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about pediatric asthm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5초

천식 아동 어머니의 지식정도 및 교육요구도 조사 (A Study on the Knowledge about Pediatric Asthma and the Educational demand on Mothers of children with Asthma)

  • 권미경;이경민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91-205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prepar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mothers of pediatric asthma patients by identifying the knowledge about asthma, mother's educational demand and the perceived educ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used survey design. The subjects were chosen from the mothers whose children have received pediatric asthma treatment or who have admitted in the pediatric unit of major hospitals using selection criteria.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ere 63 mother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1st, 2001 to April 17th, 2001.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knowledge examination, educational demand evalu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t-test, ANOVA with SPSS PC(Version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ean score of knowledge about pediatric asthma was 17.95, which suggests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sthma have a medium knowledge level. The highest grade was knowledge about treatment and follow management and the lowest grade was knowledge about diet. 2. Demand for education showed 4.23, which suggests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sthma have high educational demand. The highest score was about exercise and activity in daily life and the lowest score was medication. 3. Perceived educational performance score of themselves showed 2.40, which suggests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sthma thought that health team do not give enough education to them. The highest score was knowledge about pediatric asthma itself and the lowest score was exercise and activity in daily life. 4. Demand for education and perceived educational performance about pediatric asthm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noted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knowledge, educational demand and perceived educational performance about pediatric asthma. In conclusion, there needed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for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sthma. Especially, an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in the beginning period of pediatric asthma should be emphasized.

  • PDF

천식아동 어머니의 지식정도와 교육요구도 (A Study on the Knowledge Level and Educational Demand about Pediatric Asthma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sthma)

  • 백경선;이지원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52-259
    • /
    • 2005
  • Purpose: Asthma is the most common chronic disease of childhood. It's important mother's caring for management of children with asthma.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evidenced data for preparing an educational program by identifying the knowledge level and educational demand about pediatric asthma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sthma. Method: The subjects were 91 mothers of children with asthma who admitted at 3 hospital in Busa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from Feburary to May, 2005.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10.0 program. Results: The total mean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of knowledge about pediatric asthma was 55.6% and the total mean $score{\pm}SD$ of educational demand about pediatric asthma was $4.40{\pm}0.50$. The knowledge level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y recurrence number(F=3.08, p=.049). There was not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level and eucational demand. Conclusions: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sthma had a medium knowledge level and a high educational demand. Based on the results, mothers' knowledge is an important part of children with asthma management.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asthma should be developed and the mothers should cope with asthma effectively.

  • PDF

천식 환아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집중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n intensive asthma education program on asthmatic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 서강진;김건하;유병근;여윤구;김종훈;심으뜸;윤미리;유영;정지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2호
    • /
    • pp.188-203
    • /
    • 2008
  • 목 적 : 천식은 만성적인 질환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천식 환아와 보호자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천식 환아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 알레르기 클리닉에서 천식으로 진단 받은 환아들 중 천식 집중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15가족을 교육 참가군으로 선정하였고,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천식 환아 15가족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교육 참가군은 프로그램 시작 직전과 3개월 후, 대조군은 같은 기간에 3개월의 간격을 두고 각각 2회씩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천식 환아와 보호자의 천식관리 이행 정도와 천식 인식도, 천식 환아의 자기 효능감 및 삶의 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 교육 참가군에서 교육 프로그램 참가 후 천식 환아의 자가관리 이행 정도(교육 전; 27.1점 vs. 교육 후; 32.2점, P=0.011), 천식 인식도(14.2점 vs. 17.9점, P<0.001), 자기 효능감 평가 항목(42.2점 vs. 45.0점, P=0.091) 중 문제 해결 능력(12.5점 vs. 14.2점, P=0.012), 삶의 질(79.6점 vs. 88.6점,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아졌으며 보호자의 천식관리 이행 정도(39.9점 vs. 42.1점, P=0.199)와 천식 인식도(15.8점 vs. 16.9점, P=0.178)는 약간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대조군에서는 천식 환아의 천식 인식도 중 천식의 급성 증상과 만성질환으로서의 천식에 대한 이해(4.1점 vs. 5.2점, P=0.025)와 삶의 질 중 정서적 활동(77.7점 vs. 84.3점, P=0.023)에 대한 영역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증가하였으나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보호자의 천식관리 이행 정도와 천식 인식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천식 집중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천식 환아들의 삶의 질, 자가 관리 이행 정도, 자기 효능감, 천식 인식도 등을 향상 시킬 수 있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을 더욱 많이 개발하고 시행하여 천식 환아들의 천식 관리가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학동기 소아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실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elementary children)

  • 안영준;김은영;문경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0호
    • /
    • pp.1103-1108
    • /
    • 2009
  • 목 적:만성질환자가 아닌 일반 학동기 아동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 이용실태를 파악하며 소아청소년과 의사로서 대처 방향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3개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 1,688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중 설문지가 회수된 794명(47%)을 분석하였다. 결 과:일반적인 학동기 아동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률은 278명(35%)이었고, 보완대체요법의 종류는 한약제 62.6%, 보조식품 31.3%, 비타민 30.2%, 선식 11.2%, 침술 11.2%, 체 냄, 수지침 순이었다. 보완대체요법의 이용률은 어머니의 학력이 대학 이상 일 때, 종교가 있을 때, 가정 월 총수입이 100만 원 이상일 때 의미 있게 높았으며 이용하게 된 동기는 질병예방목적이 가장 많았고, 주로 주변 사람이나 매체를 통해 이용하였다.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는 16%였고, 재사용 의향이 없는 경우는 20.5%였고, 환아가 건강할 때 주로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아가 영양결핍, 아토피 피부염, 관절통증, 알레르기비염, 비만, 천식 때 주로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보완대체 의학의 사용이 아이의 건강상태와는 밀접하지 않으며 사용 경로 또한 주변 사람의 권유나 방송 매체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병원치료와 병행 시 좋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아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부작용, 효과,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만성질환 및 알레르기 질환의 경우 소아청소년과 의사로서 현대의학의 적극적인 치료 및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