • /
    • pp.65-72
    • /
    • 1991
  • LeucoPhenga속에 속하는 초파리 L. maculata. L. concilia. L. orientalis 및 L. quinqµemaculiPennis를 대상으로 수용성 단백질을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하여 이 들 종간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SDS-PAGE로 분석한 4종간의 전기영동상을 densitometer로 scanning한 결 과 band 양상이 L. maculata와 L. concilia가 유사했고, L.quinquemaculiPennis 는 이들 3종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TDE에 의한 4종간의 유전적 거리는 L. maculata와 L.concilia;가 0.393으로 가장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냈으며, L. maculata와 L.quinquemaculipennis가 0.496로 유연관계가 가장 멀었다. TDE의 유전적 거리의 지수를 근거로 UPGMA법 으로 분석한 결과 L. maculata와 L. concilia가 1차적으로 cluster 되었고 여기에 L. orientalis. L. quinquemaculiPennis순으로 cluster 되었다. 이 결과는 L.quinquemaculipennis가 다른 3종과는 유연관계가 멀고 나머지 3종 가운데서는 L. maculata와 L. concilia간의 유연관계가 더 가까운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Arginine의 산화질소생성과 무관한 혈관이완효과 (Nitric Oxide/cGMP-Independent Vasorelaxation Enhanced by L-Arginine)

  • 문승호;이종은;유광재;오봉석;이동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02-107
    • /
    • 1998
  • L-Arginine이 산화질소 생성의 전구물질로서 공헌하는 것 이외에 다른 기전에 의하여도 혈관이완을 일으키는가 구명하기 위하여 적출 흰쥐 흉부대동맥 표본에서 L-arginine에 의한 장력, 조직 산화질소 및 cGMP 함량 변동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enylephrine(3.5$\times$10-6 mol/L) 수축 대동맥 표본은 L-arginine(10-9~10-3 mol/L)에 의해 용량의존 이완되었다. NG-Nitro-L-arginine methyl ester(L-NAME, 10-5 mol/L) 전처치에 의해 저농도 L-arginine(10-9~10-6 mol/L)에 혈관이완 효과는 소실되었으나 고농도 L-arginine(10-4~10-3 mol/L)의 이완효과는 도리어 증강되었다. 내피층 파괴 혈관 표본은 L-arginine에 대해 이완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2. L-NAME(10-5 mol/L) 존재하에 일어나는 L-arginine 이완효과는 indomethacin 전처치에 의해 영향받지 않으나, ouabain 전처치에 의해 유의하게 감약되었다. 또한 L-arginine 이완효과는 methylene blue에 의해 부분적으로 길항되었다. KCl(3.5$\times$10-2 mol/L) 수축 대동맥 표본은 L-arginine(10-9~10-3 mol/L)에 의해 L-NAME (10-5 mol/L) 처치와 무관하게 이완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3. L-NAME는 혈관조직 산화질소 함량을 감소시키며 이 감소효과는 L-arginine(10-4 mol/L)에 의해 영향받지 않았다. 또한 L-NAME는 혈관조직 cGMP 함량을 감소시키나 이 감소효과는 L-arginine에 의해 영향받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성적은 L-arginine이 내피세포의 산화질소 및 cGMP 생성과 무관한 기전을 통해서도 내피의존 혈관이완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하였다.

  • PDF

Lycoris 속(屬)의 자생지(自生地) 분포(分布) 및 개화특성(開花特性) (The native distribution and flowering Characterestics of Lycoris genus)

  • 朴魯福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4권1호
    • /
    • pp.80-88
    • /
    • 2002
  • 동(東)아시아 특산(特産) 식물(植物)인 Lycoris 속(屬) 구근류(球根類)를 화훼(花卉) 작물화(作物化) 하기 위하여 자생지 분포현황(分布現況)과 개화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ycoris속의 자생지 분포(分布)는 북위(北緯) 37도에서 24도까지 지역(地域)의 습기(濕氣)가 많은 해안지역(海岸地域)으로 겨울 최저온도(最低溫度)는 -10℃ 내외(內外)였다. 엽발생(葉發生) 특성(特性)은 춘계출온도(春季出溫度)은 L. squamigera, L. koreana, L. sangunea, L. sprengeri, L. incanata, L. flavescens 등(等)이고 추계(秋季) 출엽형(出葉型)은 L. radiata, L. radiata. var pumila, L. aurea, L. traubii, L. albiflora, L. houdyshelli 등(等)으로 구분(區分)되었다. 3. 구근(球根) 특성(特性)은 유피인경(有皮鱗莖)에 속(屬)하고 반축분지형태(返軸分枝形態)로 1개(個)의 경축단위(莖軸單位)를 축(軸)으로 해서 비대(肥大)해가며 인편수(鱗片數)는 종(種)에 따라 14-23개(個) 였고 구근내엽수(球根內葉數)는 2.8-5.2 개(個) 였다. 4. 화형(花型)은 trumpet type이 L. squamigera, L. koreana, L. aurea, L. incanata, L. sprengeri, L. sanguinea, L flavescens 등(等)이고 spider type은 L. radiata, L, radiata. var pumila, L. albiflrora, L. houdyshelli, L. traubii로 구분(區分)되었다.

