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caling fear(KSF)-1.1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일부 스케일링환자들의 한국형 스케일링두려움의 정도 및 관련요인 (Korean Scaling Fear(KSF-1.1) and related factors in scaling patients)

  • 조명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77-985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scaling fear (KSF)-1.1 and related factors in scaling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314 scaling patients in 7 dental clinics in Daegu from April to June, 2013. Data were analyzed for simple frequency rate, t-test and ANOVA(Sheffes's post hoc)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KSF-1.1 and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was analyzed for the impact of independent variable on the score of KSF-1.1. Results : Mean score of KSF-1.1 in 314 scaling patients was 2.60. Female patients (2.71) had a higher score than male (2.47) (p<0.01). Those who didn't get a regular dental check up(2.87) tended to have higher fear level than those who had regular checkup (2.46) (p<0.001). Those who experienced dental pain (2.90)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ose who had not (2.46) (p<0.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ree groups (yes 3.03, ordinary 2.79, and no 2.42) in scaling (p<0.001) and financial burden (p<0.001). Variables associated with score of KSF-1.1 were gender(${\beta}$=0.21, p<0.05), waiting time for scaling(${\beta}$=0.24, p<0.01) and financial burden (${\beta}$=0.22, p<0.02)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 The influencing factors of scaling were gender, financial burden, waiting time for scaling that may effect on a score of KSF-1.1.

한국형 스케일링두려움 측정도구 개발(KSF-1.1) (Development of measurement scale for Korean scaling fear-1.1)

  • 조명숙;이승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75-684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Korean Scaling Fear (KSF)-1.1 in scaling patients. Methods : 402 sample size for scaling patients was studied in Daegu city in July and August of 2011.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as calculated in 3 dimensions(FWS: fear while scaling, DDH: distrust on dental hygienist, FAS: fear after scaling). Results : Age of 402 subjects was 36.5 years. In analyzing reliability for item-level, a range of correlation coefficient(${\alpha}$) on item-internal consistency(FWS, DDH, and FAS) was 0.58~0.88(${\alpha}$=0.90), 0.40~0.71(${\alpha}$=0.82), and 0.54~0.63(${\alpha}$=0.82), respectively. Floor(%) and ceiling(%) value on 3 dimensions were also 9.2% and 4.0%, 12.4% and 0.5%, and 17.7% and 1.2%, respectively, therefore, we found statistically high reliability for those(p<0.001). With explanatory factor analysis, this study could generate 3 dimensions(factor 1, eigenvalue 5.41, proportion 0.49; factor 2, eigenvalue 1.50, proportion 0.14; factor 3, eigenvalue 1.04, proportion 0.09) and 11 sub-scales. Als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KSF1.1 model was fitted very well in analysis of model fit($x^2$=112.94, df=41, p=0.000; goodness of fit index=0.95;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0.92; root mean square residual=0.057). Conclusions :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developed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KSF1.1 in the scaling patients.

한국형 스켈링공포(KSF 1.0)의 측정도구 개발 및 관련요인 (Development of Measurement Scale for Korean Scaling Fear-1.0 and Related Factors)

  • 조명숙;이성국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27-338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와 실정에 맞는 한국형 스켈링공포에 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2008년 11월 연구 대상자 72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을 통해 문항을 수집하였고( 1차 조사), 2008년 12월과 2009년 1월에 스켈링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영역설정 및 문항선정을 통해 1차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2차 조사), 2009년 2~3월에 연구대상자 720명에게 설문조사하여 최종적으로 4개 영역과 19개 문항을 결정함으로서 최종적으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문항수준 분석결과에서 결측치는 0.003%로 기준의 20%보다 낮아 양호했고,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중에서 상관계수가 0.92 이상으로 높았으며, 짝비교 t-검증도 조사 전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신뢰도가 높았다. 문항 내적일치도 역시 전체 영역 내 상관계수 범위가 0.39~0.95로 높았으며, 항목판별타당도는 영역 간 상관계수가 0.56이하로 유의하였다. 영역수준의 분석결과 3개 영역의 평균 범위는 2.06~2.33 이었고 예상치 못한 신체반응의 공포영역은 1.29 이었다. 각 영역의 바닥치와 천장치는 각각 4.3%와 6.8%로 기준의 20% 보다 낮아 적합했고, 요인분석에서 일부 영역의 요인이 단일요인으로 묶이는 것을 제외하연, 각 영역별 문항이 동일 요인으로 묶여졌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서 전반적으로 모형 합치도가 높았다. 스켈링 경험유무별 스켈링공포의 종속변수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연수분석에서 스켈링 경험자는 성별과 칫솔방법이 유의성이 있었고, 비 경험자는 성별, 교육수준, 칫솔방법, 그리고 일주 당 운동량 등이 유의했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스켈링공포에 관한 측정도구를 총 4개 영역 19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향후 개발된 도구는 여러 집단을 대상으로 재평가를 받아 일반화 되어야 할 것이며, 이들 환자들에게 적용함으로서 정기적인 스켈링을 통한 구강보건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