감잎 추출물의 유산균 생육 및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ntioxidative Effect and Lactic Acid Bacteria Growth of Persimmon Leaf Extracts)

  • 우준영;백남수;김영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8-38
    • /
    • 2005
  • 본 연구는 감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L. acidophilus MG501, L. brevis MG19, L. bulgaricus MG515, L. lactis MG530, L. casei MG311 균종에 대한 생육조건 및 동결건조 보호제로서의 효과, 가혹조건에서의 경시변화, vitamin C 함량 변화, DPPH 라디칼 소거효과, SOD 유사활성을 조사하였다. 유산균 생육은 L. acidophilus MG501, L. brevis MG19, L. bulgaricus MG515, L. lactis MG530, L. casei MG311에서 각각 37℃/48hr 동안 배양한 후 3.2×10/sup 9/cfu/mL, 2.9×10/sup 9/cfu/mL, 1.1×10/sup 9/cfu/mL, 1.6×10/sup 9/cfu/mL, 3×10/sup 9/cfu/mL 생균수을 나타냈으며 pH는 3.82∼3.88, 산도는 1.697∼l.842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감잎추출물 10% 첨가에 4.4×10/sup 9/cfu/mL, 4.3×10/sup 9/cfu/mL, 2×10/sup 9/cfu/mL, 3.3×10/sup 9/cfu/mL, 3.4×10/sup 9/cfu/mL에 생균수을 보여 유산균 생육시 감잎 추출물 첨가가 유산균 증식에 효과를 보였으며 pH는 3.74∼3.82, 산도는 1.528∼1.805로 낮게 나타내었다. 동결건조 보호제에서는 L. acidophilus MG501는 약30%정도 생존율의 감소를 보였으며 L. brevis MG19, L. bulgaricus MG515의 경우는 약 10% 정도 생존율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L. lactis MG530는 약 10%정도 생존율 증가를 보였으며 L. casei MG311은 거의 동등한 효과를 나타냈다. Vitamin C 함량 변화는 L. lactis MG530에서 190.26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 acidophilus MG501에서는 56.05m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효과는 감잎 추출물 10% 첨가시에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L. brevis MG19에 감잎 추출물을 10% 첨가하여 배양한 경우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전반적으로 대조군보다 비교적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대장균의 동역학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한 L-threonine 생합성에 관한 모사 연구 (Simulation Study of Dynamic Network Model for L-Threonine Biosynthesis in Escherichia coli)

  • 정의섭;이진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97-10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대장균 내에서 L-threonine의 생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저해제들에 대한 모사 연구를 위하여 L-aspartate에서 L-threonine까지의 아미노산 생합성 대사 네트워크를 문헌 및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구축하였다. 또한 L-threonine 생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저해제들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효소 반응식에 적용시켰다. 모사 연구를 위해 초기 농도값을 L-aspartate 5 mM, ATP 5 mM, NADPH 2 mM으로 설정하고 저해제의 농도 변화에 따른 세포내 대사 물질들의 농도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저해제 L-lysine, L-methionine, L-glutamate는 저해제 농도 변화에 따라 대사 물질들의 농도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저해제 L-serine, L-cysteine 그리고 L-threonine의 경우 저해제의 농도 변화에 따라 세포내 대사물질들의 농도 곡선이 서로 다른 결과를 얻었다. 대장균 내에서 소비되어진 L-aspartate의 농도는 세포 내 생성되는 L-threonine과는 관련이 없었고, 생성되는 L-threonine의 농도는 세포 내에 축적된 D,L-aspartic ${\beta}$-semialdehyde에 반비례하였다.

Lycoris 속의 RAPD 분석과 자생지 분포 및 개화특성에 따른 유연관계 (Genetic Relationship Among Lycoris Species Using RAPD Analysis, the Native Distribution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 차재영;정연옥;신상민;강윤경;박종군;박노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19-112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RAPD 분석 기법과 자생지 분포와 개화특징을 이용한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10종의 Lycoris 종을 선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10종의 상사화 종은 크게 두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L. sprengeri와 L. incanata은 가장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같은 개화 시기와 분홍색의 화색을 가지고 있었다. 춘기출엽형은 L. squamigera, L. sanguinea, L. koreana, L. sprengeri 그리고 L. incanata이었으며, L. squamigera와 L. sanguinea는 같은 군집 안에서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L. koreana, L. sprengeri 그리고 L. sprengeri 그리고 L. incanata도 군집안에서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L. radiata, L. radiata var pumila, L. albiflora 그리고 L. traubii의 꽃은 spider형이며 이러한 종은 다른 종과의 유연관계가 매우 낮은 상동성을 보였다.

소다 크레커의 최적 스폰지 발효를 위한 혼합젖산균의 선별 (Selection of Mixed Lactic Acid Bacteria for Optimal Sponge Fermentation of Soda Cracker)

  • 김상용;이병돈;김정민;임동준;김우정;오덕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0-155
    • /
    • 1997
  • 소다 크레커에서 분리된 미생물은 대부분 젖산균인 Lactobacillus의 속이므로 약 20종의 기존에 분리된 Lactobacillus속의 미생물들을 스폰지 발효에 사용하였고, 이중에서 발효후 이취가 없고 총적정산도가 높은 6종의 젖산균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젖산균은 소다 크레커의 스폰지발효에 관여하는 주요 젖산균으로 보고된 L. brevis, L. delbrueckii, L. fermentum, L. leichmanii와 L. plantarum 등 5종과 San Francisco sour bread의 주요 젖산균인 L. sanfrancisco이었다. 선별된 6종의 젖산균을 10%의 밀가루 용액에 접종하여 스폰지 발효 동안의 pH, 총적정산도 및 유기산(lactic acid와 acetic acid)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L. brevis, L. fermentum과 L. plantarum의 pH는 많이 저하하였고 총적정산도는 많이 증가하였으며 L. delbrueckii의 경우는 유기산이 빨리 생성되었고 주 유기산인 acetic acid를 비교적 많이 생성하여 혼합균주의 조합으로 사용하였다. 4가지 균주의 여러 가지 조합중 L. brevis, L. fermentum과 L. plantarum의 혼합젖산균을 사용한 결과 총적정산도의 상승과 pH의 저하와 acetic acid의 생성력이 가장 뛰어나 이 혼합젖산균을 최적 스폰지 발효를 위한 가장 좋은 혼합젖산균으로 선택하였다.

  • PDF

Raman Spectroscopy of L-Phenylalanine, L-Tyrosine, and their Peptides Adsorbed on Silver Surface

  • Lee, Hong-In;Kim, Myung-Soo;Suh, Se-W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9권4호
    • /
    • pp.218-223
    • /
    • 1988
  • The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of L-phenylalanyl-glycine (L-Phe-Gly), L-phenylalanyl-glycyl-glycine (L-Phe-Gly-Gly), glycyl-glycyl-L-phenylalanine (Gly-Gly-L-Phe), L-tyrosyl-glycine (L-Tyr-Gly), and L-tyrosyl-glycyl-glycine (L-Tyr-Gly-Gly) adsorbed on silver colloidal particles have been investigated. More detailed investigations on the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from L-phenylalanine (L-Phe), glycyl-L-phenylalanine (Gly-L-Phe), L-tyrosine (L-Tyr), and glycyl-L-tyrosine (Gly-L-Tyr) than in ref. 17 have also been made. It has been found that the above molecules adsorb on the surface via both the carboxylate ($COO^-$) and amino ($NH_2$) groups.

GPS L1 신호추적 결과를 이용한 GPS L5 신호추적 기법 (GPS L5 Signal Tracking Scheme Using GPS L1 Signal Tracking Results)

  • 주인원;이상욱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99-104
    • /
    • 2012
  • 미국은 GPS 현대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주요 내용 중의 하나가 L5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1176.45MHz 대역의 L5 주파수는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해 할당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항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L1 주파수와 동시에 사용시 이온층 오차를 제거하여 보다 높은 측위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L5 신호의 코드길이는 L1 신호에 비해 10배가 더 길기 때문에 L5 신호의 획득시간도 L1 신호에 비해 더 길어진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신호획득에 사용되는 상관기 갯수를 늘려야 하는데, 이는 상관기 구조가 복잡해지고 연산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GPS L1/L5 겸용 수신기에서 L1 신호처리 결과를 이용하여 L5 신호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 것으로, L5 신호획득 과정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L5 신호획득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다. 제안된 방법은 동일한 GPS 위성에서 전송하는 L1/L5 신호는 코드시작시점의 코드위상이 동기가 되어 있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L1 신호의 메시지 비트가 시작하는 시점에 L5 코드의 시작시점을 동기시킨다. 그리고, GPS L1 신호를 처리하여 산출된 도플러 주파수 변이값을 이용하여 캐리어 주파수간의 관계식을 통해 GPS L5 도플러 주파수 변이값을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L5 신호의 코드시작시점과 도플러 주파수 변이값을 이용하면 L5 신호획득을 위한 별도의 상관기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L5 신호를 추적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이론적 분석의 타당성을 입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